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목적
Ⅱ. 서론
1. 세포 분열
2. 재료 및 기구
Ⅲ. 참고자료
Ⅱ. 서론
1. 세포 분열
2. 재료 및 기구
Ⅲ. 참고자료
본문내용
tubule)의 주성분인 튜불린(tubulin) 단백질이 생산된다.
② 분열기
M기라고 부른다. 세포주기에서 핵분열과 세포질분열이 일어나는 시기이다. 염색체의 형태적 차이와 분열장치에서의 움직임에 따라 전지, 중기, 후기, 말기로 구분된다.
1) 전기
전기에는 염색사가 염색체로 응축되어 있다. 핵막과 인이 소실된다. 중심체가 멀어지면서 새로운 구조물인 방추사(spindle)라는 섬유가 형성되는 시기이다. 방추사는 세포의 양극에 걸쳐서 분포되어 있는 미세소관으로 구성된다. 방추사가 형성된 후 염색체들은 그 위에 자리를 잡기 시작하는데, 각 염색체는 동원체(centromere)라고 불리는 염색체상의 특정부위에서 방추사에 연결된다
2) 중기
중기는 염색체가 가장 뚜렷한 모습을 갖고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수와 형태를 관찰하기 가장 좋은 시기이다. 염색체가 세포 중앙의 적도면에 일렬로 배열되어 방추사가 염색체에 부착이 된다.
3) 후기
후기에는 하나의 염색체를 이루던 염색 분체가 방추사에 의하여 분리되는 때이다. 분리된 염색 분체는 방추사가 짧아지기 시작하면서 세포의 양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양극으로 분리된 염색분체는 양과 질이 동일하므로 딸세포의 염색체는 모세포의 수적, 형태적, 질적으로 동일하다.
4) 말기
말기는 분열기의 마지막 단계로, 염색체는 염색사로 풀어지며 핵막과 인이 나타나서 2개의 딸핵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때 방추사가 사라지고 세포질 분열이 시작된다.
5) 세포질 분열기
동물세포에서는 세포막의 중앙부분이 함입되고 식물세포에서는 세포판(cell plate)이 형성되어 세포질을 나눔으로써 완전한 2개의 딸세포를 만든다.
진핵생물은 유성생식(sexual reproduction)을 하여 체세포분열과 감수분열, 두 종류의 세포분열을 한다.
① 체세포분열(mitosis)
생물의 생장과 조직의 재생 과정에서 일어나는 세포 분열이며 세포 분열 과정에서 유전체의 양이 변하지 않는 분열을 의미한다. 체세포분열 과정에서는 DNA 복제에 의해 간기에 2배로 증가하했던 DNA가 염색체의 형태로 배열되고 양극으로 나뉘게 되면서 양친과 동일한 수의 염색체가 딸세포로 배분된다. 체세포 분열 과정은 편의상 간기, 전기, 중기, 후기, 말기로 구분하지만 사실상 연속적인 과정이다.
② 감수분열(meiosis)
감수분열은 동물의 난자와 정자 등 생식세포의 형성과정에서 일어나는 세포 분열이며 두 번의 연속적인 세포 분열을 하기 때문에 총 4개의 딸세포를 형성한다.
2. 재료 및 기구
발근시킨 양파
아세트올세인(acete-orcein)
1N HCl
ethanol
acetic acid
현미경
슬라이드글라스
핀셋
해부침
커버글라스
실험 방법
근단 고정 : Farmer 용액(acetic acid : ethanol = 1:3)에 양파의 근단을 약 1cm 길이로 잘라 고정한다.
근단 해리: 1N HCl (55~60도)에서 5~10분 처리한다.
염색
1) 근단을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올려놓고 메스로 근단에서 1mm 정도 자르고 나머지를 제거한다
2) 여과지로 수분을 제거하고 아세트올세인 용액 한 방울을 떨어뜨린 후 해부침을 이용하여 잘게 부순다.
3) 커버글라스로 덮고 해부침 뒷면을 이용하여 가볍게 두드린 후 여과지로 덮고, 엄지손가락으로 누른다.(표본이 밀리지 않게 수직으로 누른다)
4) 관찰: 현미경으로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관찰하낟.
Ⅴ. 참고자료
감수분열 (naver.com)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1123&cid=61233&categoryId=61233
G2기 (naver.com)
세포주기 (naver.com)
② 분열기
M기라고 부른다. 세포주기에서 핵분열과 세포질분열이 일어나는 시기이다. 염색체의 형태적 차이와 분열장치에서의 움직임에 따라 전지, 중기, 후기, 말기로 구분된다.
1) 전기
전기에는 염색사가 염색체로 응축되어 있다. 핵막과 인이 소실된다. 중심체가 멀어지면서 새로운 구조물인 방추사(spindle)라는 섬유가 형성되는 시기이다. 방추사는 세포의 양극에 걸쳐서 분포되어 있는 미세소관으로 구성된다. 방추사가 형성된 후 염색체들은 그 위에 자리를 잡기 시작하는데, 각 염색체는 동원체(centromere)라고 불리는 염색체상의 특정부위에서 방추사에 연결된다
2) 중기
중기는 염색체가 가장 뚜렷한 모습을 갖고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수와 형태를 관찰하기 가장 좋은 시기이다. 염색체가 세포 중앙의 적도면에 일렬로 배열되어 방추사가 염색체에 부착이 된다.
3) 후기
후기에는 하나의 염색체를 이루던 염색 분체가 방추사에 의하여 분리되는 때이다. 분리된 염색 분체는 방추사가 짧아지기 시작하면서 세포의 양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양극으로 분리된 염색분체는 양과 질이 동일하므로 딸세포의 염색체는 모세포의 수적, 형태적, 질적으로 동일하다.
4) 말기
말기는 분열기의 마지막 단계로, 염색체는 염색사로 풀어지며 핵막과 인이 나타나서 2개의 딸핵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때 방추사가 사라지고 세포질 분열이 시작된다.
5) 세포질 분열기
동물세포에서는 세포막의 중앙부분이 함입되고 식물세포에서는 세포판(cell plate)이 형성되어 세포질을 나눔으로써 완전한 2개의 딸세포를 만든다.
진핵생물은 유성생식(sexual reproduction)을 하여 체세포분열과 감수분열, 두 종류의 세포분열을 한다.
① 체세포분열(mitosis)
생물의 생장과 조직의 재생 과정에서 일어나는 세포 분열이며 세포 분열 과정에서 유전체의 양이 변하지 않는 분열을 의미한다. 체세포분열 과정에서는 DNA 복제에 의해 간기에 2배로 증가하했던 DNA가 염색체의 형태로 배열되고 양극으로 나뉘게 되면서 양친과 동일한 수의 염색체가 딸세포로 배분된다. 체세포 분열 과정은 편의상 간기, 전기, 중기, 후기, 말기로 구분하지만 사실상 연속적인 과정이다.
② 감수분열(meiosis)
감수분열은 동물의 난자와 정자 등 생식세포의 형성과정에서 일어나는 세포 분열이며 두 번의 연속적인 세포 분열을 하기 때문에 총 4개의 딸세포를 형성한다.
2. 재료 및 기구
발근시킨 양파
아세트올세인(acete-orcein)
1N HCl
ethanol
acetic acid
현미경
슬라이드글라스
핀셋
해부침
커버글라스
실험 방법
근단 고정 : Farmer 용액(acetic acid : ethanol = 1:3)에 양파의 근단을 약 1cm 길이로 잘라 고정한다.
근단 해리: 1N HCl (55~60도)에서 5~10분 처리한다.
염색
1) 근단을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올려놓고 메스로 근단에서 1mm 정도 자르고 나머지를 제거한다
2) 여과지로 수분을 제거하고 아세트올세인 용액 한 방울을 떨어뜨린 후 해부침을 이용하여 잘게 부순다.
3) 커버글라스로 덮고 해부침 뒷면을 이용하여 가볍게 두드린 후 여과지로 덮고, 엄지손가락으로 누른다.(표본이 밀리지 않게 수직으로 누른다)
4) 관찰: 현미경으로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관찰하낟.
Ⅴ. 참고자료
감수분열 (naver.com)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1123&cid=61233&categoryId=61233
G2기 (naver.com)
세포주기 (naver.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