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1. 서론
2. 본론
가. 사회복지관
나. 노인복지시설
다. 아동복지시설
라. 장애인복지시설
마. 다문화복지시설
바. 정신보건시설
사. 자활후견기관
3. 결론
※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가. 사회복지관
나. 노인복지시설
다. 아동복지시설
라. 장애인복지시설
마. 다문화복지시설
바. 정신보건시설
사. 자활후견기관
3.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관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16조, 동법 시행령 제22조, 동법 시행규칙 제27조~제30조에 의해 설치 운영되는 시설로 근로능력이 있는 저소득층에게 집중적 체계적인 자활지원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자활의욕 고취 및 자립능력 향상을 지원하고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의 자활촉진에 필요한 사업을 수행하는 핵심 인프라로서의 역할을 수행토록 하는 것이 기관의 목적이다.
주요사업으로는 자활의욕 고취를 위한 교육(한글학교 컴퓨터교실 등)을 개발 운영, 생업(창업)을 위한 자금융자 알선, 자영창업 지원 및 기술 경영지도, 자활공동체의 설립 운영지원, 기타 자활을 위한 각종 사업 등을 실시하고 있다. 한편 자활후견기관의 부설기관으로서 청소년자활훈련기관도 운영하고 있는데, 이 기관은 저소득층 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취업 및 자활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을 함과 동시에, 건전한 문화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빈곤문화의 세대전승을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운영된다.
3. 결론
사업복지사업법 제2조(정의)에 명시된 각 목의 법률에 근거한 대표적인 사회복지시설들을 크게 분류하여 각 시설의 유형과 설치목적과 방법에 대하여 조사하여 보았다. 2020년 우리나라는 사회복지시설이 나날이 그 수가 증가하고 세분화 되어가고 있어, 점점 사회복지시설은 전문화 되고 그 전문성을 토대로 지역별로 시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만큼 지역사회에서 사회복지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되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사회복사업법에 명시된 많은 사회복지시설을 전부 다 상세히 파악하고 그 기능을 설명할 수 없었으나, 현재 대표적인 시설들을 통하여 그 기능과 목적을 알아보므로 인하여, 사회복지시설들이 우리 사회곁에 어떠한 시설들이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16335&efYd=20200701#0000)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16조, 동법 시행령 제22조, 동법 시행규칙 제27조~제30조에 의해 설치 운영되는 시설로 근로능력이 있는 저소득층에게 집중적 체계적인 자활지원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자활의욕 고취 및 자립능력 향상을 지원하고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의 자활촉진에 필요한 사업을 수행하는 핵심 인프라로서의 역할을 수행토록 하는 것이 기관의 목적이다.
주요사업으로는 자활의욕 고취를 위한 교육(한글학교 컴퓨터교실 등)을 개발 운영, 생업(창업)을 위한 자금융자 알선, 자영창업 지원 및 기술 경영지도, 자활공동체의 설립 운영지원, 기타 자활을 위한 각종 사업 등을 실시하고 있다. 한편 자활후견기관의 부설기관으로서 청소년자활훈련기관도 운영하고 있는데, 이 기관은 저소득층 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취업 및 자활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을 함과 동시에, 건전한 문화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빈곤문화의 세대전승을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운영된다.
3. 결론
사업복지사업법 제2조(정의)에 명시된 각 목의 법률에 근거한 대표적인 사회복지시설들을 크게 분류하여 각 시설의 유형과 설치목적과 방법에 대하여 조사하여 보았다. 2020년 우리나라는 사회복지시설이 나날이 그 수가 증가하고 세분화 되어가고 있어, 점점 사회복지시설은 전문화 되고 그 전문성을 토대로 지역별로 시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만큼 지역사회에서 사회복지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되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사회복사업법에 명시된 많은 사회복지시설을 전부 다 상세히 파악하고 그 기능을 설명할 수 없었으나, 현재 대표적인 시설들을 통하여 그 기능과 목적을 알아보므로 인하여, 사회복지시설들이 우리 사회곁에 어떠한 시설들이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16335&efYd=20200701#000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