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아래 문제에 대한 답안을 각각 서술해주세요.
1) 한국 근대 역사에서 철도와 제국주의 침략의 상관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시오.
2) 일제강점기 행랑살이와 토막민을 통해 도시 빈민의 생활 모습을 설명하시오.
3) 근우회의 활동이 항일운동과 여성운동에서 갖는 의의와 한계를 설명하시오.
4) 네 차례의 조선교육령을 통해 일제 식민지 교육정책의 성격을 설명하시오.
5) 일제강점기 조선 사회에서 미두 열풍 때문에 발생한 사회문제를 구체적으로 찾아보시오.
2. 내가 거주하는 주변 지역에서 근대건축물의 보존 현황을 조사하고, 그 가운데 한 곳 이상을 답사하고 답사기를 작성해주세요. (인천개항장 근대건축전시관으로 작성)
1) 내가 거주하는 주변 지역에서 근대건축물의 보존 현황 조사
2) 근대건축물의 현장 답사, 답사기 작성
①답사일시
②답사 경로(이동 수단, 시간, 등 적어줄 것)
③답사지 현황 소개
④답사지 별 인상 깊었던 점
⑤전체적인 소감
⑥사진 1장(용량이 작은 사진 1장만 제시, 답사 장소에 내가 있는 사진)
3. 출처 및 참고자료
1. 아래 문제에 대한 답안을 각각 서술해주세요.
1) 한국 근대 역사에서 철도와 제국주의 침략의 상관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시오.
2) 일제강점기 행랑살이와 토막민을 통해 도시 빈민의 생활 모습을 설명하시오.
3) 근우회의 활동이 항일운동과 여성운동에서 갖는 의의와 한계를 설명하시오.
4) 네 차례의 조선교육령을 통해 일제 식민지 교육정책의 성격을 설명하시오.
5) 일제강점기 조선 사회에서 미두 열풍 때문에 발생한 사회문제를 구체적으로 찾아보시오.
2. 내가 거주하는 주변 지역에서 근대건축물의 보존 현황을 조사하고, 그 가운데 한 곳 이상을 답사하고 답사기를 작성해주세요. (인천개항장 근대건축전시관으로 작성)
1) 내가 거주하는 주변 지역에서 근대건축물의 보존 현황 조사
2) 근대건축물의 현장 답사, 답사기 작성
①답사일시
②답사 경로(이동 수단, 시간, 등 적어줄 것)
③답사지 현황 소개
④답사지 별 인상 깊었던 점
⑤전체적인 소감
⑥사진 1장(용량이 작은 사진 1장만 제시, 답사 장소에 내가 있는 사진)
3. 출처 및 참고자료
본문내용
둘러보는 것도 신선하고 재미있었다. 화면의 건물 이름을 터치하면 디오라마 건물 위치에 불이 켜지고, 화면에는 건물에 대한 설명과 사진이 보이는 형식이었다. 사진과 글을 입체적으로 보며 공부할 수 있어서 기억에 조금 더 오래 남을 것 같아 좋았다. 다만, 이용객이 많은 시간이라 내가 원하는 만큼 눌러보며 공부하지 못해 조금 아쉬움이 남았다. 그렇지만 정교한 미니어처를 구경하는 것만으로도 즐거운 전시 관람이었다. 마지막 전시관에는 이 건물의 은행에서 실제 업무에 사용했던 물건과 금고가 전시되어 있는데, 오래된 벽과 창문을 보는 것도 많은 공부가 되었다.
우리나라는 유럽의 여러 국가들과 비교하면 근대건축물 혹은 그보다 더 역사가 깊은 건물이 거의 없는 편에 속한다. 일제 강점기를 거쳐 한국전쟁을 겪으며 멀쩡히 건축물이 보존될 수 있는 환경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또한, 남아있는 건물이 있었다고 해도 일제 강점기에 일제가 지은 건물은 우리의 불행했던 역사를 떠올리게 한다고 거의 다 허물어버렸기 때문이다. 또, 현대식 건물을 선호하는 경향이 이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그러나 일부 사람은 이런 역사적 건물을 그대로 보수 공사를 통해 보존하여 근대건축전시관처럼 색다른 용도로 잘 활용하여 후손에게 우리의 아픈 역사를 있는 그대로를 알려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렇게 답사하고 나니 그것도 일리 있는 주장이라는 생각이 든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 근대식 건물이 이렇게 생겼고, 어디에 있었고, 터가 여기다, 라는 식의 이야기를 백 번 듣고 교과서를 읽어보는 것보다 이렇게 한 번 직접 와서 건물을 살펴보고 그 안을 들어가 보는 것이 훨씬 더 기억에 오래 남을 것 같다. 그래서 지금이라도 현존하는 적은 수의 근대 건축물은 낡고 오래되었고, 조선인의 수탈한 아픈 기억을 간직한 공간이라도 잘 보존하여 역사적 건축물로 오래오래 남겼으면 하는 바람이 생겼다.
그리고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이라도 자세히 살피고 답사하지 않으면 잘 알지 못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 내 역사에 대한 무지함이 부끄러운 느낌도 들었다. 누군가가 나에게 인천항 개항에 대한 역사를 물어본다면 내가 잘 설명해 줄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면서 조금 더 알아보고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시간이 되는 어느 주말에 다른 전시관과 주변을 조금 더 답사하기로 결심했다.
4. 출처 및 참고자료
[인천돋보기]③ 국내 첫 국제도시 인천…근대건축전시관, 연합뉴스, 강종구 기자, 2022.07.30.
https://www.yna.co.kr/view/AKR20220727074300065
KBS 역사스페셜 그때 투기가 시작되었다, 미두 열풍, KBS 역사스페셜 youtube 채널,
https://www.youtube.com/watch?v=jEG3Q5NNV98
대한민국 구석구석, 인청개항장 근대건축전시관,
https://korean.visitkorea.or.kr/detail/ms_detail.do?cotid=3de6decb-04c9-4077-919e-6d4c50a1c4f9
사회사적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도시빈민의 형성배경과 주거문화-개항 이후 토막민촌부터 한국전쟁 직후 판자촌까지-, 전남일, 김묘정, 양세화, 홍형옥, 손세관, 한국주거학회 18(3), 2007.
인천근대건축전시관, 인천중구시설관리공단 홈페이지,
https://www.icjgss.or.kr/main/business/culture/architecture.jsp
우리역사네, 국사편찬위원회, http://contents.history.go.kr/front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5912
우리나라는 유럽의 여러 국가들과 비교하면 근대건축물 혹은 그보다 더 역사가 깊은 건물이 거의 없는 편에 속한다. 일제 강점기를 거쳐 한국전쟁을 겪으며 멀쩡히 건축물이 보존될 수 있는 환경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또한, 남아있는 건물이 있었다고 해도 일제 강점기에 일제가 지은 건물은 우리의 불행했던 역사를 떠올리게 한다고 거의 다 허물어버렸기 때문이다. 또, 현대식 건물을 선호하는 경향이 이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그러나 일부 사람은 이런 역사적 건물을 그대로 보수 공사를 통해 보존하여 근대건축전시관처럼 색다른 용도로 잘 활용하여 후손에게 우리의 아픈 역사를 있는 그대로를 알려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렇게 답사하고 나니 그것도 일리 있는 주장이라는 생각이 든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 근대식 건물이 이렇게 생겼고, 어디에 있었고, 터가 여기다, 라는 식의 이야기를 백 번 듣고 교과서를 읽어보는 것보다 이렇게 한 번 직접 와서 건물을 살펴보고 그 안을 들어가 보는 것이 훨씬 더 기억에 오래 남을 것 같다. 그래서 지금이라도 현존하는 적은 수의 근대 건축물은 낡고 오래되었고, 조선인의 수탈한 아픈 기억을 간직한 공간이라도 잘 보존하여 역사적 건축물로 오래오래 남겼으면 하는 바람이 생겼다.
그리고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이라도 자세히 살피고 답사하지 않으면 잘 알지 못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 내 역사에 대한 무지함이 부끄러운 느낌도 들었다. 누군가가 나에게 인천항 개항에 대한 역사를 물어본다면 내가 잘 설명해 줄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면서 조금 더 알아보고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시간이 되는 어느 주말에 다른 전시관과 주변을 조금 더 답사하기로 결심했다.
4. 출처 및 참고자료
[인천돋보기]③ 국내 첫 국제도시 인천…근대건축전시관, 연합뉴스, 강종구 기자, 2022.07.30.
https://www.yna.co.kr/view/AKR20220727074300065
KBS 역사스페셜 그때 투기가 시작되었다, 미두 열풍, KBS 역사스페셜 youtube 채널,
https://www.youtube.com/watch?v=jEG3Q5NNV98
대한민국 구석구석, 인청개항장 근대건축전시관,
https://korean.visitkorea.or.kr/detail/ms_detail.do?cotid=3de6decb-04c9-4077-919e-6d4c50a1c4f9
사회사적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도시빈민의 형성배경과 주거문화-개항 이후 토막민촌부터 한국전쟁 직후 판자촌까지-, 전남일, 김묘정, 양세화, 홍형옥, 손세관, 한국주거학회 18(3), 2007.
인천근대건축전시관, 인천중구시설관리공단 홈페이지,
https://www.icjgss.or.kr/main/business/culture/architecture.jsp
우리역사네, 국사편찬위원회, http://contents.history.go.kr/front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5912
추천자료
조선학 진흥운동 연구 - 1930년대 반신민사학운동
[일제시기, 식민지시대]일제시기(식민지시대, 일제강점기, 일제시대)의 법제정비, 일제시기(...
[기록물, 기록물과 기록물관리, 기록물과 기록물보존, 보존기록물, 지방기록물, 근현대기록물...
[국제사회학]식민통치국가의 현재 상황 분석을 통한 평화적 국제관계를 위한 고찰
2023년 1학기 방송통신대 근현대속의한국 기말시험과제물)한국 근대 역사에서 철도와 제국주...
2023년 1학기 근현대속의한국 기말시험 과제물(근대건축물의 보존 현황 조사)
근현대속의한국
글과생각
내가 거주하는 주변 지역에서 근대건축물의 보존 현황을 조사하고 그 가운데 한 곳 이상을 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