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모품비로 2,000원이 있으며 남아있는 소모품은 500인 경우
(이 경우에는 이미 소모품비용으로 2,000원이 처리되어 있으므로 추가 분개는 필요하지 않음)
4. 임대로 선수액은 1,000원이다.
선수임대료 1,000 = 임대료 1,000
4. 다음의 시산표를 이용하여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약식으로 작성하시오.
합계잔액시산표
차 변
계정과목
대 변
②잔 액
①합 계
①합 계
②잔 액
593,000
30,000
25,000
200,000
100,000
70,000
40,000
12,000
880,000
100,000
25,000
200,000
100,000
70,000
100,000
40,000
12,000
현금
외상매출금
소모품
상품
건물
차량운반구
외상매입금
미지급금
미지급비용
단기차입금
자본금
매출
급여
보험료
287,000
70,000
150,000
70,000
40,000
10,000
500,000
400,000
50,000
70,000
40,000
10,000
500,000
400,000
1,070,000
1,527,000
1,527,000
1,070,000
풀이)
<재무상태표>
1) 자산:
- 현금: 593,000 (차변 잔액)
- 외상매출금: 30,000 (차변 잔액)
- 소모품: 25,000 (차변 잔액)
- 상품: 200,000 (차변 잔액)
- 건물: 100,000 (차변 잔액)
- 차량운반구: 70,000 (차변 잔액)
- 총 자산: 1,018,000
2) 부채:
- 외상매입금: 50,000 (대변 잔액)
- 미지금급: 70,000 (대변 잔액)
- 미지급비용: 40,000 (대변 잔액)
- 단기차입금: 10,000 (대변 잔액)
- 총 부채: 170,000
3) 자본:
- 자본금: 500,000
- 총 자본: 500,000
- 이익잉여금 (매출 - 급여 - 보험료 = 400,000 - 40,000 - 12,000): 348,000
<손익계산서>
1) 매출: 400,000
2) 비용:
- 급여: 40,000
- 보험료: 12,000
- 총 비용: 52,000
- 영업이익 (매출 - 총 비용): 348,000
5. 4번의 시산표 계정 중 ‘현금, 단기차입금, 자본금, 매출, 급여’ 계정을 마감하시오.
손익계정의 마감은 집합손익계정을 사용하며, 이익잉여금으로 대체까지 진행하시오.
1) 손익계정 마감: 매출, 급여
- 매출은 수익이므로 집합손익계정의 대변에 기록
- 급여는 비용이므로 집합손익계정의 차변에 기록
- 차변: 급여 40,000
- 대변: 매출 400,000
2) 잔액 계산:
- 집합손익계정 잔액 = 400,000 (매출) - 40,000 (급여) = 360,000 (영업이익)
3) 잔액을 이익잉여금으로 이월:
- 이익잉여금에 360,000원을 더합니다. (영업이익만을 고려했으며, 다른 손익은 고려하지 않았음)
4) 현금, 단기차입금, 자본금 계정 마감:
- 현금, 단기차입금, 자본금은 재무상태표 계정이므로 직접 마감되지 않음. 대신 이익잉여금과 연결됨
- 영업이익인 360,000원은 이익잉여금으로 이월됨
(이 경우에는 이미 소모품비용으로 2,000원이 처리되어 있으므로 추가 분개는 필요하지 않음)
4. 임대로 선수액은 1,000원이다.
선수임대료 1,000 = 임대료 1,000
4. 다음의 시산표를 이용하여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약식으로 작성하시오.
합계잔액시산표
차 변
계정과목
대 변
②잔 액
①합 계
①합 계
②잔 액
593,000
30,000
25,000
200,000
100,000
70,000
40,000
12,000
880,000
100,000
25,000
200,000
100,000
70,000
100,000
40,000
12,000
현금
외상매출금
소모품
상품
건물
차량운반구
외상매입금
미지급금
미지급비용
단기차입금
자본금
매출
급여
보험료
287,000
70,000
150,000
70,000
40,000
10,000
500,000
400,000
50,000
70,000
40,000
10,000
500,000
400,000
1,070,000
1,527,000
1,527,000
1,070,000
풀이)
<재무상태표>
1) 자산:
- 현금: 593,000 (차변 잔액)
- 외상매출금: 30,000 (차변 잔액)
- 소모품: 25,000 (차변 잔액)
- 상품: 200,000 (차변 잔액)
- 건물: 100,000 (차변 잔액)
- 차량운반구: 70,000 (차변 잔액)
- 총 자산: 1,018,000
2) 부채:
- 외상매입금: 50,000 (대변 잔액)
- 미지금급: 70,000 (대변 잔액)
- 미지급비용: 40,000 (대변 잔액)
- 단기차입금: 10,000 (대변 잔액)
- 총 부채: 170,000
3) 자본:
- 자본금: 500,000
- 총 자본: 500,000
- 이익잉여금 (매출 - 급여 - 보험료 = 400,000 - 40,000 - 12,000): 348,000
<손익계산서>
1) 매출: 400,000
2) 비용:
- 급여: 40,000
- 보험료: 12,000
- 총 비용: 52,000
- 영업이익 (매출 - 총 비용): 348,000
5. 4번의 시산표 계정 중 ‘현금, 단기차입금, 자본금, 매출, 급여’ 계정을 마감하시오.
손익계정의 마감은 집합손익계정을 사용하며, 이익잉여금으로 대체까지 진행하시오.
1) 손익계정 마감: 매출, 급여
- 매출은 수익이므로 집합손익계정의 대변에 기록
- 급여는 비용이므로 집합손익계정의 차변에 기록
- 차변: 급여 40,000
- 대변: 매출 400,000
2) 잔액 계산:
- 집합손익계정 잔액 = 400,000 (매출) - 40,000 (급여) = 360,000 (영업이익)
3) 잔액을 이익잉여금으로 이월:
- 이익잉여금에 360,000원을 더합니다. (영업이익만을 고려했으며, 다른 손익은 고려하지 않았음)
4) 현금, 단기차입금, 자본금 계정 마감:
- 현금, 단기차입금, 자본금은 재무상태표 계정이므로 직접 마감되지 않음. 대신 이익잉여금과 연결됨
- 영업이익인 360,000원은 이익잉여금으로 이월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