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도시와건축 2022년 여름 서울시에서 발생한 물난리의 원인에 대해 조사하고 해결방법에 대해 생각해보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의도시와건축 2022년 여름 서울시에서 발생한 물난리의 원인에 대해 조사하고 해결방법에 대해 생각해보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 대책 역시 고민해봐야 한다. 다시 말해 대심도 터널을 통해 노면수를 저류시키고 적당한 때에 한강으로 배수시키는 방안이다. 하천의 수위 상승을 고려하면서 하수관거만으로는 빗물의 배수가 어려운 지역은 저류시설을 설치하고 운영해 첨두유량을 일시적으로 저장함으로써 도시침수의 예방에 활용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결론
미래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은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다행히도 물리와 통계 과학의 발전으로 재난의 예측 및 관리 기술 역시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많이 발전되었다. 하지만 복합·대형 도시화로 인해 재해 발생의 메커니즘이 더욱더 복잡해지고 다양화되고 있으며, 재해 추이 역시 기후변화에 따라 달라지고 있어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시침수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도시 시민의 삶은 소비·생산·안전·이동·교육·제도·환경 등 7대 요소로 구성된다. 환경·안전·교육·제도는 특히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충분조건으로 서울시에서는 지속 가능한 도시 서울의 조성을 위해 노력을 많이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2020 지속 가능 발전 시민토론회’를 거쳐 나온 ‘제2차 서울특별시 지속 가능 발전 기본계획(안)’에선 물 문제 가운데 오직 도시의 물 순환 회복만 다루고 있어서 아쉬움이 남았다. 물관리의 일원화로 이수·치수 기능이 전부 환경부로 이관된 상황에서 도시침수가 환경 분야의 지속가능성에서 다루어졌어야 하는 이유이다. 작년 강남의 침수 상황을 겪으면서 도시의 지속가능성에 관해 다시 고민해 봤다. 재산 및 인명피해는 물론이고, 도시 교통이 마비되는 모습을 보면서 과연 강남이란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해 보면, 반쪽짜리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 수방 예산의 증액과 적극적인 집행 없이는 이 같은 피해는 반복될 거라고 본다. 서울 가운데서도 강남으로의 쏠림에 앞서서, 예산집행 등의 망설임이 계속되면 심각하게 도시의 기능 이전을 고민해 볼 때다. 기후변화의 위기 시대, 더 늦기 전에 하루빨리 재난관리를 고려한 지속 가능한 도시계획과 투자가 필요한 시기다.
참고문헌
기후변화 위기시대 2022년 강남침수의 원인 및 개선방안 물과 미래 : 한국수자원학회지 = Water for future v.55 no.10 , 2022년, pp.6 - 12
김병식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AI기후재난융합기술연구소 ) ; 성장현 (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https://scienceon.kisti.re.kr/main/mainForm.do 사이언스온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01.08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51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