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태권도장 수련프로그램의 현재 상황
(2) 태권도장 수련프로그램의 다양화 방안: 명상
(3) 태권도장 수련프로그램의 다양화 방안: 인성교육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태권도장 수련프로그램의 현재 상황
(2) 태권도장 수련프로그램의 다양화 방안: 명상
(3) 태권도장 수련프로그램의 다양화 방안: 인성교육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니라, 태권도만이 행할 수 있는 인성교육에 대해 자세하고 체계적으로 서술되어 있다. 때문에 지도자들이 이러한 종류의 책을 읽는 것이 태권도 업계의 관행이 되거나, 혹은 이 책과 같은 태권도 인성교육 관련 매뉴얼이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3. 결론
태권도장은 아이들이 위주로 되어 놀이형 보조프로그램이 중요한 상황이지만, 무엇보다 태권도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어야 한다. 특히 태권도협회가 표명하고 있듯 태권도란 “남·여·노·소 어떤 사람이나 제한 없이 아무런 무기를 지니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손과 발을 사용해 방어와 공격의 기술을 연마하여 심신의 단련을 통해 인간다운 길을 걷도록 하는 무도이자 스포츠”이다. 태권도 소개, 소개, 태권도란, 태권도 협회, https://www.koreataekwondo.co.kr/d001
필자는 이 ‘심신의 단련’ 중 심(心)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많은 태권도장이 에너지 발산을 위한 신(身)의 단련에는 부족함이 없어 보인다. 놀이 프로그램 또한 마음 보다는 신체의 단련에 집중되어 있으며 태권도 주요 프로그램 또한 내면의 단련에는 다소 소홀해 보인다.
때문에 관장 및 지도자는 단원의 내면 단련을 위해 명상 및 인성교육을 철저히 행해야 한다. 또한 지도자는 태권도의 전문가이니, 명상과 인성교육 등의 전문가를 초빙하는 시스템을 전국적으로 매뉴얼로서 갖추어야 한다. 지역 태권도장 마다 심리교육학자 혹은 심리관련 전문가와 협업하는 것도 방법이다. 혹은 책과 같은 매뉴얼적인 도서를 구비하여 협회 측에서 요약본을 태권도장 전국적으로 배부해야 할 것이다.
이 모든 것은 관장, 지역 태권도장이라는 개인적인 범위에서 행해져야 하는 것이 아닌, 협회의 범위에서 전국적으로 규정화 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반드시 개인의 한계에 부딪히게 될 것이며 결국 피해는 고스란히 아이들이 받게 될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 [칼럼]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 어떻게 짜고 지도할 것인가?, 태권박스 미디어팀, 태권박스 미디어, 20019.10.30, http://www.tkdbox.com/칼럼-태권도-수련-프로그램-어떻게-짜고-지도할-것인/
- 명상 프로그램이 아동의 우울성향 감소에 미치는 효과, 김유미, 서울교육대학교, 2008.02
- KTA 태권도 인성교육, 대한태권도협회, 김병준, 임태희, 정문자, 최중구, 이지훈, 이종천 저자, 애니빅, 2013.
3. 결론
태권도장은 아이들이 위주로 되어 놀이형 보조프로그램이 중요한 상황이지만, 무엇보다 태권도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어야 한다. 특히 태권도협회가 표명하고 있듯 태권도란 “남·여·노·소 어떤 사람이나 제한 없이 아무런 무기를 지니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손과 발을 사용해 방어와 공격의 기술을 연마하여 심신의 단련을 통해 인간다운 길을 걷도록 하는 무도이자 스포츠”이다. 태권도 소개, 소개, 태권도란, 태권도 협회, https://www.koreataekwondo.co.kr/d001
필자는 이 ‘심신의 단련’ 중 심(心)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많은 태권도장이 에너지 발산을 위한 신(身)의 단련에는 부족함이 없어 보인다. 놀이 프로그램 또한 마음 보다는 신체의 단련에 집중되어 있으며 태권도 주요 프로그램 또한 내면의 단련에는 다소 소홀해 보인다.
때문에 관장 및 지도자는 단원의 내면 단련을 위해 명상 및 인성교육을 철저히 행해야 한다. 또한 지도자는 태권도의 전문가이니, 명상과 인성교육 등의 전문가를 초빙하는 시스템을 전국적으로 매뉴얼로서 갖추어야 한다. 지역 태권도장 마다 심리교육학자 혹은 심리관련 전문가와 협업하는 것도 방법이다. 혹은 책
이 모든 것은 관장, 지역 태권도장이라는 개인적인 범위에서 행해져야 하는 것이 아닌, 협회의 범위에서 전국적으로 규정화 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반드시 개인의 한계에 부딪히게 될 것이며 결국 피해는 고스란히 아이들이 받게 될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 [칼럼]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 어떻게 짜고 지도할 것인가?, 태권박스 미디어팀, 태권박스 미디어, 20019.10.30, http://www.tkdbox.com/칼럼-태권도-수련-프로그램-어떻게-짜고-지도할-것인/
- 명상 프로그램이 아동의 우울성향 감소에 미치는 효과, 김유미, 서울교육대학교, 2008.02
- KTA 태권도 인성교육, 대한태권도협회, 김병준, 임태희, 정문자, 최중구, 이지훈, 이종천 저자, 애니빅, 2013.
추천자료
건강운동 및 여가활동으로서 성인 태권도의 활성화 방안 - 성인 태권도 (태권도의 정의·특징·...
태권도의 본질 회복으로서 겨루기 수련의 활성화 방안 [겨루기 수련]
효과적인 태권도장 홍보 전략 방안 - 태권도장 홍보 전략
[태권도 승단] 저급 유단자(1~3단)의 태권도 수련 중단의 대처 방안 - 수련중단
[태권도수련자 감소예방 태권도장경영전략] 태권도 수련자 감소 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태권도...
[태권도승단] 태권도 학부모의 태권도장 선택요인
태권도 도장의 경쟁력 강화 방안
[태권도승단] 태권도장 위기 극복을 위한 관계기관의 역활
태권도실기) 태권도장 수련프로그램 다양화 방안에 대해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