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복습 질문 동그라미 친 부분(2번, 3번, 4번, 5번, 8번, 9번)
2장 복습 질문 동그라미 친 부분(1번, 4번, 5번, 7번, 8번, 9번)
3장 복습 질문 동그라미 친 부분(2번, 5번, 6번)
4장 복습 질문 동그라미 친 부분(1번, 2번, 3번, 4번, 7번)
5장 복습 질문 동그라미 친 부분(2번, 3번, 4번, 5번, 6번, 8번, 9번, 10번)
2장 복습 질문 동그라미 친 부분(1번, 4번, 5번, 7번, 8번, 9번)
3장 복습 질문 동그라미 친 부분(2번, 5번, 6번)
4장 복습 질문 동그라미 친 부분(1번, 2번, 3번, 4번, 7번)
5장 복습 질문 동그라미 친 부분(2번, 3번, 4번, 5번, 6번, 8번, 9번, 10번)
본문내용
를 가지면서 어휘집의 작동 원리를 알게 된다는 관점이 있다. (5장 6번) : 아동이 이해하는 어휘와 산출하는 어휘는 크기뿐만 아니라 내용에서도 차이가 나며 산출 어휘보다 이해 어휘에서 동사가 더 많이 나타난다. 이해가 산출에 선행하며 이해 어휘가 산출어휘보다 큰 경향이 있다. (5장 8번) : 단어를 들은 맥락이 하나의 요인이며 아동이 위험을 감수하는 정도와 아동의 사회성에 따라 발달 속도에 차이가 있다. (5장 9번) : 아동이 말 흐름에서 단어를 성공적으로 구분해 내고 나서 새로운 단어가 무엇을 나타내는지를 찾아내는 일이며 단어 의미의 불확정성을 매핑 문제라고 한다. (5장 10번) : 두 가지 제약이 있는데 첫 번째, 온전한 대상 가정은 단어가 사물의 부분이나 특성이 아니라 사물 전체를 지시한다는 가정이며 난로를 가리키면서 뜨거우니까 만지지 말라는 말을 들은 아동은 이 경험에 근거하여 뜨겁다가 난로를 가리키는 명칭이라고 흔히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상호배타성 가정은 단어가 서로 다른 종류의 사물을 지시한다고 가정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개라는 이름이 붙여진 범주의 구성원은 소라는 이름이 붙여진 범주의 구성원과 겹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