목차
1.관찰
2.결과
3.고찰
4.참고문헌
2.결과
3.고찰
4.참고문헌
본문내용
시료 측정결과
b시료 측정결과
c시료 측정결과
미지시료 웨이브
PE PMMA
PP PLA
PET PBAT
PA PC
PS PVC
결과적으로 대조해보았을 때
a시료는 PE라 판단할 수 있으며
b시료는 PET라 판단 할 수 있고
c시료는 PMMA라 판단 할 수 있다.
고찰
오늘의 실험은 평소에 했던 액체시료들과는 다른 고체시료로 실험을 하였으며 여태 기본베이스로 측정했던 무게측정에서 벗어나 분광기로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미지 고체 시료 3개의 FTIR 웨이브를 측정후 주어진 미지시료 10개의 웨이브자료를 찾은 뒤 대입하여 어떤 시료일지 예측해보는 실험이였는데, 가장 비슷한 파장을 찾는데 성공하였다. 실험후에 유사한 파장이 없어 예측에 실패하는 걱정도 했었는데 다행히 3개의 측정값 모두 유사한 고체시료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10개의 고체시료들의 FTIR값들이 비슷하게 생긴것들이 존재하기에 혼돈이 생기지 않으려면 유심히 비교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실험을 진행함으로서 다음에 진행할 UV실험 역시 이실험에 얻은 교훈과 기본지식을 토대로 안전하고 정확하게 실험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네이버 위키백과 , ResearchGate(FTIR사진들)
b시료 측정결과
c시료 측정결과
미지시료 웨이브
PE PMMA
PP PLA
PET PBAT
PA PC
PS PVC
결과적으로 대조해보았을 때
a시료는 PE라 판단할 수 있으며
b시료는 PET라 판단 할 수 있고
c시료는 PMMA라 판단 할 수 있다.
고찰
오늘의 실험은 평소에 했던 액체시료들과는 다른 고체시료로 실험을 하였으며 여태 기본베이스로 측정했던 무게측정에서 벗어나 분광기로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미지 고체 시료 3개의 FTIR 웨이브를 측정후 주어진 미지시료 10개의 웨이브자료를 찾은 뒤 대입하여 어떤 시료일지 예측해보는 실험이였는데, 가장 비슷한 파장을 찾는데 성공하였다. 실험후에 유사한 파장이 없어 예측에 실패하는 걱정도 했었는데 다행히 3개의 측정값 모두 유사한 고체시료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10개의 고체시료들의 FTIR값들이 비슷하게 생긴것들이 존재하기에 혼돈이 생기지 않으려면 유심히 비교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실험을 진행함으로서 다음에 진행할 UV실험 역시 이실험에 얻은 교훈과 기본지식을 토대로 안전하고 정확하게 실험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네이버 위키백과 , ResearchGate(FTIR사진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