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혈액의 기능과 구성
구성성분
적혈구 생산
헤모글로빈 파괴
백혈구
혈액응고기전
섬유소용해기전
수혈반응
신생아 용혈성 질환
질환과 장애
구성성분
적혈구 생산
헤모글로빈 파괴
백혈구
혈액응고기전
섬유소용해기전
수혈반응
신생아 용혈성 질환
질환과 장애
본문내용
항원으로 구별
-수혈반응: 항체는 적혈구 항원과 결합할 수 있음
A형 혈액형: A 항원, 항 B 항체 보유
B형 혈액형: B 항원, 항 A 항체 보유
AB형 혈액형: A 항원, B항원 보유, 항체 미보유
O형 혈액형: 항원 미보유, 항 A 항체, 항 B 항체 보유
ABO 혈액형의 불일치는 수혈반응을 야기할 수 있음
-Rh혈액형
Rh양성은 Rh항원 보유 Rh음성은 항원 미보유
Rh항원에 반대하는 항체는 Rh음성인 사람이 Rh양성 혈액에 노출되었을 때 생산됨
Rh혈액형은 태아가 Rh양성이고, 엄마가 Rh음성일 때 발생할 수 있는 신생아의 용혈성 질환에 대한 책임이 있음
-신생아의 용혈성 질환
1)출산 전 혹은 출산 중 태반이 찢어져 Rh양성 척혈구가 태아에서 Rh음성인 엄마에게 들어감
2) 엄마는 Rh항원에 민감해져서 항 Rh항체를 생산함 이런 과정은 출산 후 일어나기 때문에 첫 번째는 임신에서 태아는 영향을 받지 않음
3)그 다음 Rh양성 태아를 임신한 경우 Rh양성 적혈구가 태반을 통해 모체순환으로 들어가고 자극하여 엄마가 Rh항원에 대항하는 항체를 생산됨
4)엄마에게서 만들어진 항 Rh항체는 태아 적혈구의 용해와 응집의 원인이 되며 태아적혈모구증을 유발함
-종류와 교차적합검사
혈액표본의 혈액형은 ABO형과 Rh형으로 결정됨
교차적합검사는 주는이와 받는이 간의 응고반응을 위한 검사임
-온혈구수
구성: 적혈구수, 헤모글로빈 측정, 적혈구용적률, 백혈구수
-감별 백혈구수
백혈구 종류의 비율로 결정
-응고
혈소판 수와 프로트롬빈 시간 측정: 혈액의 응고 능력 결정
-혈액화학
혈장에 용해되거나 부유물질들의 구성물인 포도당, 요소질소화합물, 빌리루빈,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 계통의 기능과 상태를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
-적혈구용적률
혈액을 모세관에 넣고 원심분리기에서 돌리면 혈액은 혈장과 적혈구로 분리되고 백혈구와 혈소판이 그 사이에서 좁은 층을 형성
적혈구용적률은 혈액 양에서 적혈구의 비율을 말함 백혈구와 혈소판은 계산하지 않음 정상 적혈구용적률은 남자가 총 혈액량의 40~52%, 여자가 38~48%
질환과 장애
-상대적 적혈구 증가증: 탈수나 이뇨 혹은 화상과 같은 혈액 양의 감소로 인한 적혈구의 과잉
-일차적 적혈구증가증: 알 수 없는 원인에 의한 줄기세포의 손상
-이차적 적혈구증가증: 높은 고도, 만성폐쇄폐질환, 울혈심장기능상실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되는 산소공급의 감소
응고장애
-파종혈관내응고: 혈관을 따라 응고가 발생한 다음 출혈이 일어남
-폰빌레브란트병: 대부분 유전적인 출혈장애로 혈액응고에 혈소판 마개 형성과 활성화 혈소판 관여의 손상으로 일어남
-혈우병: 유전적 장애로 응고가 비정상적이거나 되지 않는 것
혈액의 감염질환
-패혈증: 미생물과 그것의 독성이 혈액을 타고 처짐 정맥내주사와 같은 시술에 의해서도 발생
-말라리아: 모기에 의해 혈액에 원생동물이 침투하여 발생
-감염단핵구증: 엡스타인-바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침샘과 림프구에 감염
-후천면역결핍증후군: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가 원인으로 림프구를 감염시키고 면역계통을 억제
-수혈반응: 항체는 적혈구 항원과 결합할 수 있음
A형 혈액형: A 항원, 항 B 항체 보유
B형 혈액형: B 항원, 항 A 항체 보유
AB형 혈액형: A 항원, B항원 보유, 항체 미보유
O형 혈액형: 항원 미보유, 항 A 항체, 항 B 항체 보유
ABO 혈액형의 불일치는 수혈반응을 야기할 수 있음
-Rh혈액형
Rh양성은 Rh항원 보유 Rh음성은 항원 미보유
Rh항원에 반대하는 항체는 Rh음성인 사람이 Rh양성 혈액에 노출되었을 때 생산됨
Rh혈액형은 태아가 Rh양성이고, 엄마가 Rh음성일 때 발생할 수 있는 신생아의 용혈성 질환에 대한 책임이 있음
-신생아의 용혈성 질환
1)출산 전 혹은 출산 중 태반이 찢어져 Rh양성 척혈구가 태아에서 Rh음성인 엄마에게 들어감
2) 엄마는 Rh항원에 민감해져서 항 Rh항체를 생산함 이런 과정은 출산 후 일어나기 때문에 첫 번째는 임신에서 태아는 영향을 받지 않음
3)그 다음 Rh양성 태아를 임신한 경우 Rh양성 적혈구가 태반을 통해 모체순환으로 들어가고 자극하여 엄마가 Rh항원에 대항하는 항체를 생산됨
4)엄마에게서 만들어진 항 Rh항체는 태아 적혈구의 용해와 응집의 원인이 되며 태아적혈모구증을 유발함
-종류와 교차적합검사
혈액표본의 혈액형은 ABO형과 Rh형으로 결정됨
교차적합검사는 주는이와 받는이 간의 응고반응을 위한 검사임
-온혈구수
구성: 적혈구수, 헤모글로빈 측정, 적혈구용적률, 백혈구수
-감별 백혈구수
백혈구 종류의 비율로 결정
-응고
혈소판 수와 프로트롬빈 시간 측정: 혈액의 응고 능력 결정
-혈액화학
혈장에 용해되거나 부유물질들의 구성물인 포도당, 요소질소화합물, 빌리루빈,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 계통의 기능과 상태를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
-적혈구용적률
혈액을 모세관에 넣고 원심분리기에서 돌리면 혈액은 혈장과 적혈구로 분리되고 백혈구와 혈소판이 그 사이에서 좁은 층을 형성
적혈구용적률은 혈액 양에서 적혈구의 비율을 말함 백혈구와 혈소판은 계산하지 않음 정상 적혈구용적률은 남자가 총 혈액량의 40~52%, 여자가 38~48%
질환과 장애
-상대적 적혈구 증가증: 탈수나 이뇨 혹은 화상과 같은 혈액 양의 감소로 인한 적혈구의 과잉
-일차적 적혈구증가증: 알 수 없는 원인에 의한 줄기세포의 손상
-이차적 적혈구증가증: 높은 고도, 만성폐쇄폐질환, 울혈심장기능상실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되는 산소공급의 감소
응고장애
-파종혈관내응고: 혈관을 따라 응고가 발생한 다음 출혈이 일어남
-폰빌레브란트병: 대부분 유전적인 출혈장애로 혈액응고에 혈소판 마개 형성과 활성화 혈소판 관여의 손상으로 일어남
-혈우병: 유전적 장애로 응고가 비정상적이거나 되지 않는 것
혈액의 감염질환
-패혈증: 미생물과 그것의 독성이 혈액을 타고 처짐 정맥내주사와 같은 시술에 의해서도 발생
-말라리아: 모기에 의해 혈액에 원생동물이 침투하여 발생
-감염단핵구증: 엡스타인-바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침샘과 림프구에 감염
-후천면역결핍증후군: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가 원인으로 림프구를 감염시키고 면역계통을 억제
추천자료
인체의 발생 ; 해부학
신생아(소아 당뇨, 부당경량아) CASE STUDY
[기초간호과학] 면역에 관여하는 3가지 세포와 4가지 형태의 과민반응, 악성종양과 양성종양...
1.면역 관여하는 3가지 세포, 면역계 질환 중 4가지 형태의 과민반응의 특징과 사례 & 2....
[기초간호과학공통] 면역에 관여하는 3가지 세포 4가지형태 과민반응, 악성종양과 양성종양의...
[혈액][피][구성성분][혈액세포종류][혈액세포수명][혈액량][혈액질환]혈액(피)의 의미, 혈액...
일반생물학 실험 - 혈액형분석 및 ABO혈액형 혈구세포 관찰 (동국대 생명 A+보고서)
1. 면역에서 과민반응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고, 4가지 과민반응별로 발생기전과 사례 2...
기초간호과학 면역 및 종양과 혈액응고과정에 대한 레포트입니다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국소 영향과 전신 영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