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업명
2. 사업 내용 및 추진 전략
3. 예산 편성
4. 문제 의식(사업 필요성)
5. 목표 및 평가
6. 사업종료 후 지향점
2. 사업 내용 및 추진 전략
3. 예산 편성
4. 문제 의식(사업 필요성)
5. 목표 및 평가
6. 사업종료 후 지향점
본문내용
세부 사업명
산출목표
모니터링 방법
웃음치료
웃음체조
10분이상 체조하기1회, 총8회
만족도 조사, 참여일지 작성
웃음게임
최소 3명과 이야기 나누기 1회, 총4회
웃음노래
5분 이상 웃기 1회, 총4회
맞춤형 서비스 지원
우울증 검사 분기별로 1회 실시
검사 후 점수 측정
1대1 상담 분기별로 1회 실시
상담기록지 작성
우울증 치료 분기별로 1회 실시
치료기록지 작성
2) 성과목표 및 평가 방법
성과목표
평가 도구 및 방법
측정 시기
구성원과의 친밀감을 도모하고 사회성을 기르며 웃음을 생활화 한다.
만족도 조사, 참여일지 사용
종결 시점에 어르신들이 한 달간 좋았던 점, 불편했던 점 등을 이야기 나눈다.
회기 때마다 어르신들의 웃음의 정도와 횟수 등을 주관적으로 파악한다.
매회기 마다
몸의 활동량을 늘려 건강을 유지하고 건강박수를 통해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도모한다
우울증 감소
성과지표 : 우울증 점수 20% 감소
평가도구 : 노인 우울척도
평가방법 :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주기적인 검사 실시
3개월에 한번
6. 사업종료 후 지향점
1) 사업 수행으로 인한 기대 효과
무려 10개월에 걸친 장기간의 사업으로 꾸준한 체조로 인해 건강이 좋아지고 웃음이 생활화 되었을 것이라 기대된다. 그뿐만 아니라 구성원들끼리 매우 친밀해져 지속적인 관계형성을 통해 프로그램 이후에도 우울증 증상이 악화되지 않고 유지 또는 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2) 사업 결과의 활용 계획
본 사업으로 웃음치료의 효과성을 입증하여 더 다양한 노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노인들의 자살 또는 범죄를 예방하고자 한다.
산출목표
모니터링 방법
웃음치료
웃음체조
10분이상 체조하기1회, 총8회
만족도 조사, 참여일지 작성
웃음게임
최소 3명과 이야기 나누기 1회, 총4회
웃음노래
5분 이상 웃기 1회, 총4회
맞춤형 서비스 지원
우울증 검사 분기별로 1회 실시
검사 후 점수 측정
1대1 상담 분기별로 1회 실시
상담기록지 작성
우울증 치료 분기별로 1회 실시
치료기록지 작성
2) 성과목표 및 평가 방법
성과목표
평가 도구 및 방법
측정 시기
구성원과의 친밀감을 도모하고 사회성을 기르며 웃음을 생활화 한다.
만족도 조사, 참여일지 사용
종결 시점에 어르신들이 한 달간 좋았던 점, 불편했던 점 등을 이야기 나눈다.
회기 때마다 어르신들의 웃음의 정도와 횟수 등을 주관적으로 파악한다.
매회기 마다
몸의 활동량을 늘려 건강을 유지하고 건강박수를 통해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도모한다
우울증 감소
성과지표 : 우울증 점수 20% 감소
평가도구 : 노인 우울척도
평가방법 :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주기적인 검사 실시
3개월에 한번
6. 사업종료 후 지향점
1) 사업 수행으로 인한 기대 효과
무려 10개월에 걸친 장기간의 사업으로 꾸준한 체조로 인해 건강이 좋아지고 웃음이 생활화 되었을 것이라 기대된다. 그뿐만 아니라 구성원들끼리 매우 친밀해져 지속적인 관계형성을 통해 프로그램 이후에도 우울증 증상이 악화되지 않고 유지 또는 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2) 사업 결과의 활용 계획
본 사업으로 웃음치료의 효과성을 입증하여 더 다양한 노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노인들의 자살 또는 범죄를 예방하고자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