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봉차트와 연결봉에 대한 보고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식 봉차트와 연결봉에 대한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차트는 주가를 예측한다.
2. 봉차트란 무엇인가?
3. 봉차트와 연결봉으로 주가 예측하기
4. 연결봉으로 매매전략 살펴보기

본문내용

상승 갭이 발생할 때
추가 상승이 예상되므로 매도는 늦추는 것이 좋다.
※ 갭이란 무엇인가?
상습갭은 매수세력이 매우 강하거나 돌바호재 출현시에, 하락갭은 매도세력이 매우 강하거나 돌발악재 출현시에 주로 발생한다. 매매전략을 세울 때는 상습갭이 발생하면 추가 상승의 관점에서 보고, 하락갭이 발생하면 추가 하락의 관점에서 본다. 그러나 상승갭이 발생한 후 신고점을 경신하지 못하면 매도하고, 하락갭이 발생한 후 신저점을 경신하지 못하면 매수로 대응한다.
7) 하락 중에 하락 갭이 발생할 때
매도 관점에서 보되 매수는 준비만 하는 것이 좋다. 보통 악재가 나왔을 때 겁먹은 사람들이 투매할 때 발생한다.
8) 천정권에서 장대 같은 위 꼬리가 나타날 때
주가가 오른 상태에서 몸통보다 3~4배나 긴 꼬리가 달린 역망치형 봉이 나타난 경우이다. 지나친 상승 때문에 매물을 받은 경우로, 하락할 가능성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매도하거나 매도 준비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
9) 두 손모아 기도하는 모습의 차트
매수세력과 매도 세력이 번갈아 가면서 힘을 겨루는 모습으로 조만간 주가의 변화가 예상된다. 천정권에서는 매도 신호, 바닥권에서는 매수 신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10) 적삼병과 흑삼병
.
적삼병이란 주가가 3일 연속 상승한 경우이다. 보통 주가가 3일 연속 상승한 후 하루 하락한 경우가 있는데, 이를 적삼병 후 흑일병이라고 하며 매수기회로 이용한다.
흑삼병이란 주가가 3일 연속 하락한 경우이다. 보통 주가가 3일 연속 하락한 후 하루 반등한 경우가 있는데, 이를 흑삼병 후 적일병이라고 하며 매도기회로 이용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4.01.16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68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