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왕의 남자>로 보는 사화와 연산군
1. 사화가 발생한 이유는?
2. 사화가 무엇이기에?
3. 연산군 이후의 사화는 어떻게 전개되었나요?
4. 영화 소개
Ⅱ. <조선 명탐정 : 각시투구 꽃의 비밀>로 보는 실학과 정약용
1. 실학이 무엇인가요?
2. 중농학파의 생각은?
3. 중상학파의 생각은?
4. 실학의 의의와 한계는?
5. 정약용은 누구인가?
6. 영화 소개
1. 사화가 발생한 이유는?
2. 사화가 무엇이기에?
3. 연산군 이후의 사화는 어떻게 전개되었나요?
4. 영화 소개
Ⅱ. <조선 명탐정 : 각시투구 꽃의 비밀>로 보는 실학과 정약용
1. 실학이 무엇인가요?
2. 중농학파의 생각은?
3. 중상학파의 생각은?
4. 실학의 의의와 한계는?
5. 정약용은 누구인가?
6. 영화 소개
본문내용
차지만, 퍼내지 않고 그대로 두면 썩기만 한다.’고 설명하면서 적당한 소비가 생산을 활성화시켜 상공업을 발전시킨다는 선진적인 상공업 육성 방안을 주장했다.
이처럼 중상적 실학 사상은 부국강병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상공업 발전이 필수라고 주장했다. 그래서 청을 정벌하자는 북벌을 주장하기보다는 청의 발달한 문물을 받아들여 나라 발전에 활용하자는 북학 운동을 펼쳤다.
4. 실학의 의의와 한계는?
실학은 사실에 토대를 두고 진리를 탐구하려 한 ‘실사구시학’으로 실증적인 방법으로 학문을 연구하고 그 성과를 실생활에 활용하려 한 실천적 학문이다. 또한 실학은 조선의 어려운 현실을 타개하기 위하여 각종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므로 민족적 성격을 지닌 학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 여기에 실학자들은 사회 모순을 개혁하고 상공업 육성을 통해 새로운 사회로 나아가기를 원했기 때문에 근대 지향적 성격을 가진 학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실학은 국가 정책에는 거의 반영되지 못했다. 실학자들 대부분이 몰락한 남인이거나, 중앙 정계에서 벼슬을 하고 있더라도 말단 관리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들의 개혁안은 현실 정치에 반영되지 못하고 주장으로만 끝나버린 한계가 있었다.
5. 정약용은 누구인가?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며, 호는 다산(茶山)이다. 실학을 집대성한 인물로 유명하다. 1776년(정조 1년) 아버지를 따라 상경해 실학자 이익의 서적을 접하고, 실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벼슬길에 나아가 정조의 측근으로 있었다. 정조가 자신의 정치적 기반으로 삼을 수원에 성곽 건축을 명령하자, 1792년 무거운 돌을 들 수 있는 거중기를 발명해 큰 공을 세웠다. 그러나 그를 아끼던 정조가 죽자, 1801년(순조 1년) 신유박해 때 천주교를 믿었다는 죄로 충남 장기로 유배를 갔다.
그 후 다시 전남 강진으로 옮겨 18년간 귀양 생활을 했다. 이때부터 동서고금의 학문을 정리하며 실학을 집대성했다. 정전론 · 여전론 등의 토지 개혁론을 주장해, 마을 단위 공동 노동체 건설을 주장했고, 국방 · 상업 · 과학 기술 등에도 뛰어난 안목을 보였다. 주요 저서로는 《경세유표》, 《흠흠신서》, 《목민심서》, 《여유당전서》 등이 있다.
<영화 소개>
구 분
내 용
제목
조선 명탐정 : 각시투구꽃의 비밀
장르
코미디, 미스터리
제작나라
한국
시 간
115분
제작 시기
2011
감 독
김석윤
출 연
김명민(명탐정), 오달수(개장수), 한지민(한객주)
등 급
12세 이상 관람가
줄거리
정조 16년, 공납 비리를 숨기려는 관료들의 음모를 짐작한 정조는 조선 제일의 명탐정(김명민)에게 사건의 배후를 찾으라는 밀명을 내린다. 수사 첫날부터 자객의 습격을 받은 명탐정은 개장수 서필(오달수)의 도움으로 위기를 모면하게 되고, 서필과 함께 사건의 결정적 단서인 각시투구꽃을 찾아 적성으로 향하게 된다. 그 곳에서 그들은 조선의 상단을 주름잡으며 사건의 열쇠를 쥐고 있는 한객주(한지민)를 만나게 되는데… 비밀을 파헤칠수록 드러나는 거대한 음모의 실체 2011년 1월, 조선 최초의 탐정극이 온다
이처럼 중상적 실학 사상은 부국강병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상공업 발전이 필수라고 주장했다. 그래서 청을 정벌하자는 북벌을 주장하기보다는 청의 발달한 문물을 받아들여 나라 발전에 활용하자는 북학 운동을 펼쳤다.
4. 실학의 의의와 한계는?
실학은 사실에 토대를 두고 진리를 탐구하려 한 ‘실사구시학’으로 실증적인 방법으로 학문을 연구하고 그 성과를 실생활에 활용하려 한 실천적 학문이다. 또한 실학은 조선의 어려운 현실을 타개하기 위하여 각종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므로 민족적 성격을 지닌 학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 여기에 실학자들은 사회 모순을 개혁하고 상공업 육성을 통해 새로운 사회로 나아가기를 원했기 때문에 근대 지향적 성격을 가진 학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실학은 국가 정책에는 거의 반영되지 못했다. 실학자들 대부분이 몰락한 남인이거나, 중앙 정계에서 벼슬을 하고 있더라도 말단 관리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들의 개혁안은 현실 정치에 반영되지 못하고 주장으로만 끝나버린 한계가 있었다.
5. 정약용은 누구인가?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며, 호는 다산(茶山)이다. 실학을 집대성한 인물로 유명하다. 1776년(정조 1년) 아버지를 따라 상경해 실학자 이익의 서적을 접하고, 실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벼슬길에 나아가 정조의 측근으로 있었다. 정조가 자신의 정치적 기반으로 삼을 수원에 성곽 건축을 명령하자, 1792년 무거운 돌을 들 수 있는 거중기를 발명해 큰 공을 세웠다. 그러나 그를 아끼던 정조가 죽자, 1801년(순조 1년) 신유박해 때 천주교를 믿었다는 죄로 충남 장기로 유배를 갔다.
그 후 다시 전남 강진으로 옮겨 18년간 귀양 생활을 했다. 이때부터 동서고금의 학문을 정리하며 실학을 집대성했다. 정전론 · 여전론 등의 토지 개혁론을 주장해, 마을 단위 공동 노동체 건설을 주장했고, 국방 · 상업 · 과학 기술 등에도 뛰어난 안목을 보였다. 주요 저서로는 《경세유표》, 《흠흠신서》, 《목민심서》, 《여유당전서》 등이 있다.
<영화 소개>
구 분
내 용
제목
조선 명탐정 : 각시투구꽃의 비밀
장르
코미디, 미스터리
제작나라
한국
시 간
115분
제작 시기
2011
감 독
김석윤
출 연
김명민(명탐정), 오달수(개장수), 한지민(한객주)
등 급
12세 이상 관람가
줄거리
정조 16년, 공납 비리를 숨기려는 관료들의 음모를 짐작한 정조는 조선 제일의 명탐정(김명민)에게 사건의 배후를 찾으라는 밀명을 내린다. 수사 첫날부터 자객의 습격을 받은 명탐정은 개장수 서필(오달수)의 도움으로 위기를 모면하게 되고, 서필과 함께 사건의 결정적 단서인 각시투구꽃을 찾아 적성으로 향하게 된다. 그 곳에서 그들은 조선의 상단을 주름잡으며 사건의 열쇠를 쥐고 있는 한객주(한지민)를 만나게 되는데… 비밀을 파헤칠수록 드러나는 거대한 음모의 실체 2011년 1월, 조선 최초의 탐정극이 온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