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한국 가족의 변화 – 이념적, 구조적, 기능적 변화
2. 본론
(1) 새로운 가족의 형태 – 혼자 살기 족의 출현, 1인 가구와 비혼주의
(2) 1인 가구와 비혼주의의 증가로 인한 문제점
(3) 현 정부의 대비 정책과 문제점
3. 결론: 한국 가족의 변화에 대한 개선방안
4. 참고문헌 및 출처
2. 본론
(1) 새로운 가족의 형태 – 혼자 살기 족의 출현, 1인 가구와 비혼주의
(2) 1인 가구와 비혼주의의 증가로 인한 문제점
(3) 현 정부의 대비 정책과 문제점
3. 결론: 한국 가족의 변화에 대한 개선방안
4.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낳고 잘 기르자는 옛말이다. 아이 셋을 낳고 국가에 이바지했다며 칭찬하고 포상을 주는 것도 구시대적이다. 여성이 아이를 낳으면 남성이 군대를 면제받거나, 둘 중 누군가가 직장에서 특진을 받는다는 예비 정책도 사람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더불어 대한민국이 한 민족이라는 환상에서도 벗어나야 한다. 외국인 노동자에 의한, 혹은 국제결혼에 의한 혼혈의 존재를 인정하고 더 세련되고 성숙한 시민의식이 필요하다. 하지만 인간은 특히 국민은 미디어의 영향을 크게 받고 또 국가 정책의 영향을 받는다. 끝없이 ‘성숙한 시민의식을 가집시다’ 재창해도 달라지지 않는 것은 국가 전체를 뒤덮고 있는 한 민족이라는 환상 때문일 것이다. 이미 많은 외국인이 대한민국의 국적으로 살아가고 있음에도 외국인에 대한 차별이 존재한다. 이것을 긍정적인 정책을 통해 풀어나가야 한다. 비혼주의자, 동성애자, 노인, 싱글맘, 싱글대디, 대한 외국인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대한민국은 인구절벽을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영원히 사라질 것이다.
정리하자면, 전통적이고 구시대적인 가족주의를 타파하고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국가 정책이 필요하다. 이는 경제 혜택 또는 복지혜택을 포함하여야 하고 타인의 다름을 인정하는 국민적 시민의식 또한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및 출처
- 가족,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 제4차가족실태조사, 정책기자단, 여성가족부 공식 블로그
https://blog.naver.com/mogefkorea/222382988706
- 2023 설 연휴 여가 트렌드 “해외여행 폭증”, 야놀자 인터파크 발표, 손성창, G.이코노미, 2023.01.30., http://www.geconomy.co.kr/news/article.html?no=276140
- 저출산 고령화 사회, 사회, 주제별 학습자료, 에듀넷티-클리어,
https://www.edunet.net/nedu/contsvc/viewWkstCont.do?clss_id=CLSS0000000362&menu_id=81&contents_id=0e633d38-49fe-484e-b9ba-33b7f5c58ffd&svc_clss_id=CLSS0000018024&contents_openapi=naverdic
- “자식위해 많은 것 포기한 부모님 보며 비혼 결심” [70th 창사기획-리버스 코리아 0.8의 경고], 배두헌·김빛나·박지영·김영철, 헤럴드 경제, 2023.01.20.,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30120000319
- 비혼으로 30년…그들은 꿈꾸던 삶을 살고 있나, 신나리, 이데일리, 2023.03.27.,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498966632267256&mediaCodeNo=257&OutLnkChk=Y
- 서울 1인 가구 정책 이렇게 많았나, 안지호, 일코노미뉴스, 2023.06.13.,
http://www.1conom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841
더불어 대한민국이 한 민족이라는 환상에서도 벗어나야 한다. 외국인 노동자에 의한, 혹은 국제결혼에 의한 혼혈의 존재를 인정하고 더 세련되고 성숙한 시민의식이 필요하다. 하지만 인간은 특히 국민은 미디어의 영향을 크게 받고 또 국가 정책의 영향을 받는다. 끝없이 ‘성숙한 시민의식을 가집시다’ 재창해도 달라지지 않는 것은 국가 전체를 뒤덮고 있는 한 민족이라는 환상 때문일 것이다. 이미 많은 외국인이 대한민국의 국적으로 살아가고 있음에도 외국인에 대한 차별이 존재한다. 이것을 긍정적인 정책을 통해 풀어나가야 한다. 비혼주의자, 동성애자, 노인, 싱글맘, 싱글대디, 대한 외국인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대한민국은 인구절벽을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영원히 사라질 것이다.
정리하자면, 전통적이고 구시대적인 가족주의를 타파하고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국가 정책이 필요하다. 이는 경제 혜택 또는 복지혜택을 포함하여야 하고 타인의 다름을 인정하는 국민적 시민의식 또한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및 출처
- 가족,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 제4차가족실태조사, 정책기자단, 여성가족부 공식 블로그
https://blog.naver.com/mogefkorea/222382988706
- 2023 설 연휴 여가 트렌드 “해외여행 폭증”, 야놀자 인터파크 발표, 손성창, G.이코노미, 2023.01.30., http://www.geconomy.co.kr/news/article.html?no=276140
- 저출산 고령화 사회, 사회, 주제별 학습자료, 에듀넷티-클리어,
https://www.edunet.net/nedu/contsvc/viewWkstCont.do?clss_id=CLSS0000000362&menu_id=81&contents_id=0e633d38-49fe-484e-b9ba-33b7f5c58ffd&svc_clss_id=CLSS0000018024&contents_openapi=naverdic
- “자식위해 많은 것 포기한 부모님 보며 비혼 결심” [70th 창사기획-리버스 코리아 0.8의 경고], 배두헌·김빛나·박지영·김영철, 헤럴드 경제, 2023.01.20.,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30120000319
- 비혼으로 30년…그들은 꿈꾸던 삶을 살고 있나, 신나리, 이데일리, 2023.03.27.,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498966632267256&mediaCodeNo=257&OutLnkChk=Y
- 서울 1인 가구 정책 이렇게 많았나, 안지호, 일코노미뉴스, 2023.06.13.,
http://www.1conom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841
추천자료
한국가족의 이념적 구조적 기능적 변화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큰 가족변화와 그로 인한 ...
한국가족의 이념적 구조적 기능적 변화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큰 가족변화와 그로 인한 ...
한국가족의 이념적, 구조적, 기능적 변화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큰 가족변화와 그로 인한...
한국가족의 이념적, 구조적, 기능적 변화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큰 가족변화와 그로 인한...
한국가족의 이념적, 구조적, 기능적 변화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큰 가족변화와 그로 인한...
한국가족의 이념적, 구조적, 기능적 변화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큰 가족변화와 그로 인한...
한국 가족의 이념적, 구조적, 기능적 변화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큰 가족변화와 그로 인...
[건강가정론] 한국가족의 이념적, 구조적, 기능적 변화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큰 가족변...
한국가족의 이념적, 구조적, 기능적 변화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큰 가족변화와 그로 인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