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환경관리 시 고려해야 할 사항
Ⅱ. 유치원과 어린이집 평가제도의 특성, 평가방법 및 절차 등에 대해 공통점과 차이점
Ⅲ. 출처 및 참고문헌
Ⅰ.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환경관리 시 고려해야 할 사항
Ⅱ. 유치원과 어린이집 평가제도의 특성, 평가방법 및 절차 등에 대해 공통점과 차이점
Ⅲ.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평가인증지표 관련 지식과 정보를 교육 등을 통해 제공해야 한다.
(4) 확인점검
① 개요: 평가인증 유지 중인 어린이집 중 일부를 불시 방문하여, 인증 수준의 보육서비스 질이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② 확인내용: 통합지표 전체영역, 필수항목 및 어린이집 운영기준에 대해 확인한다.
③ 결과활용: 점검결과 일정 기준 이상일 경우 인증유효기간을 연장하며, 일정기준 이하일 경우엔ㄴ 자체 개선 기회를 부여하여 품질이 지속 유지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④ 확인점검 결과 통보: 한국보육진흥원은 확인점검 실시 이후 점검결과를 어린이집으로 통보하고, 결과에 따른 사후조치 사항이 발생한 경우에는 관련내용을 지자체로 통보하며, 지차체에서는 사후조치 관련 사항을 해당 어린이집으로 통보하고, 한국보육진흥원으로 결과를 다시 회신해야 한다.
유치원 평가제도와 어린이집 평가제도는 유아교육과 보육 서비스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평가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각각의 근거 법률, 평가지표, 평가방법 및 절차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공통점은 법적 근거에 따른 평가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유치원은 유아교육법 제19조, 어린이집은 영유아보육법 제30조 및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제31조을 따른다.
또한 질적 수준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자체 평가와 현장 평가를 포함하는 평가 절차로 구성되어 있다. 학부모의 어린이집 및 유치원 선택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 제공이라는 목적도 공통점이라 할 수 있다.
평가지표에서는 교육 및 보육 환경, 교직원, 교육 및 보육 과정 등을 설정하며, 평가 결과를 공개하여 투명성을 확보하였다.
차이점은 유치원 평가제도는 유치원 운영 전반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점검하게 되며, 정량평가 방법을 도입하는 것이 특징이다. 평가지표는 16개의 주요 지표와 48(49)개의 항목으로 평가되며, 교육환경 및 운영 관리, 건강/안전, 교직원 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진다.
반면, 어린이집 평가제도는 4개의 영역, 21개의 지표, 79개의 평가항목을 설정하여 평가하며, 문서 검토와 관찰 면담을 통한 평가가 이루어진다. 어린이집이 평가인증지표를 중심으로 상시 자체점검을 실시한 후 평가인증에 참여 신청하는 방식도 다르다.
결과 관리 및 사후 관리는 연차별로 자체점검을 실시하며, 원장 및 교직원 변동에 따른 사후관리인증 시스템도 어린이집 만의 별도의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각 평가제도는 유아교육 및 보육 서비스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평가지표와 방법, 절차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어린이집 평가제도는 인증 시스템을 통해 일정 수준 이상의 어린이집에 대해 인증을 부여하는 반면, 유치원 평가제도는 유치원의 운영 전반을 점검하여 개선을 목표로 하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라 볼 수 있다. 두 시스템 모두 교육 및 보육 환경, 교직원의 전문성 및 교육 및 보육 과정 등을 중요한 평가지표로 설정하고 있다.
Ⅲ. 출처 및 참고문헌-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이영애, 신은수 지음. 출판문화원. 2015
-김수향,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서울:동문사, 2008
(4) 확인점검
① 개요: 평가인증 유지 중인 어린이집 중 일부를 불시 방문하여, 인증 수준의 보육서비스 질이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② 확인내용: 통합지표 전체영역, 필수항목 및 어린이집 운영기준에 대해 확인한다.
③ 결과활용: 점검결과 일정 기준 이상일 경우 인증유효기간을 연장하며, 일정기준 이하일 경우엔ㄴ 자체 개선 기회를 부여하여 품질이 지속 유지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④ 확인점검 결과 통보: 한국보육진흥원은 확인점검 실시 이후 점검결과를 어린이집으로 통보하고, 결과에 따른 사후조치 사항이 발생한 경우에는 관련내용을 지자체로 통보하며, 지차체에서는 사후조치 관련 사항을 해당 어린이집으로 통보하고, 한국보육진흥원으로 결과를 다시 회신해야 한다.
유치원 평가제도와 어린이집 평가제도는 유아교육과 보육 서비스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평가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각각의 근거 법률, 평가지표, 평가방법 및 절차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공통점은 법적 근거에 따른 평가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유치원은 유아교육법 제19조, 어린이집은 영유아보육법 제30조 및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제31조을 따른다.
또한 질적 수준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자체 평가와 현장 평가를 포함하는 평가 절차로 구성되어 있다. 학부모의 어린이집 및 유치원 선택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 제공이라는 목적도 공통점이라 할 수 있다.
평가지표에서는 교육 및 보육 환경, 교직원, 교육 및 보육 과정 등을 설정하며, 평가 결과를 공개하여 투명성을 확보하였다.
차이점은 유치원 평가제도는 유치원 운영 전반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점검하게 되며, 정량평가 방법을 도입하는 것이 특징이다. 평가지표는 16개의 주요 지표와 48(49)개의 항목으로 평가되며, 교육환경 및 운영 관리, 건강/안전, 교직원 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진다.
반면, 어린이집 평가제도는 4개의 영역, 21개의 지표, 79개의 평가항목을 설정하여 평가하며, 문서 검토와 관찰 면담을 통한 평가가 이루어진다. 어린이집이 평가인증지표를 중심으로 상시 자체점검을 실시한 후 평가인증에 참여 신청하는 방식도 다르다.
결과 관리 및 사후 관리는 연차별로 자체점검을 실시하며, 원장 및 교직원 변동에 따른 사후관리인증 시스템도 어린이집 만의 별도의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각 평가제도는 유아교육 및 보육 서비스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평가지표와 방법, 절차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어린이집 평가제도는 인증 시스템을 통해 일정 수준 이상의 어린이집에 대해 인증을 부여하는 반면, 유치원 평가제도는 유치원의 운영 전반을 점검하여 개선을 목표로 하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라 볼 수 있다. 두 시스템 모두 교육 및 보육 환경, 교직원의 전문성 및 교육 및 보육 과정 등을 중요한 평가지표로 설정하고 있다.
Ⅲ. 출처 및 참고문헌-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이영애, 신은수 지음. 출판문화원. 2015
-김수향,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서울:동문사, 2008
추천자료
유아교육기관의 시설 설비
[유아 안전교육]유아 안전교육의 의의, 유아 안전교육의 중요성, 유아 안전교육의 화재예방, ...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4B)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환경 구성 원리를 설명하시오. (유아교육기...
2023년 2학기 방송통신대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중간과제물)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환경관리 ...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공통) 1.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환경관리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2023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1) 유아교육기관...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4학년) 1.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환경관리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
2023년 2학기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환경관리 ...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환경관리 시 고려해야 할 사항,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