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결론
1.1 브리넬 실험 데이터
1.1.1 브리넬 시험편 두께
1.2 로크웰 실험 데이터
1.3 쇼어 반환 데이터 비교
1.4 고찰
2. 참고문헌
1.1 브리넬 실험 데이터
1.1.1 브리넬 시험편 두께
1.2 로크웰 실험 데이터
1.3 쇼어 반환 데이터 비교
1.4 고찰
2.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험에서는 시편의 경도를 알아보는 시험을 하였다. 시편의 경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두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브리넬 시험법으로 측정한 시편의 경도는로 측정되었고, 로크웰 시험법으로 측정한 시편의 경도는 98.7HRB로 측정되었다. 브리넬 시험법은 쇼어값과 로크웰 값으로 환산을 하게 되면, 31.5 쇼어값과 94.7 HRB이 되고, 로크웰 시험법은 35 쇼어값과 231 브리넬 값을 가지게 된다. 측정된 브리넬값을 로크웰 값으로 환산하고 그 값을 깊이로 계산을 하게 되면, 가 되고, 로크웰 실험결과와 비교했을 때, 보다 높게 나온다. 또한 로크웰 실험값을 가지고 브리넬 값으로 환산후 오목부의 지름을 계산하면, 2.33mm의 반지름을 가지게 되고, 브리넬 시험결과와 비교했을 때 보다 작은 오목부의 지름으로 계산된다. 두방법의 실험값을 환산하여 비교하였으때, 같은 시편의 경도를 측정하였지만, 브리넬 시험법보다 로크웰 시험법의 결과가 더 높은 경도로 측정되었다. 두방법의 결과값의 차이를 오차로 볼 수있다. 오차의 요인은 시편의 경도를 측정할 때, 하나의 시편으로 여러번 측정하여 측정할때마다 소성변형을 하게 되고, 소성변형이 일어날 때 마다 가공경화가 발생된다. 즉, 로크웰 실험을 진행할 때, 실험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가공경화로 인해 결과값이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시험편에 이물질이 생기게 되면 마찰력으로 인해 결과값이 달라질 수 있다.
2. 참고문헌
1) 안기웅, 경도시험(2019)
2) 최덕기 외7명, Timothy A. Philot 고체역학 2nd Edition, Young 도서출판, PP. 53
2. 참고문헌
1) 안기웅, 경도시험(2019)
2) 최덕기 외7명, Timothy A. Philot 고체역학 2nd Edition, Young 도서출판, PP. 5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