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나는 어떤 모습인가?
I. 서론
II. 나의 심리적 측면
III. 나의 행동적 측면
Ⅳ. 나는 어떤 모습인가?
Ⅴ. 출처 및 참고문헌
I. 서론
II. 나의 심리적 측면
III. 나의 행동적 측면
Ⅳ. 나는 어떤 모습인가?
Ⅴ.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함과 활달함 가운데 나는 활달함이다. 또한 신경성의 양 끝단 가운데 나는 불안정하다. 주변에서 보는 나는 상냥한지만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보는 나는 불쾌감을 쉽게 드러내는 사람이다. 게다가 개방성을 묻는 물음에 나는 유연하다고 답변했지만, 실제 내가 현재 옳다고 느끼는 어떤 사안에 대해 무척 확고하게 결정지은 후 결과를 번복하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이처럼 고집 세고 불쾌감이 높은 나의 행동과 성격은 사회 속에서 쉽게 드러나지 않는다. 이런 행동과 성격은 타인 앞에서도 보다는 나만 있는 곳에 국한되고 대부분 조절도 가능하다.
이렇게 행동하는 이유는 과거의 내가 경험한 것으로 얻어진 모든 행동의 집합 상태에서 나타난다. 게다가 우리는 아주 어린 순간부터 학교라는 환경에서 타인과 더불어 집단을 형성하며 성장했다. 그러므로 사회적 학습으로 굳어진 나의 행동과 성격은 점차 타인에게 영향을 받으면서 습득되고 교정되며 변했다고 생각한다. 즉 사회적 상호작용 가운데 내 생각이나 느낌, 그리고 행동은 영향을 받고 또 다른 측면에서 타인의 성격에 행동에 내가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하지만 최근 한 뇌과학 연구에 의하면 의지나 욕구도 모두 뇌에서 작용하는 일종의 화학 작용이라는 연구와 우리 몸에 사는 미생물에 의한 반응이라는 연구도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나는 나의 의지를 토대로 성격이 형성되고 스스로 행동한다고 믿지만 실제로는 일종의 프로그램 속에서 발현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Ⅳ. 나는 어떤 모습인가?
현재 나의 성격과 행동이 어떻게 발생했는지를 심리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게 되어 나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바쁘게 살아온 10대와 20대를 지난 현재 30대 나는 이 나이 모든 여성의 고민과 더불어 세상에 흥미를 잃어가고 있다. 하지만 또 다른 측면에서 바라보면 관심사가 변화한 것이지 흥미 자체가 없어진 것은 아닌 듯하다. 그런 이유에서 열정은 다소 식었지만, 여전히 하고 싶은 것이 많은 현재의 나는 우울하지만, 행복을 아는 사람이라 생각한다.
Ⅴ. 출처 및 참고문헌
엄정연(2017). “한국 임상심리학자의 종합심리검사에 대한 견해와 활용 실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김미선(2017). “성격검사 및 전산화신경심리검사를 통한 사상체질별 성격, 인지 특성 연구”,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 박사 논문.
인터넷 상담. ‘트로스트’ https://trost.co.kr/
이렇게 행동하는 이유는 과거의 내가 경험한 것으로 얻어진 모든 행동의 집합 상태에서 나타난다. 게다가 우리는 아주 어린 순간부터 학교라는 환경에서 타인과 더불어 집단을 형성하며 성장했다. 그러므로 사회적 학습으로 굳어진 나의 행동과 성격은 점차 타인에게 영향을 받으면서 습득되고 교정되며 변했다고 생각한다. 즉 사회적 상호작용 가운데 내 생각이나 느낌, 그리고 행동은 영향을 받고 또 다른 측면에서 타인의 성격에 행동에 내가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하지만 최근 한 뇌과학 연구에 의하면 의지나 욕구도 모두 뇌에서 작용하는 일종의 화학 작용이라는 연구와 우리 몸에 사는 미생물에 의한 반응이라는 연구도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나는 나의 의지를 토대로 성격이 형성되고 스스로 행동한다고 믿지만 실제로는 일종의 프로그램 속에서 발현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Ⅳ. 나는 어떤 모습인가?
현재 나의 성격과 행동이 어떻게 발생했는지를 심리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게 되어 나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바쁘게 살아온 10대와 20대를 지난 현재 30대 나는 이 나이 모든 여성의 고민과 더불어 세상에 흥미를 잃어가고 있다. 하지만 또 다른 측면에서 바라보면 관심사가 변화한 것이지 흥미 자체가 없어진 것은 아닌 듯하다. 그런 이유에서 열정은 다소 식었지만, 여전히 하고 싶은 것이 많은 현재의 나는 우울하지만, 행복을 아는 사람이라 생각한다.
Ⅴ. 출처 및 참고문헌
엄정연(2017). “한국 임상심리학자의 종합심리검사에 대한 견해와 활용 실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김미선(2017). “성격검사 및 전산화신경심리검사를 통한 사상체질별 성격, 인지 특성 연구”,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 박사 논문.
인터넷 상담. ‘트로스트’ https://trost.co.kr/
추천자료
[이상심리] 연극성 성격장애에 대한 이해와 원인 및 치료 방안 (2007년 ★★★★★ 추천 우수 레포...
보육과정의 세 가지(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 접근법을 심리 철학점 요소, 운영요소, ...
[심리학개론]자기분석 부제 나는 - 현재 자신의 성격적, 행동적 특징 등을 분석해 보는 것입...
피아제 콜버그 엘리스의 이론(인지발달이론 도덕성발달이론 합리정서치료이론)
[인지이론]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 엘리스(Ellis)의 합리적 정서치료이론
[인지이론과 행동주의이론] 피아제(Piaget), 엘리스(Ellis), 스키너(Skinner), 반두라(Bandur...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엘리스의 합리정서행동치료이론, 행...
심리학개론 ) 자기분석 - 부제 나는 - 현재 자신의 성격적, 행동적 특징 등을 분석해 보는 것...
심리학개론 ) 자기분석, 부제 - 나는, 현재 자신의 성격적,행동적 특징 등을 분석해 보는 것...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