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론 교재 11장 범죄문제를 비롯해 여러 자료들을 참고하여 최근 범죄를 다루는 기사, 방송 프로그램들이 어떠한 유형의 범죄를 어떠한 방식으로 다루는지 묘사하고, 잔혹한 범죄의 원인을 범죄자 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문제론 교재 11장 범죄문제를 비롯해 여러 자료들을 참고하여 최근 범죄를 다루는 기사, 방송 프로그램들이 어떠한 유형의 범죄를 어떠한 방식으로 다루는지 묘사하고, 잔혹한 범죄의 원인을 범죄자 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지도 있지만, 범죄로 본다고 해도 개인적 특성에서 비롯된 범죄가 아니므로 이것 또한 사회적 요인에 기반해 발생한 범죄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사회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고 규정되는 범죄가 적지 않다. 그러나 범죄 발생의 원인을 범죄자 개인적 특성에만 국한하여 초점을 맞춘다면 대중은 자연스럽게 범죄자를 소수자로 인식하여 혐오의 감정을 갖고 사회에서 배척하게 된다. 범죄자에 대한 처벌은 피해자가 받은 피해에 대해 국가가 주관하는 합법적 보복이라는 성격도 어느 정도 가지고 있으나, 궁극적인 목적은 대중에게 범죄를 저지르면 처벌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 잠정적 범죄를 예방하고 범죄자를 처벌 과정을 통해 교화시켜 사회로 다시 합류시키는 것에 있다. 그러나 범죄자의 범죄 행동 요인을 개인적 차원에서만 분석하게 되면 ‘범죄자는 그 자체만으로 문제가 있어 사회에 어울리지 못하고 범죄 행동을 저질렀다. 사회에서 배척해야 한다.’라는 여론을 만들게 된다. 이것은 범죄 가해자를 교화시켜 사회에 다시 투입하려는 처벌의 궁극적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다. 반면에, 사회적 측면에서 범죄 원인을 분석하였을 경우 범죄 발생의 원인은 범죄 가해자 개인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반의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결론에 다다를 수 있게 된다. 이것은 범죄의 발생을 한 사람의 일탈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장치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해 주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공동체 발전에 이득이 된다.
3. 결론
지금까지 대중매체가 범죄를 조명하는 방식과 범죄의 원인을 바라보기 위한 올바른 관점을 이야기해 보았다. 대중매체는 범죄를 보도하거나 방송할 때 방송사와 언론사의 이익에 집중하여 지나치게 선정적인 제목을 붙이거나, 자극적인 헤드라인을 작성하여 보도하거나, 범죄를 미화하고 축소하여 방영하거나, 범죄자의 개인적 면모에 대중이 지나친 관심을 가지도록 하는 일을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또한, 범죄 행위의 원인을 분석하는 데 있어 범죄 가해자의 개인적 면모나 성향, 지병 등의 특성에만 집중해서는 안 되며, 사회적 측면에서 분석해야 한다고 서술했다. 사회적 측면에서 범죄의 원인을 규명할 때는 집단과 집단 간 갈등, 범죄의 잘못된 규정, 다른 구성원과의 옳지 못한 상호 작용이나 범죄 행위로의 무방비한 학습이 진행되지는 않았는지 고려해야 한다. 범죄에 대한 처벌은 궁극적으로 범죄자의 교화와 사회 재투입에 있으므로 범죄자의 개인적 특성을 원인으로 밝혀 그를 소수자로 배척하는 것보다, 사회 시스템적 문제를 원인으로 밝혀 장기적인 사회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한 태도일 것이다.
4. 참고문헌
범죄,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불법촬영이 콘셉트?”…코스모폴리탄 화보 ‘범죄 미화’ 논란되자 사과, 김가연, 조선일보, 2022.11.26., https://www.chosun.com/culture-life/culture_general/2022/11/26/EEKXQ4FDEVB4BFNXULGEH73H5E/?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성폭력을 \'몹쓸 짓\'으로 보도하면 범죄 성격 축소된다\", 이세원, 연합뉴스, 2023.04.1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872563?sid=102
언론의 범죄 관련 보도가 대중의 범죄 발생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박지선, 박상조,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3.
한국사회문제. 구도완, 김종엽, 노성훈, 박경태, 백영경, 엄기호, 윤태호, 이수정, 이정희, 장경호, 조효제, 최병두, 한건수, 한재각, 황정미 지음. 출판문화원. 2017
  • 가격3,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3.12.28
  • 저작시기202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36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