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적간호관리 조직화의 기본원리인 계층제 원리, 통솔범위 원리, 명령통일 원리, 분업 원리, 조정 원리를 모두 적용하여 평가 결과를 기술한 후, 마지막에 해당 조직(부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략적간호관리 조직화의 기본원리인 계층제 원리, 통솔범위 원리, 명령통일 원리, 분업 원리, 조정 원리를 모두 적용하여 평가 결과를 기술한 후, 마지막에 해당 조직(부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위치(대도시, 중소도시), 규모(병상수), 의료기관유형(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요양병원 등)을 고려해 다양한 보건의료기관 세 곳을 선정한 후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자신이 속한 기관을 포함할 수 있음)
1) 3개 기관의 명칭, 특성(위치, 규모, 유형 등), 미션(소명)과 비전의 내용(진술문)을 제시하시오. (관련 그림은 생략 가능)
(1) 서울대학병원
(2) 노원을지대학병원
(3) 서울글로우안과
2) 3개 기관의 ① 미션 진술문, ② 비전 진술문끼리 비교하고 그 특성(장점, 단점 등)을 설명하시오.
(1) 미션 진술문
(2) 비전 진술문
3) 조직에서 미션 또는 비전을 개발할 때 고려할 점을 3가지만 제안하고 그 이유를 간략히 설명하시오.

2. 자신이 현재 소속된 또는 과거 소속되었던 조직(조직 규모가 큰 경우에 부서)을 3~4줄 이내로 간략히 소개한 후, 조직화의 기본원리인 ① 계층제 원리, ② 통솔범위 원리, ③ 명령통일 원리, ④ 분업 원리, ⑤ 조정 원리를 모두 적용하여 평가 결과를 기술한 후, 마지막에 ⑥ 해당 조직(부서)의 조직화 특성에 대한 총평과 제언을 기술하시오.

3.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운 시스템이다.
② 통솔범위 원리는 한 사람의 통솔자가 직접 감독할 수 있는 부하직원의 수와 범위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인데, 내가 소속되었던 병원은 이 점은 잘 지켜진 것으로 보인다. 팀별로 인원이 약 15명으로 구성되어 팀장 간호사가 팀원을 담당하고, 그 위 과장이 통솔하게 되어 있다. 간호사가 15명이기는 하나 3교대로 돌아가며 근무하기 때문에 모두 동시에 근무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함께 근무하는 간호사는 대략 6명 안팎이다. 각자 맡은 일을 하고 팀장 간호사는 환자를 돌봄과 동시에 모든 간호사가 일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지휘하는 역할을 했는데, 조금 바쁘기는 하지만 통솔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고 평가된다. 이어서 ③ 명령 통일 원리는 각 구성원은 반드시 공식적인 통로를 거쳐 의사 전달을 받거나 해야 한다는 원칙은 원활했다고 생각한다. 내가 건의사항이 있을 때는 회의시간에 의견을 자유롭게 낼 수 있었고, 이를 귀담아 들은 팀장님이 과장님에게 전달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의견이 수용되고 적극 반영되는 것은 아니지만, 되도록 모든 직원의 의견을 들으려고 노력하는 분위기였기 때문이다. 반대로 위에서 내려오는 지시사항은 과장님을 통해서나 팀장님을 통해서 내려왔고, 내가 직접 직급이 높은 사람을 대면해야하는 일은 없었다.
④ 분업 원리는 조직의 업무를 종류와 내용별로 나누어 분담하는 분업이 잘 되어 있었는지 평가하는 것인데 내가 소속된 간호팀의 경우는 조금 애매한 느낌이 든 적이 종종 있다. ‘이런 일도 간호사가 해야 하나?’ 싶은 업무를 해야 하는 때가 있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보험사에 전화를 해서 문의를 하는 일을 하는 것 등이 이에 해당된다. 한 번이라도 더 환자 상태를 체크해야하는데, 이런 행정일 때문에 발목이 잡힌 적이 왕왕 있다. 마지막으로 ⑤ 조정 원리란 목표통일의 원리로 해석할 수 있다. 병원의 목표가 존재했고, 주간 회의를 통해 매주 전달되는 내용이 있어 어느 정도의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지 명료했다. 일이 많고 환자가 많은 병원이라 항상 목표치를 초과 달성했기 때문에 실적에 대한 압박은 따로 존재하지는 않았다.
총 5가지의 원리를 통해 내가 소속되었던 조직의 특성을 파악해보니 조직의 시스템 자체는 효율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고 생각한다. 분업화된 팀과 그 팀에 소속된 팀원의 숫자가 적절했고, 명령체계가 일하기 좋게 직급이 나뉘어 있었다. 다만, 아쉬운 점은 일이 너무 많아서 목표치를 항상 초과 달성하여 간호사의 파로감이 쌓인다는 점과 종종 누가 해야 하는 일인지 경계가 불분명한 업무의 경우 간호부에 모두 떠넘겨지는 것이 아쉬운 점이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노원을지대학교병원,
http://www.eulji.or.kr/index.jsp
서울글로우안과,
http://gloweye.kr/
서울대학교병원,
https://www.snuh.org/main.do
착한희동, (2022.11.22.). 간호관리 조직화의 원리, 착한 희동 블로그.
https://kindheedong.tistory.com/entry/%EA%B0%84%ED%98%B8%EA%B4%80%EB%A6%AC-%EC%A1%B0%EC%A7%81%ED%99%94%EC%9D%98-%EC%9B%90%EB%A6%AC%EA%B3%84%EC%B8%B5%EC%A0%9C%ED%86%B5%EC%86%94%EB%B2%94%EC%9C%84%EB%AA%85%EB%A0%B9%ED%86%B5%EC%9D%BC%EB%B6%84%EC%97%85%EC%A0%84%EB%AC%B8%ED%99%94%EC%A1%B0%EC%A0%95
전략적간호관리. 이상미, 최윤경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6년
  • 가격4,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3.12.29
  • 저작시기202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39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