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력
1) 입원과 관련된 정보
2) 일반적인 건강관리 양상
2. 신체검진
3. 검사소견
1) 임상병리 검사 소견
2) 특수 검사 결과.
3) 의학적 처치
4. Problem List
5.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의 적용
6. 결론
1) 입원과 관련된 정보
2) 일반적인 건강관리 양상
2. 신체검진
3. 검사소견
1) 임상병리 검사 소견
2) 특수 검사 결과.
3) 의학적 처치
4. Problem List
5.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의 적용
6. 결론
본문내용
(-),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16(D)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17(D)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20(E)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21E)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22E)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23E)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3. 카테터 삽입부위와 같은 침습적 처치가 이루어진 부분을 통한 감염이 일어날 경우, 농과 같은 삼출물, 악취, 주변 피부의 발적과 같은 이상 징후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4. 침습적인 간호 처치 시 무균술을 적용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최소화 할 것이다.
4.
· 환자와 접촉하기 전, 후에 손을 씻고 간호활동을 수행&관찰
하였다. → “v/s 측정 시, 3-way를 마지기 전 I&O check를 위
해 URINE을 비울 시에 손을 씻고 소독솜으로 소독을 하였다.”
4. 청결술, 무균술을 적용하여 감염원과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5. 대상자에게 영양 간호를 실시할 것이다.
5.
· 대상자에게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충분한 수분 및 단백질섭취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격려하였다. (수행)
-1) 1일 식사섭취량을 check하였다. (수행, 관찰) -
<수분섭취량은 간호력 참고>
총 식사량
2/15(D)
1400Kcal
2/16(D)
1600Kcal
2/17(D)
1600Kcal
2/20(E)
1800Kcal
2/21E)
2000Kcal
2/22E)
2300Kcal
2/23E)
2600Kcal
-2) 대상자가 충분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도록 식사보조를 해주었다. (수행)
-3) 금기가 아니라면 대상자가 입원 전에 좋아하시던 음식을 가져와서 드셔보도록 권유하였다. (수행)
5. 충분한 수분과 단백질 섭취는 신체가 균에 맞설 수 있는 면역력을 키워줄 수 있기 때문이다.
6.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카테터 관리 및 예방법을 교육할 것이다.
6.
· 대상자에게 염증의 증상(발열, 발적, 부종, 통증)에 대해 교육하였고, 빠르고 적절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함을 설명하며 증상이 나타날 시 의료진에게 즉시 보고하도록 교육하였다. (수행)
·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urine bag이 항상 요도구 아래에 위치하게 함과 역류로 인한 감염의 위험을 설명하였고, Foley Catheter를 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수행)
·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개인위생의 중요성을 교육하였다. (수행)
-1) 식사 전후로 손을 깨끗이 씻도록 한다.
-2) 카테터 주위와 수술부위를 건조하게 유지하도록 교육하였다.
(수행)
감염의 증상이 나타날 시 신속하게 대처하여 효육적으로 감염을 관리하기 위함이다.
올바른 카테터의 사용법을 교육함으로써 요로감염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7.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 할 것이다.
7.
·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관찰)
Fazidone inj 1g
1g/ 1V/ 수술부위세척
7. Fazidone은 수술 전 후 감염에 대한 예방적인 목적으로 투여되기 때문이다.
평가
1. 대상자의 WBC, CRP, total protein 수치가 일주일 이내로 정상 범위로 나타났다. - 2/20 목표 달성.
CRP
WBC
total protein
2/19
1.4▲
8.4
6.5 ▼
2/20
0.03
7.2
7.9
2/21
0.03
7.58
8.3
2. 대상자의 활력징후가 2일 이내에 정상범위(T: 36.5 +- 0.4)를 유지하였다. - 2/16 목표 달성.
시간
2/16
2/17
T
T
7:00
37.1▲
36.5
13:00
37.0▲
36.8
17:00
36.5
36.7
21:00
36.9
36.6
3. 대상자는 8시간 이내에 카테터 관리 및 감염예방법에 대해서 말하였다. 2/16 간호수행
“열나고 바늘부위에나 쑤시면 바로 말할게”
“(Foley Catheter)계속 만지고 있는 줄 몰랐는데, 이제는 안만져요.”
“밥먹기 전에 손 씻고 빨리 나으려면 더 먹으려고 해볼게. 학생”
- 2/16 목표 달성.
4.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침습적 처치로 인한 감염증상(oozing, swelling)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2/21 목표 달성.
카테터
op site
2/14(D)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15(D)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16(D)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17(D)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20(E)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21E)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22E)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23E)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Ⅶ. 결론
재활의학과와 정형외과파트는 아직 성인간호학에서 배우지 못한 부분인 만큼 실습가기 전부터 제 무지로 실습에 따라가지 못할까 염려에 두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실습 전에도 기본적인 간호술기와 OS,재활파트 공부 등 많은 준비를 했어야 하였고, 2주간의 실습동안에도 검사나 치료 등 생소한 것이 대부분이거나 평소 깊이 다루지 못했던 부분들이 많아서 틈틈이 공부하느라 매우 애먹은 기억이 납니다. 70병동 선생님께서 실습 온 학생들이 이곳에서 직접 더 보고 갈 수 있도록 기회도 많이 주시고 친절하게 대해주셔서 앞으로 가게 될 실습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참고문헌.
1. 김금순 외 (2014)/ <성인간호학>/ 수문사
2. 성인간호학 제6판 / 저자 조경숙 외 / 현문사 / 2013.01.25
3. 학생을 위한 정형외과학/ 김영민,정문상,성상철/ 군자출판사
4. 국제간호진단협회 (2013)/ <간호진단>/ 정담미디어
oozing(-),bleeding(-)
2/16(D)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17(D)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20(E)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21E)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22E)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23E)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3. 카테터 삽입부위와 같은 침습적 처치가 이루어진 부분을 통한 감염이 일어날 경우, 농과 같은 삼출물, 악취, 주변 피부의 발적과 같은 이상 징후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4. 침습적인 간호 처치 시 무균술을 적용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최소화 할 것이다.
4.
· 환자와 접촉하기 전, 후에 손을 씻고 간호활동을 수행&관찰
하였다. → “v/s 측정 시, 3-way를 마지기 전 I&O check를 위
해 URINE을 비울 시에 손을 씻고 소독솜으로 소독을 하였다.”
4. 청결술, 무균술을 적용하여 감염원과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5. 대상자에게 영양 간호를 실시할 것이다.
5.
· 대상자에게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충분한 수분 및 단백질섭취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격려하였다. (수행)
-1) 1일 식사섭취량을 check하였다. (수행, 관찰) -
<수분섭취량은 간호력 참고>
총 식사량
2/15(D)
1400Kcal
2/16(D)
1600Kcal
2/17(D)
1600Kcal
2/20(E)
1800Kcal
2/21E)
2000Kcal
2/22E)
2300Kcal
2/23E)
2600Kcal
-2) 대상자가 충분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도록 식사보조를 해주었다. (수행)
-3) 금기가 아니라면 대상자가 입원 전에 좋아하시던 음식을 가져와서 드셔보도록 권유하였다. (수행)
5. 충분한 수분과 단백질 섭취는 신체가 균에 맞설 수 있는 면역력을 키워줄 수 있기 때문이다.
6.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카테터 관리 및 예방법을 교육할 것이다.
6.
· 대상자에게 염증의 증상(발열, 발적, 부종, 통증)에 대해 교육하였고, 빠르고 적절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함을 설명하며 증상이 나타날 시 의료진에게 즉시 보고하도록 교육하였다. (수행)
·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urine bag이 항상 요도구 아래에 위치하게 함과 역류로 인한 감염의 위험을 설명하였고, Foley Catheter를 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수행)
·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개인위생의 중요성을 교육하였다. (수행)
-1) 식사 전후로 손을 깨끗이 씻도록 한다.
-2) 카테터 주위와 수술부위를 건조하게 유지하도록 교육하였다.
(수행)
감염의 증상이 나타날 시 신속하게 대처하여 효육적으로 감염을 관리하기 위함이다.
올바른 카테터의 사용법을 교육함으로써 요로감염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7.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 할 것이다.
7.
·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관찰)
Fazidone inj 1g
1g/ 1V/ 수술부위세척
7. Fazidone은 수술 전 후 감염에 대한 예방적인 목적으로 투여되기 때문이다.
평가
1. 대상자의 WBC, CRP, total protein 수치가 일주일 이내로 정상 범위로 나타났다. - 2/20 목표 달성.
CRP
WBC
total protein
2/19
1.4▲
8.4
6.5 ▼
2/20
0.03
7.2
7.9
2/21
0.03
7.58
8.3
2. 대상자의 활력징후가 2일 이내에 정상범위(T: 36.5 +- 0.4)를 유지하였다. - 2/16 목표 달성.
시간
2/16
2/17
T
T
7:00
37.1▲
36.5
13:00
37.0▲
36.8
17:00
36.5
36.7
21:00
36.9
36.6
3. 대상자는 8시간 이내에 카테터 관리 및 감염예방법에 대해서 말하였다. 2/16 간호수행
“열나고 바늘부위에나 쑤시면 바로 말할게”
“(Foley Catheter)계속 만지고 있는 줄 몰랐는데, 이제는 안만져요.”
“밥먹기 전에 손 씻고 빨리 나으려면 더 먹으려고 해볼게. 학생”
- 2/16 목표 달성.
4.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침습적 처치로 인한 감염증상(oozing, swelling)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2/21 목표 달성.
카테터
op site
2/14(D)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15(D)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16(D)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17(D)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20(E)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21E)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22E)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2/23E)
발적(-), 따끔거림(-)
oozing(-),bleeding(-)
Ⅶ. 결론
재활의학과와 정형외과파트는 아직 성인간호학에서 배우지 못한 부분인 만큼 실습가기 전부터 제 무지로 실습에 따라가지 못할까 염려에 두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실습 전에도 기본적인 간호술기와 OS,재활파트 공부 등 많은 준비를 했어야 하였고, 2주간의 실습동안에도 검사나 치료 등 생소한 것이 대부분이거나 평소 깊이 다루지 못했던 부분들이 많아서 틈틈이 공부하느라 매우 애먹은 기억이 납니다. 70병동 선생님께서 실습 온 학생들이 이곳에서 직접 더 보고 갈 수 있도록 기회도 많이 주시고 친절하게 대해주셔서 앞으로 가게 될 실습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참고문헌.
1. 김금순 외 (2014)/ <성인간호학>/ 수문사
2. 성인간호학 제6판 / 저자 조경숙 외 / 현문사 / 2013.01.25
3. 학생을 위한 정형외과학/ 김영민,정문상,성상철/ 군자출판사
4. 국제간호진단협회 (2013)/ <간호진단>/ 정담미디어
추천자료
정형외과 병동 케이스 스터디.오른쪽대퇴부경부골절.THRA<인공고관절대치술>
[골절][대퇴골경부][안면골][골절환자]골절의 개념, 골절의 종류, 골절의 분류, 골절의 진단...
[골절][안면골골절][대퇴골경부골절][골절진단][골절치료][민간요법]골절의 원인과 분류, 안...
수술실 - Operating Room 임상실습
대퇴 경부 골절
대퇴골경부골절(Femur Neck Fracture) case study
정형외과 실습일지(2주일)A+++(입퇴원 진단명,요일 주제별 요약/정리(case환자 문헌고찰부터~...
대퇴골 경부 골절 케이스 fracture of neck of femur, part unspecified, closed 간호과정
분만실 정상분만(NSVD)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