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2.1 토양세척법
2.2 토양경작법
3. 결론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2.1 토양세척법
2.2 토양경작법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절하게 혼합을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토양경작법의 오염물질 제거 효율은 점토 함량이 많을수록 저하된다고 알려져 있다.
3. 결론
지표면 아래에서 흐르고 있는 지하수의 경우, 담수의 부족 현상에 따라 우리에게 중요한 수자원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두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하수를 활용하기 위해 많은 개발과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과정에서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이 발생하면서 관리의 필요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장에서는 관리 방법 중 토양 세척법과 토양 경작법에 대해 정리를 해보았다. 두 방법은 오염된 토양을 굴착해야 한다는 의미해서 동일하게 ex-situ 방법으로 속해 있으나, 하나는 화학물질이 함유된 세척수를 이용한다는 점, 그리고 다른 하나는 미생물을 이용해 토양을 자연치유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토양 세척법은 직접적으로 인간이 분리 및 처리를 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지만, 토양 경작법은 미생물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간접적인 조건 관리만 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성을 들 수 있다.
두 과정 모두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한 방법이라고 보고 있으나, 토양 세척법의 경우 폐수가 발생한다는 점, 그리고 토양경작법은 미생물의 반응에 의해 오염을 해결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그 단점을 지니고 있다.
더불어 이러한 토양 및 지하수 관리 방법이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가장 중요한 것은 지하수의 현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토양과 지하수 오염의 경우 앞서 언급하였듯이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경우가 없으며, 인간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오염을 해소하는 방법도 좋지만, 그 전에 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수질 및 토양 기준 마련과 함께 강화를 해야 할 필요성이 느껴진다.
현재 우리나라는 한강, 낙동강이라는 담수를 끌어다 쓸 수 있기 때문에 아직까지 지하수 및 해수를 활용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면서도 이와 관련하여 한국에 적합하게 적용되는 기술, 방안 등을 마련하는 과정은 미흡한 실정이라고 생각된다. 토양과 지하수를 관리하는 기술의 경우 대부분 매우 큰 규모의 관리 기술로, 미국의 대규모 공간에 활용할 수 있도록 미국에서 만들어진 방법인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머지않아 이러한 지하수 및 해수만을 활용해야 하는 순간은 올 것이고, 그것에 대한 중요성 또한 매우 증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앞서 설명했던 다양한 기술들을 활용하고, 이를 국내의 정서, 규모, 그리고 국내의 토양 및 수질 형태에 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토양지하수관리. 권수열, 김영, 한선기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발행일 : 2014년 07월 25일
우승호, (2015). 우리나라 지하수 법 및 기준 토양 복원기술에 대한 고찰,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3736572
하용운, (2013). 토양세정법(Soil Flushing)의 계면활성제에 따른 TPH 제거 적용성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3234959
엄재연, (2020). 현장규모의 해안가 고농도 유류오염 부지 정화 연구 : 토양경작법과 토양세척법을 연계한 방법 적용 사례,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5648456
장일룡, (2011). 토양세척에 의한 중금속과 총석유계탄화수소의 처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2322433
3. 결론
지표면 아래에서 흐르고 있는 지하수의 경우, 담수의 부족 현상에 따라 우리에게 중요한 수자원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두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하수를 활용하기 위해 많은 개발과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과정에서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이 발생하면서 관리의 필요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장에서는 관리 방법 중 토양 세척법과 토양 경작법에 대해 정리를 해보았다. 두 방법은 오염된 토양을 굴착해야 한다는 의미해서 동일하게 ex-situ 방법으로 속해 있으나, 하나는 화학물질이 함유된 세척수를 이용한다는 점, 그리고 다른 하나는 미생물을 이용해 토양을 자연치유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토양 세척법은 직접적으로 인간이 분리 및 처리를 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지만, 토양 경작법은 미생물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간접적인 조건 관리만 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성을 들 수 있다.
두 과정 모두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한 방법이라고 보고 있으나, 토양 세척법의 경우 폐수가 발생한다는 점, 그리고 토양경작법은 미생물의 반응에 의해 오염을 해결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그 단점을 지니고 있다.
더불어 이러한 토양 및 지하수 관리 방법이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가장 중요한 것은 지하수의 현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토양과 지하수 오염의 경우 앞서 언급하였듯이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경우가 없으며, 인간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오염을 해소하는 방법도 좋지만, 그 전에 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수질 및 토양 기준 마련과 함께 강화를 해야 할 필요성이 느껴진다.
현재 우리나라는 한강, 낙동강이라는 담수를 끌어다 쓸 수 있기 때문에 아직까지 지하수 및 해수를 활용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면서도 이와 관련하여 한국에 적합하게 적용되는 기술, 방안 등을 마련하는 과정은 미흡한 실정이라고 생각된다. 토양과 지하수를 관리하는 기술의 경우 대부분 매우 큰 규모의 관리 기술로, 미국의 대규모 공간에 활용할 수 있도록 미국에서 만들어진 방법인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머지않아 이러한 지하수 및 해수만을 활용해야 하는 순간은 올 것이고, 그것에 대한 중요성 또한 매우 증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앞서 설명했던 다양한 기술들을 활용하고, 이를 국내의 정서, 규모, 그리고 국내의 토양 및 수질 형태에 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토양지하수관리. 권수열, 김영, 한선기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발행일 : 2014년 07월 25일
우승호, (2015). 우리나라 지하수 법 및 기준 토양 복원기술에 대한 고찰,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3736572
하용운, (2013). 토양세정법(Soil Flushing)의 계면활성제에 따른 TPH 제거 적용성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3234959
엄재연, (2020). 현장규모의 해안가 고농도 유류오염 부지 정화 연구 : 토양경작법과 토양세척법을 연계한 방법 적용 사례,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5648456
장일룡, (2011). 토양세척에 의한 중금속과 총석유계탄화수소의 처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232243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