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복지 영화 말아톤을 시청한후 장애아동 부모가 겪는 여러 가지 심리적 변화를 초원이의 어머니가 된 심정으로 서술하기 외2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인복지 영화 말아톤을 시청한후 장애아동 부모가 겪는 여러 가지 심리적 변화를 초원이의 어머니가 된 심정으로 서술하기 외2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관점을 바꾸어 춘향의 수청거부를 변학도의 관점에서 이야기 해보자.
2. 영화 '말아톤'을 시청한후 장애아동 부모가 겪는 여러 가지 심리적 변화를 초원이의 어머니가 된 심정으로 서술하기
3. 통합 교육을 위한 개별화 교육계획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존에 자폐라는 장애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지식, 감정 등을 서로 공유하는 기회를 만들고 교사가 함께 참여해 잘못된 부분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적 기술 교수에는 문제해결 및 협력 기술, 자조 기술, 학급 과제 관련 행동을 중심으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사회적인 상황 속에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성현이가 스스로 대처하고 정서적인 안정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을 함께 미리 모색한다. 또한 다른 아동들을 불편하게 하는 일반적이지 않은 행동을 조절하고 예의를 지킬 수 있도록 행동 조절을 돕는다. 또 도움이 필요한 존재로 성현이의 한계를 정하는 것이 아니라 학급의 일에도 참여할 수 있으며 최선을 다해 완수할 수 있는 동료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성현이의 경우 수업 중에 일어나서 돌아다니거나 소리를 내서 수업에 방해가 되거나 친구들에게 부담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특성에 대해 같은 학급 친구들에게 알리고 성현이가 다른 방법으로 안정을 찾고 함께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일반 아동과 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촉진 전략에서는 협동학습, 집단강화, 또래 지원 프로그램, 또래교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협동학습은 일반 아동과 장애 아동이 한 팀으로 수업 중 활동 또는 과제를 함께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집단강화는 성현이와 다른 아이들이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거나 성현이가 문제 행동 대신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때 등의 상황에 강화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래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성현이의 짝꿍 역할을 번갈아가며 아이들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또래교수는 아이들이 직접 교수자가 되어 친구들을 가르치는 활동으로 일반 아동들에게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급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통합 학급에 필요한 의사소통을 적극적으로 진행하며 해당 아동의 특징을 소개, 통합의 긍정적인 면에 대해서도 인식할 수 있도록 편지 등을 통해 협력을 요청할 수 있어야 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김종철(2018), <춘향전>에서의 법(法)과 사랑, 고전문학과 교육, 0(38), pp.175-200,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최혜진(2016), <춘향전> 인물군의 사회적 성격, 한국어와 문화, 0(20), pp.163-180,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특수아동교육, 이소현, 박은혜, 학지사, 2017.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12.29
  • 저작시기202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39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