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면, B. 90년대 세대는 타자지향적인 삶의 구조에 종속되어 “성찰적 내면이 결여”되어 있거나 깊이나 내면을 실존이 아니라 “전시의 대상”으로 삼을 뿐이다.
16. 김홍중이 ‘80년대 청년과 ’90년대 청년을 구분하여 지칭하는 용어로 A와 B에 해당하는 단어를 각각 제시하시오. (각 1점, 총 2점)
진정성 세대-동물/속물 세대
17. 김홍중이 IMF 이후 나타난 청년세대를 지칭하는 용어는 부르는가? (2점)
생존주의
18. 다음 가운데 서동진이 제시한 자아경영/자기계발 담론의 테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점)
① 자기의 문제화 테제
② 자기의 윤리화 테제
③ 자기의 주체화 테제
④ 자기의 테크놀로지화 테제
19. 다음 가운데 발전국가 시기 한국의 재벌에 대한 진술로 잘못된 것은? (2점)
① 재벌들은 국가의 수출주도형 발전전략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하고자 애썼으며, 그 결과 국가와 재벌 사이의 수출지향형 지배연합을 형성하였다.
② 재벌들은 발전국가의 인건비 억제 정책, 특혜금융 등의 지원을 통해, 급속하게 자본을 축적하여 세계적인 대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③ 재벌들은 수출시장과 내수시장에서 외국 상품과의 경쟁을 통해 산업구조를 고도화해 나갔다.
④ 재벌들은 과거 발전국가의 산업자본과 금융자본의 분리 정책으로 인해 독자적인 자원을 확보하지 못하고 국가의 정책금융에 의존하여 성장하였다.
20. 에스핑앤더슨이 설명하는 사회민주주의 복지체제의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2점)
① 자산조사형 사회부조 중심의 복지프로그램이 발달한다.
② 복지서비스의 사회화를 통해 완전고용을 지향하기 때문에 조세수입이 극대화될 수 있다.
③ 복지제도의 수급권의 규칙은 엄격하고, 수급자들에 대한 사회적 낙인을 동반한다.
④ 민간보험, 복지서비스업체(실버타운) 등 복지시장이 활성화된다.
21. 한국의 복지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2점)
① 한국의 건강보험(의료보험)은 선별적 복지의 성격을 띠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② 한국의 복지 프로그램은 세금에 기초하여 복지재정을 형성하기보다 갹출에 의해 재정을 형성하는 보험 위주의 프로그램들이 대다수를 이룬다.
③ 한국의 복지제도는 과거 발전국가의 전략산업의 핵심 노동자를 우선적으로 보호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④ 한국의 복지프로그램은 기업별, 직종별로 서로 다른 복지프로그램들이 분리되어 발전했다는 점에서 조합주의적 성격을 띤다.
- 끝 -
16. 김홍중이 ‘80년대 청년과 ’90년대 청년을 구분하여 지칭하는 용어로 A와 B에 해당하는 단어를 각각 제시하시오. (각 1점, 총 2점)
진정성 세대-동물/속물 세대
17. 김홍중이 IMF 이후 나타난 청년세대를 지칭하는 용어는 부르는가? (2점)
생존주의
18. 다음 가운데 서동진이 제시한 자아경영/자기계발 담론의 테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점)
① 자기의 문제화 테제
② 자기의 윤리화 테제
③ 자기의 주체화 테제
④ 자기의 테크놀로지화 테제
19. 다음 가운데 발전국가 시기 한국의 재벌에 대한 진술로 잘못된 것은? (2점)
① 재벌들은 국가의 수출주도형 발전전략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하고자 애썼으며, 그 결과 국가와 재벌 사이의 수출지향형 지배연합을 형성하였다.
② 재벌들은 발전국가의 인건비 억제 정책, 특혜금융 등의 지원을 통해, 급속하게 자본을 축적하여 세계적인 대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③ 재벌들은 수출시장과 내수시장에서 외국 상품과의 경쟁을 통해 산업구조를 고도화해 나갔다.
④ 재벌들은 과거 발전국가의 산업자본과 금융자본의 분리 정책으로 인해 독자적인 자원을 확보하지 못하고 국가의 정책금융에 의존하여 성장하였다.
20. 에스핑앤더슨이 설명하는 사회민주주의 복지체제의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2점)
① 자산조사형 사회부조 중심의 복지프로그램이 발달한다.
② 복지서비스의 사회화를 통해 완전고용을 지향하기 때문에 조세수입이 극대화될 수 있다.
③ 복지제도의 수급권의 규칙은 엄격하고, 수급자들에 대한 사회적 낙인을 동반한다.
④ 민간보험, 복지서비스업체(실버타운) 등 복지시장이 활성화된다.
21. 한국의 복지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2점)
① 한국의 건강보험(의료보험)은 선별적 복지의 성격을 띠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② 한국의 복지 프로그램은 세금에 기초하여 복지재정을 형성하기보다 갹출에 의해 재정을 형성하는 보험 위주의 프로그램들이 대다수를 이룬다.
③ 한국의 복지제도는 과거 발전국가의 전략산업의 핵심 노동자를 우선적으로 보호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④ 한국의 복지프로그램은 기업별, 직종별로 서로 다른 복지프로그램들이 분리되어 발전했다는 점에서 조합주의적 성격을 띤다.
- 끝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