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주민조직화란
2. 지역사회주민조직의 구체적인 활동내용
1) 사례1
2) 사례2
3) 사례3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주민조직화란
2. 지역사회주민조직의 구체적인 활동내용
1) 사례1
2) 사례2
3) 사례3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충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행정은 지속적인 경제성장 등에 따라 다양화되는 주민의 요구에 대해 주민복지의 향상을 목표로 업무를 확대해 왔지만, 이제는 주민자치의 본래 모습을 생각하고 주민과 행정 사이의 역할 분담을 재검토해야 할 때이다.
셋째, 오늘날에는 주민협동에 대한 시민측의 요구가 존재하고 있다. 분권형 사회에서는 앞으로 더욱 그 지역의 역량과 주체성을 요구받을 것이다. 이 때문에 지역주민이 행정과 협력하면서, 스스로의 생각과 책임으로 마을 만들기를 진행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살아서 다행이다, 계속 살고 싶다’라고 생각되는 마을 만들기는 자치행정에만 맡기는 것이 아니라, 시민이 주역이 되어 진행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제부터는 개별적으로 향상되어 온 시민의 지혜와 기술, 경험, 행동력을 지금까지 이상으로 활용하여 행정과 함께 도시 조성을 추진하는 주민협동이 요구되고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지역사회에 형성되어 있는 다양한 지역사회주민조직의 구체적인 활동내용을 기술해 보았다. 공동체주의(communitarianism)의 바탕이 되는 평등사상은 만인은 평등하므로 다른 평등한 존재인 타인의 자유를 침해하여서는 안 된다는 점에서 자유주의와 대립되는 개념이 아니다. 공동체(community)의 특성에 해당하는 사항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동체는 우연적이고 일회성을 지닌 일반 결사체와 달리 공동의 목적을 가지고 일정한 규칙 하에서 운영되는 특징이 있다. 공동체(community)는 구성원 간 공유된 이해(shared understanding)를 바탕으로 정체성을 구성하는(identity-constituing) 소속감(sense of belongings)을 지닌 집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관한 공동체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Maclntyre(1984)는 지역수준의 공동체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Sandel(1998)은 국가수준의 구성적공동체를 전제로 하고 있으나 그러한 수준의 공동체가 가능할지에 대해서는 다소 회의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기홍, 2014, 마을의 재발견, 올림.
공석기·임현진, 2020, 마을에 해답이 있다: 한국사회에서 지역 되찾기, 진인진.
권은혜, 2017, 도시재생에서 주민의 자주적 관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형돈, 2019, 사회적 경제 조직의 하이브리드 특성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셋째, 오늘날에는 주민협동에 대한 시민측의 요구가 존재하고 있다. 분권형 사회에서는 앞으로 더욱 그 지역의 역량과 주체성을 요구받을 것이다. 이 때문에 지역주민이 행정과 협력하면서, 스스로의 생각과 책임으로 마을 만들기를 진행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살아서 다행이다, 계속 살고 싶다’라고 생각되는 마을 만들기는 자치행정에만 맡기는 것이 아니라, 시민이 주역이 되어 진행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제부터는 개별적으로 향상되어 온 시민의 지혜와 기술, 경험, 행동력을 지금까지 이상으로 활용하여 행정과 함께 도시 조성을 추진하는 주민협동이 요구되고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지역사회에 형성되어 있는 다양한 지역사회주민조직의 구체적인 활동내용을 기술해 보았다. 공동체주의(communitarianism)의 바탕이 되는 평등사상은 만인은 평등하므로 다른 평등한 존재인 타인의 자유를 침해하여서는 안 된다는 점에서 자유주의와 대립되는 개념이 아니다. 공동체(community)의 특성에 해당하는 사항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동체는 우연적이고 일회성을 지닌 일반 결사체와 달리 공동의 목적을 가지고 일정한 규칙 하에서 운영되는 특징이 있다. 공동체(community)는 구성원 간 공유된 이해(shared understanding)를 바탕으로 정체성을 구성하는(identity-constituing) 소속감(sense of belongings)을 지닌 집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관한 공동체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Maclntyre(1984)는 지역수준의 공동체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Sandel(1998)은 국가수준의 구성적공동체를 전제로 하고 있으나 그러한 수준의 공동체가 가능할지에 대해서는 다소 회의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기홍, 2014, 마을의 재발견, 올림.
공석기·임현진, 2020, 마을에 해답이 있다: 한국사회에서 지역 되찾기, 진인진.
권은혜, 2017, 도시재생에서 주민의 자주적 관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형돈, 2019, 사회적 경제 조직의 하이브리드 특성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추천자료
환경문제의 위기와 생태적 공동체운동에 대한 모색과 전망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실제 사례를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지역사회복지운동적 측면에...
[A+] 로스만, 웨일과 갬블, 포플의 지역사회 복지 실천 모델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인 로스만의 모델, 웨일과 갬블의 모델, 테일러와 로...
여러분의 지역사회에 형성되어 있는 다양한 지역사회 주민조직의 구체적인 활동내용을 기술하...
여러분의 지역사회에 형성되어 있는 다양한 지역사회 주민조직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구체적...
여러분의 지역사회에 형성되어 있는 다양한 지역사회 주민조직의 구체적인 활동내용을 기술하...
여러분의 지역사회에 형성되어 있는 다양한 지역사회주민조직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구체적인...
[지역사회복지론] 여러분의 지역사회에 형성되어 있는 다양한 지역사회주민조직의 구체적인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