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 및 배터리 산업에 대한 핵심적인 이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차전지 및 배터리 산업에 대한 핵심적인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인류에게 전기차가 먼저였다.
2) 배터리와 이차전지
3) 혁명의 시대를 연 건 테슬라가 아니다.
4) 양극재만 기억하라
5) 고려청자의 기적이 현대에 재현되다

3. 결론

본문내용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
⑤ 코팅: 입자의 형태를 강화하는 과정
⑥ 소성: 일정한 크기의 알갱이를 만들기 위해 다시 한 번 소성 과정을 거침
⑦ 포장: 겉표면 포장 작업을 통해 안정성 증대
고려청자의 비색을 구현하는 데 도공이 평생을 바치듯이, 에코프로비엠 등 대한민국 대표 양극재 회사들이 하이니켈 양극재 기술을 정립하는 데에는 수만 번의 거듭된 실패와 십수 년이 넘는 고난의 시간이 필요했다.
3. 결론
일반 대중들이 이차전지 산업을 이해하기 위해선 다른 것은 모른다고 해도, 꼭 이해 하고 넘어가야 할 한 가지가 있다. 바로 \'에너지밀도 energy density\'이다. 에너지밀도라는 말을 많은 분들이 들어보았을 것이다. \"한국의 NCM 배터리(리튬이온 배터리의 한 종류로 니켈, 망간, 코발트로 양극재를 만든 배터리)가 중국의 LFP 배터리(리튬인산철을 사용한 배터리)에 비해 값은 비싸지만 에너지밀도가 높아서 고급차에 적합하다\" 등의 이야기 말이다.
에너지밀도는 단위 무게당 혹은 단위 부피당 저장된 에너지의 양을 의미한다. 즉 배터리 1kg 혹은 배터리 1㎥에 얼마만큼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이렇듯 에너지밀도가 높은 배터리는 좋은 전기차를 만든다. 당연히 에너지밀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중국의 LFP 배터리는 K배터리의 경쟁 상대가 될 수 없다. 정치적 이유로 밀어주는 중국 내에 서만 사용되다 사라지게 될 것이라 예측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과거에 비해 LFP 배터리가 약진하긴 하지만, 이는 중국의 전기차 시장이 세계에서 제일 빠르게 성장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일일 뿐이다.
  • 가격2,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4.01.18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70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