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O)인체구조와기능 A+자료 혈액의 기능과 구성, 구성성분, 혈액응고기전, 신생아 용혈성 질환, 질환과 장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진O)인체구조와기능 A+자료 혈액의 기능과 구성, 구성성분, 혈액응고기전, 신생아 용혈성 질환, 질환과 장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혈액의 기능과 구성
구성성분
적혈구 생산
헤모글로빈 파괴
백혈구
혈액응고기전
섬유소용해기전
수혈반응
신생아 용혈성 질환
질환과 장애

본문내용

항원으로 구별
-수혈반응: 항체는 적혈구 항원과 결합할 수 있음
A형 혈액형: A 항원, 항 B 항체 보유
B형 혈액형: B 항원, 항 A 항체 보유
AB형 혈액형: A 항원, B항원 보유, 항체 미보유
O형 혈액형: 항원 미보유, 항 A 항체, 항 B 항체 보유
ABO 혈액형의 불일치는 수혈반응을 야기할 수 있음
-Rh혈액형
Rh양성은 Rh항원 보유 Rh음성은 항원 미보유
Rh항원에 반대하는 항체는 Rh음성인 사람이 Rh양성 혈액에 노출되었을 때 생산됨
Rh혈액형은 태아가 Rh양성이고, 엄마가 Rh음성일 때 발생할 수 있는 신생아의 용혈성 질환에 대한 책임이 있음
-신생아의 용혈성 질환
1)출산 전 혹은 출산 중 태반이 찢어져 Rh양성 척혈구가 태아에서 Rh음성인 엄마에게 들어감
2) 엄마는 Rh항원에 민감해져서 항 Rh항체를 생산함 이런 과정은 출산 후 일어나기 때문에 첫 번째는 임신에서 태아는 영향을 받지 않음
3)그 다음 Rh양성 태아를 임신한 경우 Rh양성 적혈구가 태반을 통해 모체순환으로 들어가고 자극하여 엄마가 Rh항원에 대항하는 항체를 생산됨
4)엄마에게서 만들어진 항 Rh항체는 태아 적혈구의 용해와 응집의 원인이 되며 태아적혈모구증을 유발함
-종류와 교차적합검사
혈액표본의 혈액형은 ABO형과 Rh형으로 결정됨
교차적합검사는 주는이와 받는이 간의 응고반응을 위한 검사임
-온혈구수
구성: 적혈구수, 헤모글로빈 측정, 적혈구용적률, 백혈구수
-감별 백혈구수
백혈구 종류의 비율로 결정
-응고
혈소판 수와 프로트롬빈 시간 측정: 혈액의 응고 능력 결정
-혈액화학
혈장에 용해되거나 부유물질들의 구성물인 포도당, 요소질소화합물, 빌리루빈,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 계통의 기능과 상태를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
-적혈구용적률
혈액을 모세관에 넣고 원심분리기에서 돌리면 혈액은 혈장과 적혈구로 분리되고 백혈구와 혈소판이 그 사이에서 좁은 층을 형성
적혈구용적률은 혈액 양에서 적혈구의 비율을 말함 백혈구와 혈소판은 계산하지 않음 정상 적혈구용적률은 남자가 총 혈액량의 40~52%, 여자가 38~48%
질환과 장애
-상대적 적혈구 증가증: 탈수나 이뇨 혹은 화상과 같은 혈액 양의 감소로 인한 적혈구의 과잉
-일차적 적혈구증가증: 알 수 없는 원인에 의한 줄기세포의 손상
-이차적 적혈구증가증: 높은 고도, 만성폐쇄폐질환, 울혈심장기능상실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되는 산소공급의 감소
응고장애
-파종혈관내응고: 혈관을 따라 응고가 발생한 다음 출혈이 일어남
-폰빌레브란트병: 대부분 유전적인 출혈장애로 혈액응고에 혈소판 마개 형성과 활성화 혈소판 관여의 손상으로 일어남
-혈우병: 유전적 장애로 응고가 비정상적이거나 되지 않는 것
혈액의 감염질환
-패혈증: 미생물과 그것의 독성이 혈액을 타고 처짐 정맥내주사와 같은 시술에 의해서도 발생
-말라리아: 모기에 의해 혈액에 원생동물이 침투하여 발생
-감염단핵구증: 엡스타인-바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침샘과 림프구에 감염
-후천면역결핍증후군: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가 원인으로 림프구를 감염시키고 면역계통을 억제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4.01.20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77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