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 수업) square kilometer array(SKA), Breakthough Starshot(스타샷 프로젝트) 중 하나의 주제를 선택해서 레포트 작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양 수업) square kilometer array(SKA), Breakthough Starshot(스타샷 프로젝트) 중 하나의 주제를 선택해서 레포트 작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우주에 대한 인간의 호기심
(2) 망원경을 이용한 관측
(3) 전파망원경
(4) square kilometer array(SKA)
1) square kilometer array(SKA)란 무엇인가?
2) square kilometer array(SKA)의 의의
3) square kilometer array(SKA)의 효과
4) square kilometer array(SKA)에 거는 기대
3. 결론
4. 참고 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영화를 볼 때 왜 우주는 검은색 바탕일까? 항상 밤인 걸까? 하는 생각을 했었던 것 같다. 검은색 하늘에 무수히 많은 별들과 행성들이 떠있는 것 같다고 느껴졌기 때문일 것이다. 그것이 우주 어디에나 존재하는 암흑물질이며 이 암흑물질이 다른 물질을 통과할 수 있는 신기한 특성을 가지고 있고 공간을 직진이 아니라 휘게 한다는 상대성이론을 추적할 수 있는 구조라는 이야기를 듣고 얼마나 신기했는지 모른다.
그럼 이것은 우리 눈에 검은색으로 보이는 걸까? 볼 수 없는 전자파가 맞지 않아 볼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일까? 나는 square kilometer array(SKA)가 완공되어 더 먼 곳의 더 작은 물체까지 감지하고 관측하여 저 어둠의 존재가 무엇인지 알려주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
그리고 그 이론이 우리가 전혀 알지 못하는 이론일지라도 시간이 걸리더라도 인류는 해낼 것이라 믿는다. 그 이론을 해석하고 마침내 우리에게 적용하는 것을 말이다.
우리는 현재 너무나도 특별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이전의 세대보다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고 더 멀리 볼 수 있는 시대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 가지 반드시 조심하고 주의해야 할 것도 있다. 지구를 한번 아니 여러 번 아프게 해 본 경험자인 우리는 우주로 발돋움 가능한 시대가 오더라도 이전 잘못된 경험을 떠올려 다른 행성들과 우주가 인류 때문에 아파하는 일은 만들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우주밖에 더 거대한 것이 존재할지 모르지만 우리가 살아가는 아름다운 별을 아프게 하고 있는 것은 더 이상 해서는 안 될 일임을 우리 모두 기억해야 할 것이다.
4. 참고 문헌 및 출처
두산백과. 망원경 [telescope, 望遠鏡].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두산백과. 전파망원경 [radio telescope, 電波望遠鏡].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시사상식사전. 브레이크스루 스탸샷. pmg 지식엔진연구소. 박문각
\'우주의 기원\' 밝혀질까…80억년만에 지구에 도착한 전파 분석. 공감언론 뉴시스. 김하은 인턴
기자. 2023-10-20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31020_0002490014&cID=10101&pID=10100
화성의 휴대폰 신호도 감지...세계 최대 우주전파망원경 건설 \'착수\'. 동아사이언스. 이영애 기
자. 2022-12-05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7421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01.23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81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