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 A+] 건조공학 중간고사 족보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울산대학교 A+] 건조공학 중간고사 족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록, 곡명외판, 상부구조물
- 탑재 : 골리앗 크레인이 도크와 P/E Area를 관장함
다. 조선소의 시설물(책보고 좀더)
- 경사선대(slip way)
ㆍ육상이 선박 건조장소이자 진수장소
ㆍ해안선에 위치 적절한 수심 확보
ㆍ설비: 블록탑재용 크레인, 보조크레인, 진수장비, 선체지지용 반목 및 지주류, 배수실 등
- dry dock
ㆍ수평탑재 : 블록의 결합이 용이, 바닥과 측면을 이용한 블록 고정 용이
ㆍ초기투자가 크나 장기간의 이점
ㆍ설비 : dock gate, 주/배수 시설, main/보조 crane, 승강용 타워 등, 발판 장치, 반복 장치, 반목/지주
ㆍ수리 dock: 외판 세척용 water jet, steam 공급 장치
- 안벽
ㆍ진수된 선박이 해상공상를 마치고 인동될 때까지의 잔여 공사를 하는 구역
ㆍ거액의 초기투자
- 기타
ㆍFloating dock, pontoon bridge, 방파제, 교량, tug boat 등
4. 조선소 조직
: 생산 요소인 노동, 자금, 재료, 설비 등 제자원이 전체적으로 상호 관련하여 최적의 배분이 되도록 추구해 나가는 사람들이 집합
가. 분류
1) 기구 (조직의 조립) : 종, 횡 분업이 어떠한 형태로 짜여져 있는가
2) 제도 : 조직기구가 어떤 방식으로 작용하는가
3) 운용 : 조직기구와 제도가 현실적으로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가
나. 조직의 분류
- 경영
ㆍ최고 경영진과 간부: 회계, 인사, 노무, 원가 등의 업무 관장
- 생산
ㆍ선박건조 책임 부서 : 전체 고용인 75~80%
ㆍ생산 기획, 공정, 생산 및 통제 기능(QC 포함)
- 기술
ㆍ기 개 상 설계 및 새로운 project 준비
=> 조선해양 연구소: 신상품 개발
산업기술 연구소: 공업 생산 자동화
- 구매
ㆍ선박건조에 필요한 자재의 적시 구매: 원자재, 공구 및 운반도구 등
- 품질보증
ㆍ선주, 정부기관 및 선급 등의 확인 및 검사를 통해 건조 중인 선박이 적용법규와 계약 요구조건에 맞는지를 문서화하는 부서
- 기획관리 및 계약 관리
ㆍ특정 선박 건조 project의 진행 및 진도를 감독할 책임을 가지는 부서
- 심심하면 선급 이름 봐둬 ㅋㅋㅋㅋㅋㅋㅋㅋ
※ BOM(build of material)
※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인사, 총무, 재무-회계, 구매, 생산관리->CAM ,
설계시스템-> CAD(설계)/CAE(해석)
5. 안전과 위생
가. 안전 관리의 의의
1) 근대적 안전 관리
- 인명 피해 최소화
- 작업환경이 양호, 정리 정돈에 따른 능률 향상
- 생산성 향상으로 인한 경영 합리화
2) 재해의 폐해
- 피해자 자신의 경제적 손실
- 공장 자체 손실
- 사회적 경제 손실
나. 안전 관리
- 생산관리 : 공정관리, 인적관리
- 작업개선 : 능률 향상을 위한 개선
- 작업교육 : 신입공원의 교육, 신설비 등의 안전교육 등
- 종업원 관계 :팀워크를 통한 안전관리 체계 마련
6. HSE
= Health , Safety , Environment 경영
: 무질병, 무재해, 무공해
7.조선소 계획
가. 시장의 변화
가) 전후 회복기 46~60
ㆍ전후복구를 위한 물자 이동량 증가
ㆍ6.25으로 인한 군수 물자 이동량 증가
나) 고도 성장기 61~75
ㆍ저유가를 토대로 한 석유산업의 팽창으로 석유 수송량 증가
ㆍ스웨즈 운한 봉쇄로 인한 유조선 수송 거리 증가(유조선 대형화)
ㆍ경기에 편승하여 세계적인 대형조선소 설립과 시설투자 붐이 일어남
다) 경기하락 및 구조 조정기 76~90
ㆍ두차례에 걸친 석유파동으로 세계 경기 냉각
ㆍ스웨즈운하 재개로 인한 대형조선소의 유휴가 증가하고 건조선박들의 인도 거부사태가 속출
ㆍ조선 과잉으로 인한 업무량 부족
ㆍ선가 50% 하락
라) 저성장기 91~05
ㆍ시장 회복으로 선가 상승
ㆍ국내 조선소들의 고부가 가치선 건조를 위한 기술 투자와 노력이 두드러짐
나. 조선 관련 산업
- 소재공업: 목재 전선 파이프 등
- 박용기관 제조업: 터빈 보일러 디젤
- 보기 제조업: 콤푸레샤, 열교환기, 유수분리기, 과급기, 발전기 등
- 기관 부속품 부품 제조업: 프로펠러, 감속장치, 연료유& 윤활유 펌프 등
- 의장품 제조업 : 기타 의장품들 ㅋㅋ 책봐
다. 조선소의 공장배치
1) 기본 고려 사항
가) 부재의 원활한 흐름 (물류흐름)
나) 공정간의 능력 균형 (공정간 부하 평준화)
다) 생산규모의 변화 (확장 가능성)
2) 기본 배치 형태
3) 입지 조건에 따른 공장 배치
4) 건조방식과 발판 배치
8. 공해 요인 대책
문 제 점
대 책
air tool 또는 hammer에의한 타격 소음
1. chipping 작업의 grinding화, 또는 flame(arc air) gouging에 활용
생활오수 및 기름(F.O , L.O 등), 도료 또는 dock내의 퇴적물 등에 의한 수질 오탁
1. 물 재사용
2. 배수로 및 부화장치의 완비
3. oil fence 및 유지류 포집장치 설치
4. 폐유, 약품 등 처리용 저조 설치
shot blast, sand blast, spray 또는 용접 fume 등에 의한 공기 오염
1. filter에 의한 fume 포집장치 설치
2. 용접의 no-fume화
3. water sand blast 또는 vacuum 순환식 sand blast방식 채용
4. 옥내 작업화
9. 미래의 조선소
1) 탑재공정까지의 전공정을 옥내화. 이렇게 하여 전처후 작업이 가능하게 하고 공정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2) 의장작업은 conveyor 화하여 물류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작업의 장치화-자동화를 도모한다.
3) 건조선형을 표준화하여 설계에서의 시간을 단축하고 공사량은 평준화해야 한다.
4) 되도록 모든 부재와 block의 지상 작업을 극대화하고 같은 level에서의 이동이, 즉 평면이동을 꾀하고, 3차원 이동은 지양해야 한다.
5) 전공정에 대한 생산과리 체계를 CIMS화 해야 하고 공사량의 평준화, 물류흐름을 원활하게 해야 한다.
6) Interim Product의 stock량을 줄이고, 공정간의 Buffer Area의 단위 면적당 생산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7) 작업환경을 가정 같이 느끼게 해야 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24.01.24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83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