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론 최근 범죄를 다루는 기사, 방송 프로그램들이 어떠한 유형의 범죄를 어떠한 방식으로 다루는지 묘사, 잔혹한 범죄의 원인을 범죄자 개인의 본성 또는 도덕적 문제로 돌리는 방식을 비판적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문제론 최근 범죄를 다루는 기사, 방송 프로그램들이 어떠한 유형의 범죄를 어떠한 방식으로 다루는지 묘사, 잔혹한 범죄의 원인을 범죄자 개인의 본성 또는 도덕적 문제로 돌리는 방식을 비판적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범죄를 다루는 기사
(2) 범죄를 다루는 방송 프로그램
(3) 범죄자 개인의 본성 또는 도덕적 문제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행동을 모방하고, 겉모습에 매력을 느끼며 결국 조커의 행동에 대한 관용에 대한 사회 문제가 두드러진 것을 보면 각종 범죄 영화, 드라마에 대한 경계 목소리가 과언은 아닐 것이다. 또 예술 작품에서 심지어 캐릭터가 실제 캐릭터를 모티브로 제작된 경우라면 문제가 더욱 커질 수 있다. 사회의 질서를 어지럽힌 범죄자가 ‘모든 일에는 이유가 있다.’라는 우리의 통용 문장에 허용되어 범죄에 타당성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이는 결국 범죄자의 행위를 개인의 본성과 도덕적 문제로 돌리는 것은 범죄자의 편에 서서 사건의 본질을 흐리게 할 수 있으며, 피해자의 억울한 감정을 배상해야 하는 적절한 법과 처벌에 방해가 되는 등 2,3차의 피해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관련 콘텐츠를 소비해야 한다면 반드시 경계해야 할 일이다.
최근 범죄 프로그램이 많아지고, 콘텐츠와 주제가 다양해지는 만큼 새로운 시도와 캐릭터에 대한 묘사가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내고 있다. 이에 대해 범죄는 도덕과 선악, 옳고 그름이 명확한 분야이므로 사람들 또한 경각심을 가지고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소비하도록 법에 대한 정의로운 가치관을 지닐 수 있도록 교육이 필요해 보인다.
3. 결론
우리는 범죄에 대해 자세한 사항들을 알지 못하고 ‘범죄가 발생하고 범죄자가 검거됐고, 사건은 마무리되었다.’라고 하던 시절을 거쳐 이제는 범죄에 관한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범죄가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하기 위해 학습하며, 엔터테인먼트의 한 분야로써 즐기기까지 한다.
우리가 범죄를 숨기지 않고 공개적이고 자발적으로 이야기 나누는 것은 범죄에 대한 막연한 공포와 두려움을 넘어 범죄가 사라지지 않음을 받아들이고, 정당하게 행동하는 법을 배우며, 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유지하는 데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며, 이는 사회적으로 여러 순기능을 지닌다. 다양한 의견 대신 옳고 그름이 명확한 법 테두리 내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우리는 자연스럽게 습득하며 사회의 안정과 사회규범의 정당성을 유지하는 데에 큰 도움을 부여한다.
우리는 벌어진 범죄에 대해 다양한 사람들과, 전문가들과 이야기 나누며 단순히 ‘나쁘다.’라는 순간적인 판단을 넘어 범죄자를 더 나쁘게 바라보거나 혹은 동정심을 가지고 덜 나쁘게 바라볼 수도 있다. 즉 우리는 범죄가 나쁘다는 것을 누구나 인식하지만 스스로 범죄에 대해 판단하고, 이야기 나누며 나아가 자신을 통찰하고 반성하는 시간을 가진다. 타인의 행동을 보며 자신을 돌아보는 자기 성찰은 사회적으로 자신의 역할을 되돌아보고 올바르게 살아가는 데에도 아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범죄를 다룰 때 범죄가 사람이 사람에게 저지르는 행위인 만큼 범죄자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혹은 ‘범죄자를 어떻게 바라보게 할 것인가.’에 대한 지속적 경계와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임지원. \"언론은 어떤 범죄를 선정적으로 보도하는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서울
http://www.riss.kr/link?id=T15111622
최정화. \"예능 포맷 <대탈출>의 추리서사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대구
http://www.riss.kr/link?id=T16481633
ZHANG, JIANGYAN. \"시청자의 도덕적 이탈이 범죄자 캐릭터의 배우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서울
http://www.riss.kr/link?id=T15475608
뉴시스. “‘범죄’는 어쩌다 예능 트렌드가 됐나.” 조선일보. 2022
https://www.chosun.com/entertainments/broadcast/2022/04/14/2676KUICSBHSNAYHCMTVE3AZGI/
  • 가격3,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3.12.28
  • 저작시기202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36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