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한국미술의 이해
A+
족보
조아미타삼존불좌상 및 목각탱, 1684년, 경북 용문사
: 불상 뒤에 나무를 깍아서 만든 조각상이 있음
남장사 목각탱, 경북 남장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1748년, 강원 백담사
: 육계부분이 잘 나타나 있지 않음, 목이 짧음, 약간 고개를 앞으로 숙음, 옷주름이 단조로움, 머리와 육계부분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음
목조석가여래좌상, 청도 대비사
: 머리와 육계부분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음
경북 고령 양전동 암각화 : 암벽에 새긴 조각, 동심원은 태양을 상징, 주위에 있는 모양은 밭이나 논을 묘사함, 기원을 하기 위한 것
고구려벽화 고분분포도 : 만주, 평양 중심으로 90여개
장군총 : 만주의 지반이라는 곳에 있음, 돌을 깍아서 쌓아 올림(적석총)
안악3호분, 357년 : 흙을 쌓아서 올림(봉토분)
안악3호분 평명도 : 티자형으로 구성됨, 서쪽과 동쪽으로 작은 방이 있음
묘주도 안악3호분 : 묘의 주인, 상이라고 하는 곳에 앉아 있음, 오른손에는 부채, 협괘라는 곳에 기대어 있음,고구려 벽화지만 중국 사람인것 같음, 투명한 관을 쓰고 있음(백라관: 왕만이 쓰는 관)
묘주부인도, 안악3호관 : 부인을 크게 그리고 시녀는 작게 그림, 주인공부부를 강조하기 위함
묘지묵서, 안악3호분 : 357년, 동수라고 하는 사람의 이름이 있음(중국사람이나 고구려로 망명함),
주방과 육고, 안악3호분 : 고구려의 주방과 고기창고, 지붕의 비해서 고기가 큼,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풍습을 나타냄. 고구려인들의 생활 모습을 나타냄
행렬도, 안악3호분 : 중국사람의 무덤으로 해석, 군인과 악기로 근거
수박도, 안악3호분
덕흥리고분, 407년 : 진이라는 사람의 무덤,
덕흥리고분단면도 : 2개의 방과 아치형지붕(궁륭형), 전실과 현실, 안학과 다른 평면 배치 입구에 전실이 있고 다음에 현실이 있다.
묘주도, 덕흥리고분 : 상이라는 곳에 주인이 있고 오른손에는 부채, 협괘라는 작은 책상
13군태수도, 덕흥리고분 : 주인공의 생전에 생활한 모습을 나타냄,
기록용으로서의 그림
우차도, 덕흥리고분 : 주인공이 여행하는 모습, 일산을 들고 있는 이유는 높은 사람이 행차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냄
견우직녀도, 덕흥리고분 : 천정에 그려짐, 하늘에 모습, 중국의 이야기
천정도(전실남쪽), 덕흥리고분 : 상상 속의 동물(중국이 생각했던 천상 세계), 중국의 산해경, 신선신앙과 관련된 책에 나타남
천정도(전실남쪽), 덕흥리고분 : 이생과 같은 모습, 그림을 논할 때 가장 중요한 것-기운생동(그림이 살아있느냐, 죽어있느냐)
시녀도, 수산리고분 : 시녀가 입고 있는 옷으로 통해 일본의 고분벽화에도 영향를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음(중요함)
씨름도, 각저총 : 형식적인 나무, 씨름하는 사람을 중심으로 그림, 점차 고구려적인 벽화로
쌍영총 : 영은 기둥이라는 뜻이고 쌍은 2개라는 뜻, 주인공의 그림이 작음
묘주부부도, 쌍영총 : 부부가 같이 그려짐
수렵도, 무용총 : 작은 산들이 그려짐(처음으로)
강서삼묘,평양의 근교, 새로운 모티브가 나타남
주작도, 강서대묘 : 새가 큰 의미를 가짐, 강인한 생명력을 나타냄, 동-청룡, 서-백호, 남-주작, 북-현무
현무도, 강서대묘 : 거북과 뱀이 2마리가 있음
백호도, 강서중묘 : 몸이 매우 김, 상상 속의 신
주작도, 강서중묘 : 묘의 입구는 남쪽, 양옆으로 2마리, 대묘의 것보다 원숙한 모습을 보임
청룡도, 강서중묘 : 백호의 그림과 거의 같음
천정도, 강성중묘 : 하늘을 나타냄, 왼쪽은 태양, 오른쪽은 달(개구리가 있음-중국의 영향)
고구려-중궁의 영향으로 중국적 그림 세월이 흐르며 고구려적 그림 기록용보다는 신선사상을 띤 그림 모티브도 생활의 모습에서 산악으 모습으로 좀더 친숙한 그림으로 바뀌어감
능산리1호분 벽화, 충남 부여 : 백제, 가장 동쪽에 있는 무덤에 입구가 있음, 고구려보다 원숙한 맛이 떨어짐. 많이 남아있지 않음.
천마총 천마도 : 신라, 창공을 나는 천마의 모습, 뿔이 있으면 기린이라고 함, 구식적인 예스러운 모습 우아한 모습은 보이지 않음.
A+
족보
조아미타삼존불좌상 및 목각탱, 1684년, 경북 용문사
: 불상 뒤에 나무를 깍아서 만든 조각상이 있음
남장사 목각탱, 경북 남장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1748년, 강원 백담사
: 육계부분이 잘 나타나 있지 않음, 목이 짧음, 약간 고개를 앞으로 숙음, 옷주름이 단조로움, 머리와 육계부분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음
목조석가여래좌상, 청도 대비사
: 머리와 육계부분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음
경북 고령 양전동 암각화 : 암벽에 새긴 조각, 동심원은 태양을 상징, 주위에 있는 모양은 밭이나 논을 묘사함, 기원을 하기 위한 것
고구려벽화 고분분포도 : 만주, 평양 중심으로 90여개
장군총 : 만주의 지반이라는 곳에 있음, 돌을 깍아서 쌓아 올림(적석총)
안악3호분, 357년 : 흙을 쌓아서 올림(봉토분)
안악3호분 평명도 : 티자형으로 구성됨, 서쪽과 동쪽으로 작은 방이 있음
묘주도 안악3호분 : 묘의 주인, 상이라고 하는 곳에 앉아 있음, 오른손에는 부채, 협괘라는 곳에 기대어 있음,고구려 벽화지만 중국 사람인것 같음, 투명한 관을 쓰고 있음(백라관: 왕만이 쓰는 관)
묘주부인도, 안악3호관 : 부인을 크게 그리고 시녀는 작게 그림, 주인공부부를 강조하기 위함
묘지묵서, 안악3호분 : 357년, 동수라고 하는 사람의 이름이 있음(중국사람이나 고구려로 망명함),
주방과 육고, 안악3호분 : 고구려의 주방과 고기창고, 지붕의 비해서 고기가 큼,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풍습을 나타냄. 고구려인들의 생활 모습을 나타냄
행렬도, 안악3호분 : 중국사람의 무덤으로 해석, 군인과 악기로 근거
수박도, 안악3호분
덕흥리고분, 407년 : 진이라는 사람의 무덤,
덕흥리고분단면도 : 2개의 방과 아치형지붕(궁륭형), 전실과 현실, 안학과 다른 평면 배치 입구에 전실이 있고 다음에 현실이 있다.
묘주도, 덕흥리고분 : 상이라는 곳에 주인이 있고 오른손에는 부채, 협괘라는 작은 책상
13군태수도, 덕흥리고분 : 주인공의 생전에 생활한 모습을 나타냄,
기록용으로서의 그림
우차도, 덕흥리고분 : 주인공이 여행하는 모습, 일산을 들고 있는 이유는 높은 사람이 행차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냄
견우직녀도, 덕흥리고분 : 천정에 그려짐, 하늘에 모습, 중국의 이야기
천정도(전실남쪽), 덕흥리고분 : 상상 속의 동물(중국이 생각했던 천상 세계), 중국의 산해경, 신선신앙과 관련된 책에 나타남
천정도(전실남쪽), 덕흥리고분 : 이생과 같은 모습, 그림을 논할 때 가장 중요한 것-기운생동(그림이 살아있느냐, 죽어있느냐)
시녀도, 수산리고분 : 시녀가 입고 있는 옷으로 통해 일본의 고분벽화에도 영향를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음(중요함)
씨름도, 각저총 : 형식적인 나무, 씨름하는 사람을 중심으로 그림, 점차 고구려적인 벽화로
쌍영총 : 영은 기둥이라는 뜻이고 쌍은 2개라는 뜻, 주인공의 그림이 작음
묘주부부도, 쌍영총 : 부부가 같이 그려짐
수렵도, 무용총 : 작은 산들이 그려짐(처음으로)
강서삼묘,평양의 근교, 새로운 모티브가 나타남
주작도, 강서대묘 : 새가 큰 의미를 가짐, 강인한 생명력을 나타냄, 동-청룡, 서-백호, 남-주작, 북-현무
현무도, 강서대묘 : 거북과 뱀이 2마리가 있음
백호도, 강서중묘 : 몸이 매우 김, 상상 속의 신
주작도, 강서중묘 : 묘의 입구는 남쪽, 양옆으로 2마리, 대묘의 것보다 원숙한 모습을 보임
청룡도, 강서중묘 : 백호의 그림과 거의 같음
천정도, 강성중묘 : 하늘을 나타냄, 왼쪽은 태양, 오른쪽은 달(개구리가 있음-중국의 영향)
고구려-중궁의 영향으로 중국적 그림 세월이 흐르며 고구려적 그림 기록용보다는 신선사상을 띤 그림 모티브도 생활의 모습에서 산악으 모습으로 좀더 친숙한 그림으로 바뀌어감
능산리1호분 벽화, 충남 부여 : 백제, 가장 동쪽에 있는 무덤에 입구가 있음, 고구려보다 원숙한 맛이 떨어짐. 많이 남아있지 않음.
천마총 천마도 : 신라, 창공을 나는 천마의 모습, 뿔이 있으면 기린이라고 함, 구식적인 예스러운 모습 우아한 모습은 보이지 않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