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초방제학(출석수업)) 국내 생태계교란식물 발생 현황(3초종)과 대책 국내 생태계교란식물의 발생 및 피해현황 등(20점)과 그에 따른 대책(10점) 서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잡초방제학(출석수업)) 국내 생태계교란식물 발생 현황(3초종)과 대책 국내 생태계교란식물의 발생 및 피해현황 등(20점)과 그에 따른 대책(10점) 서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생태교란 식물 현황
2.1.1 생태계교란 식물 분포 현황
2.1.2 생태계교란 식물 서식지별 비교 현황
2.2 대표 생태계교란 식물의 현황 및 피해 상황, 그리고 대책 방향
2.2.1 돼지풀
2.2.2 가시박
2.2.3 털물참새피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이후 암꽃은 연한 녹색의 형태로 달리게 된다.
다만 번식력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한 그루당 25,000개 이상의 씨가 생기기도 하며, 열매에는 뾰족한 가시가 별사탕 모양으로 나있기 때문에 옷을 관통하여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현재 가시박은 우리나라 전역에 퍼져 있을 뿐만 아니라, 일본 및 유럽, 호주 등에도 귀화하여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시박의 경우 거의 8 m까지 성장하기도 하고, 하루에 30 cm 이상 자랄 정도로 생장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다른 식물과 나무들을 뒤덮어 말라죽게 하는 피해를 입히게 된다. 한 줄기의 덩굴만으로도 반경 5 m를 덮어버릴 수 있으며, 제초제를 뿌리더라도 며칠 내로 다시 넝쿨이 올라오게 되기 때문에 웬만한 농작물들은 버티지 못하고 죽게 된다.
또한, 가시박의 열매에 있는 가시들은 투명한 형태이기 때문에 한 번 찔리게 되면, 잘 빠지지 않고 피부가 붓거나 고름이 나는 문제가 생기므로, 가시박에 열매가 달리는 가을에 피해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가시박이 발생할 경우 이에 따른 대책 방안은 환경부 등에서 다음 [표 4]와 같이 정해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가시박 발생 시 관리 및 대책 방안
유의
사항
분포면적이 넓거나, 다른 생물에 영향을 주는 지역은 우선적으로 제거
발생이 확인된 장소의 경우 지속적으로 관찰 후, 재발생 시 반복 제거 필요
관리
범위
생육지를 파악한 후, 이를 대상으로 집중 제거
관리
방법
흡입 방지가 필요, 성장이 빠르고 종자가 널리 산포되기 때문에 확산에 주의해야 함
어린 순은 뿌리째 뽑고, 줄기 자르기를 반복적으로 실행해야 함.
지면으로 내려온 경우 종자까지 제거 필요
관리
시기
열매를 맺기 전에 제거해야 효과적임
5~6월에는 나무 밑에 발생하는 어린 개체를 집중적으로 제거해야 함
제거 지역은 지속적으로 관찰한 후, 개화되는 개체가 확인될 경우 즉시 제거 필요
2.2.3 털물참새피
털물참새피의 경우 북아메리카에서 넘어온 외래종으로, 주로 아메리카와 열대아 시아에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전라남도와 경상남도, 그리고 제주도 등에서 주로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털물참새피 또한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제9호 규정에 따라 생태계 교란 야생종으로 지정되어 있는 식물이다.
이는 사초목 볏과에 속하는 관속 식물로, 줄기가 곧게 자라거나 수면 위에 넓게 펼쳐지는 형태를 보이는 식물이다. 잎은 5~20 cm로 잎집과 마디마다 젖꼭지 모양의 긴 흰색 털이 나는 형태를 보이게 된다. 꽃은 주로 6~9월에 피며, 하천이나 습지, 그리고 논 등 습기가 많은 지역에서 무리를 지어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털물참새피의 경우 습지대에서 자라면서 부유성 식생 매트를 두껍게 형성하는데, 이 과정에서 수생태계의 환경을 변화하고, 구성종의 변질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불어 혐기성 조건을 만들기 때문에 모기 등 해충의 발생량을 증가시키고, 볏과에 속하면서 농경지에 침투하기 때문에 농경지 관리의 어려움을 만들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털물 참새피가 발생할 경우 이에 따른 대책 방안을 환경부에서 만들어서 다음 [표 5]와 같이 제시하고 있다.
털물참새피 발생 시 관리 및 대책 방안
유의
사항
결실 전에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반복 제거가 필요
제거 시 다른 식물 교란을 주의해야 함
새로 자라는 개체의 발생을 차단하고, 지속적으로 관찰 필요
관리
범위
발생 지역의 주기적인 관리
관리
방법
여름철에 대규모로 발생하므로 주의해야 하며, 낫을 이용하여 제거해야 함
결실 후에도 지속적인 제거 필요
관리
시기
결실 전에는 뿌리 및 줄기 제거 필요
3~4년 지속적인 제거 필요
종자가 결실되는 6월 이전에 제거 필요
3. 결론
국내에 도입된 외래 식물의 경우 인간과 동물의 건강을 위협하기도 하고, 사회나 경제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더불어 고유 생태계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빠른 생장속도로 인해 기존 자생식물들의 멸종을 유발하고 있으므로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환경부에서는 생물다양성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외래 식물을 관리하고 있으며, 본 보고서에서는 그중 영산강에 분포하고 있는 돼지풀, 가시박, 그리고 털물참새피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이러한 식물들은 물리적 및 화학적, 환경 변화 등 식물에 적합한 제거 방법을 적용하여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분포 면적의 확대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면서 자생종이 사라지지 않도록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하송, 조영준, 곽수란, (2019). 영산강하류지역의 생태계교란식물 분포와 관리방안, 한국도서섬학회, 31(1), pp. 257~276.
http://www.riss.kr/link?id=A106174267
임정철, 정현기, 이철호, 최병기, (2017). 낙동강 하구언 일대의 물참새피군락 분포 현황, 한국하천호수학회, 50(2). pp. 195~206.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584025
한국 잡초학회 홈페이지
https://web.archive.org/web/20171015201754/http://ksws.kr/bbs/board.php?bo_table=6_4&wr_id=274
파주뉴스
https://www.paju.go.kr/news/user/BD_newsView.do?q_ctgCd=1002&newsSeq=699
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홈페이지
https://kias.nie.re.kr/home/for/for02002v.do?clsSno=10219&searchClsGbn=eco
KBS 뉴스, 2008.08.25., “호흡기 질환 원인 ‘돼지풀’, 국립공원도 점령”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1620843
조선일보, 2009.07.04. “ \"괴물이야, 괴물… 아무리 뽑아도 안돼\"”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7/03/2009070301620.html?Dep0=chosunmain&Dep1=news&Dep2=headline1&Dep3=h1_02
  • 가격3,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4.01.26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89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