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84
47
2.766
346.381
122.507
422.511
149.433
0.083
48
2.826
355.614
125.773
422.411
149.397
0.079
49
2.885
365.410
129.237
422.438
149.407
0.076
50
2.946
374.500
132.452
422.099
149.287
0.074
51
3.005
382.406
135.249
422.443
149.408
0.070
52
3.065
389.948
137.916
422.322
149.366
0.068
53
3.125
397.185
140.476
422.410
149.397
0.066
54
3.186
405.358
143.366
422.223
149.331
0.061
55
3.245
411.397
145.502
422.519
149.435
0.059
56
3.310
416.197
147.199
422.505
149.431
0.055
57
3.370
420.953
148.882
422.184
149.317
0.050
58
3.430
426.513
150.848
422.541
149.443
0.045
59
3.490
431.224
152.514
422.475
149.420
0.045
60
3.550
434.840
153.793
422.314
149.363
0.044
61
3.610
438.896
155.228
422.577
149.456
0.043
62
3.670
443.385
156.815
422.442
149.408
0.042
63
3.730
445.738
157.648
422.571
149.454
0.039
64
3.790
447.445
158.251
422.430
149.404
0.037
65
3.849
450.409
159.299
422.377
149.385
0.036
66
3.909
451.559
159.706
422.334
149.370
0.032
67
3.969
452.845
160.161
422.586
149.459
0.029
68
4.029
452.460
160.025
422.670
149.489
0.027
69
4.089
452.731
160.121
422.760
149.521
0.026
70
4.150
452.018
159.869
422.502
149.430
0.026
71
4.215
450.265
159.249
422.431
149.405
0.026
72
4.270
451.114
159.549
422.474
149.420
0.025
73
4.330
449.174
158.863
422.495
149.427
0.026
74
4.390
444.552
157.228
422.538
149.442
0.025
75
4.450
445.032
157.398
422.676
149.491
0.024
76
4.509
436.447
154.361
422.476
149.420
0.024
77
4.569
435.470
154.016
422.485
149.423
0.024
78
4.629
432.658
153.021
422.419
149.400
0.024
79
4.689
430.112
152.121
422.664
149.487
0.023
80
4.749
428.766
151.645
422.549
149.446
0.023
81
4.809
426.159
150.723
422.635
149.476
0.023
82
4.869
425.641
150.540
422.694
149.497
0.026
83
4.929
427.752
151.286
422.553
149.447
0.023
84
4.989
428.221
151.452
422.495
149.427
0.024
85
5.049
426.853
150.969
422.608
149.467
0.023
86
5.108
423.725
149.862
422.740
149.514
0.025
6.2 그래프 정리
6.2.1 전단응력
6.2.2 수직변위
6.2.3 전단응력 - 수직응력 그래프
수직응력
49.66
100.177
149.459
전단응력
67.510
119.732
160.161
c = 0 / tan(φ) = 1.1276 / φ() = (1.1276) = 48.43213
7. 고찰
압밀시험을 진행하면서 수직응력별 실험을 완료했다. 실험을 진행하면서 크게 3가지의 문제점이 있었고, 이 부분을 보완하여 결과레포트를 작성하였다.
첫 번째로 실험이론에 대한 숙지 부족이다. 전단응력를 구하기 위해서 실행하는 실험이었으며, 실험 전 시료의 높이와 지름, 무게 등을 모두 기록했어야 했다. 하지만, 우리 조는 그 부분에서 기록을 따로 하지 않았다. 때문에 결과레포트를 쓰는 중 전단시험장치 공시체의 크기와 높이를 측정했고, 자료를 정리하지 않았기에 헤매는 시간이 길었다.
두 번째로 실험 진행에서 발생한 오차이다. 실험을 진행하면서 어느부분은 다짐이 제대로 되지 않고, 어느부분은 과하게 다짐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실험을 제대로 숙지하지 않아 중간 응력인 100kpa에서 강하게 다짐하여 150kpa에서는 원하는 데이터가 나오지 않았다. 이 부분은 추후 재실험을 통해 결과값을 얻었긴 하였으나 처음부터 제대로 쟀으면 더 좋았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단응력을 측정하기 전 작도법에서의 오류이다. 아무래도 추세선을 작도하기 때문에 사람마다 조금의 오차가 발생하고 정확한 값을 추정하기가 어렵다. 오후 분반의 데이터를 통해서 적절한 추세선을 작도할 수 있었고, 이런 부분에서 작도법이 어느 정도 오차를 야기했다고 생각한다.
4명의 팀원이 전단시험 후 데이터를 통해 전단응력을 측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직접 경험해보면서 전단단원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다.
47
2.766
346.381
122.507
422.511
149.433
0.083
48
2.826
355.614
125.773
422.411
149.397
0.079
49
2.885
365.410
129.237
422.438
149.407
0.076
50
2.946
374.500
132.452
422.099
149.287
0.074
51
3.005
382.406
135.249
422.443
149.408
0.070
52
3.065
389.948
137.916
422.322
149.366
0.068
53
3.125
397.185
140.476
422.410
149.397
0.066
54
3.186
405.358
143.366
422.223
149.331
0.061
55
3.245
411.397
145.502
422.519
149.435
0.059
56
3.310
416.197
147.199
422.505
149.431
0.055
57
3.370
420.953
148.882
422.184
149.317
0.050
58
3.430
426.513
150.848
422.541
149.443
0.045
59
3.490
431.224
152.514
422.475
149.420
0.045
60
3.550
434.840
153.793
422.314
149.363
0.044
61
3.610
438.896
155.228
422.577
149.456
0.043
62
3.670
443.385
156.815
422.442
149.408
0.042
63
3.730
445.738
157.648
422.571
149.454
0.039
64
3.790
447.445
158.251
422.430
149.404
0.037
65
3.849
450.409
159.299
422.377
149.385
0.036
66
3.909
451.559
159.706
422.334
149.370
0.032
67
3.969
452.845
160.161
422.586
149.459
0.029
68
4.029
452.460
160.025
422.670
149.489
0.027
69
4.089
452.731
160.121
422.760
149.521
0.026
70
4.150
452.018
159.869
422.502
149.430
0.026
71
4.215
450.265
159.249
422.431
149.405
0.026
72
4.270
451.114
159.549
422.474
149.420
0.025
73
4.330
449.174
158.863
422.495
149.427
0.026
74
4.390
444.552
157.228
422.538
149.442
0.025
75
4.450
445.032
157.398
422.676
149.491
0.024
76
4.509
436.447
154.361
422.476
149.420
0.024
77
4.569
435.470
154.016
422.485
149.423
0.024
78
4.629
432.658
153.021
422.419
149.400
0.024
79
4.689
430.112
152.121
422.664
149.487
0.023
80
4.749
428.766
151.645
422.549
149.446
0.023
81
4.809
426.159
150.723
422.635
149.476
0.023
82
4.869
425.641
150.540
422.694
149.497
0.026
83
4.929
427.752
151.286
422.553
149.447
0.023
84
4.989
428.221
151.452
422.495
149.427
0.024
85
5.049
426.853
150.969
422.608
149.467
0.023
86
5.108
423.725
149.862
422.740
149.514
0.025
6.2 그래프 정리
6.2.1 전단응력
6.2.2 수직변위
6.2.3 전단응력 - 수직응력 그래프
수직응력
49.66
100.177
149.459
전단응력
67.510
119.732
160.161
c = 0 / tan(φ) = 1.1276 / φ() = (1.1276) = 48.43213
7. 고찰
압밀시험을 진행하면서 수직응력별 실험을 완료했다. 실험을 진행하면서 크게 3가지의 문제점이 있었고, 이 부분을 보완하여 결과레포트를 작성하였다.
첫 번째로 실험이론에 대한 숙지 부족이다. 전단응력를 구하기 위해서 실행하는 실험이었으며, 실험 전 시료의 높이와 지름, 무게 등을 모두 기록했어야 했다. 하지만, 우리 조는 그 부분에서 기록을 따로 하지 않았다. 때문에 결과레포트를 쓰는 중 전단시험장치 공시체의 크기와 높이를 측정했고, 자료를 정리하지 않았기에 헤매는 시간이 길었다.
두 번째로 실험 진행에서 발생한 오차이다. 실험을 진행하면서 어느부분은 다짐이 제대로 되지 않고, 어느부분은 과하게 다짐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실험을 제대로 숙지하지 않아 중간 응력인 100kpa에서 강하게 다짐하여 150kpa에서는 원하는 데이터가 나오지 않았다. 이 부분은 추후 재실험을 통해 결과값을 얻었긴 하였으나 처음부터 제대로 쟀으면 더 좋았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단응력을 측정하기 전 작도법에서의 오류이다. 아무래도 추세선을 작도하기 때문에 사람마다 조금의 오차가 발생하고 정확한 값을 추정하기가 어렵다. 오후 분반의 데이터를 통해서 적절한 추세선을 작도할 수 있었고, 이런 부분에서 작도법이 어느 정도 오차를 야기했다고 생각한다.
4명의 팀원이 전단시험 후 데이터를 통해 전단응력을 측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직접 경험해보면서 전단단원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