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역주의(Regionalism) 건축이 무엇인지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20세기 이후 지역주의 건축이 중요하게 대두되게 된 배경과 의의를 서술하세요.
(2) 1964년 뉴욕근대미술관(MoMA)에서 열린 버나드 루도프스키의 사진전 “건축가 없는 건축(Architecture without Architects)”의 내용과 의의를 설명하고, 버내큘러(Vernacular) 건축이 무엇인지 사례를 들어서 설명하세요.
(3) 9주차부터 14주차까지 수업시간에 다루었던 건축가 또는 건축물 또는 건축이론 중에서 가장 인상적으로 기억에 남아 있는 것을 쓰고, 그 이유를 서술하시오. (주제 : 랜드스케이프 건축)
(4) 출처 및 참고문헌
(2) 1964년 뉴욕근대미술관(MoMA)에서 열린 버나드 루도프스키의 사진전 “건축가 없는 건축(Architecture without Architects)”의 내용과 의의를 설명하고, 버내큘러(Vernacular) 건축이 무엇인지 사례를 들어서 설명하세요.
(3) 9주차부터 14주차까지 수업시간에 다루었던 건축가 또는 건축물 또는 건축이론 중에서 가장 인상적으로 기억에 남아 있는 것을 쓰고, 그 이유를 서술하시오. (주제 : 랜드스케이프 건축)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연을 받아들이고 그 자연에 녹아든 건축물, 수많은 건물들 사이에 자연스럽게 존재하는 자연 경관 등이 그렇다. 랜드스케이프 건축은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대학교의 경관만 보아도 그렇다. 학교의 딱딱한 건물들 사이에 폭포가 흐르고, 수많은 계단들 옆에 물이 계단을 타고 함께 흐르는 물길이 있다. 이러한 랜드스케이프 건축은 다소 삭막하게 느껴질 수 있는 건축물들과 주변의 자연 환경들을 하나로 통합하고 대등한 관계로 여긴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우리는 지구온난화, 자연파괴 등으로 인해 전세계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내세우고 있다. 또한 이제는 자연을 우리가 정복해야 할 대상이 아닌 함께 지내야 할 대상으로 보면서 건축물에 대한 관점도 달라지고 있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랜드스케이프 건축은 현 시대에 가장 필요한 관점이라 볼 수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지역주의 건축의 조형특성에 관한 연구-알바 알토 작품을 중심으로-, 이유나, 윤갑근,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현대 흙건축의 버나큘러 특성에 관한 연구, 김태훈, 김순응,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제18권 2호 통권 61호, 2016
필리핀 스페인 식민지 양식 바하이 나 바토(Bahay na bato)의 버내큘러 건축 특성에 관한 연구, 김영훈, 임수영,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13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펑젠보, 한태권, 한국기초조형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1
현대 건축에 나타난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공공공간에 관한 연구, 김진엽, 김정곤,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1권 5호 통권94호, 2012
(4) 출처 및 참고문헌
지역주의 건축의 조형특성에 관한 연구-알바 알토 작품을 중심으로-, 이유나, 윤갑근,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현대 흙건축의 버나큘러 특성에 관한 연구, 김태훈, 김순응,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제18권 2호 통권 61호, 2016
필리핀 스페인 식민지 양식 바하이 나 바토(Bahay na bato)의 버내큘러 건축 특성에 관한 연구, 김영훈, 임수영,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13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펑젠보, 한태권, 한국기초조형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1
현대 건축에 나타난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공공공간에 관한 연구, 김진엽, 김정곤,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1권 5호 통권94호, 201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