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관찰
2.결과
3.고찰
4.참고문헌
2.결과
3.고찰
4.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특성상 공기중에 둘시 잘 기화되는 물질 이기에 기화를 통해 에탄올이 일정부분 날아갔을 것이다. 또한 다른 조들의 에탄올 수용액의 조성을 측정해보았을 때 다른 조들에 대해 2조 측정결과가 오차율이 5.4%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결과가 보이는데 , 이는 2조의 에탄올 수용액 조성 측정의 순서가 가장 마지막이였기에 한번 측정후 다시 세척하고 다른 수용액을 측정해야하는 비중병이 한 개인 한계상 세척물과 앞서 측정한 다른 조들의 수용액이 섞여 잔류해 마지막에 측정한 2조의 조성측정결과오차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2.분몰부피 측정
NaCl 3M의 수용액에 들어가는 NaCl의 질량을 측정해 정확한 값을 얻어낸후 그 수용액을 비율계산으로 4배희석 , 8배 희석시 들어가는 수용액과 물의 양을 구하여 희석 시켰다. 설정온도 25도씨에서 100mL 기준 3M의 NaCl 수용액의 이론밀도는 1.14g/mol이나 우리의 실험 결과에서는 1.11886g/mol이 나와 오차가 발생하였다 이는 , 에탄올 수용액 제조와 마찬가지로 온도 25도가 정확하지 않았으며 정확하게 필요한 NaCl 17.532g을 섞는 과정에서 잘 섞이지 않았거나 가루형으로 되어 있던 NaCl 특성상 지울로 잰 후 옮기다 소량을 흘렸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그에 반해 4배,8배희석한 NaCl 수용액은 희석하지 않은 것보다 몰농도와 몰랄농도의 차이가 크게 나지 않으며 좋은 실험결과를 습득했다. 이는 정확한 비율로 잘 실험을 진행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물리화학실험 (physical chemystry LAB) - 이학일 등 저자
2.분몰부피 측정
NaCl 3M의 수용액에 들어가는 NaCl의 질량을 측정해 정확한 값을 얻어낸후 그 수용액을 비율계산으로 4배희석 , 8배 희석시 들어가는 수용액과 물의 양을 구하여 희석 시켰다. 설정온도 25도씨에서 100mL 기준 3M의 NaCl 수용액의 이론밀도는 1.14g/mol이나 우리의 실험 결과에서는 1.11886g/mol이 나와 오차가 발생하였다 이는 , 에탄올 수용액 제조와 마찬가지로 온도 25도가 정확하지 않았으며 정확하게 필요한 NaCl 17.532g을 섞는 과정에서 잘 섞이지 않았거나 가루형으로 되어 있던 NaCl 특성상 지울로 잰 후 옮기다 소량을 흘렸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그에 반해 4배,8배희석한 NaCl 수용액은 희석하지 않은 것보다 몰농도와 몰랄농도의 차이가 크게 나지 않으며 좋은 실험결과를 습득했다. 이는 정확한 비율로 잘 실험을 진행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물리화학실험 (physical chemystry LAB) - 이학일 등 저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