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코로나 이전에 취미 생활
2) 코로나 이후 생활과 취미활동의 변화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코로나 이전에 취미 생활
2) 코로나 이후 생활과 취미활동의 변화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김세정 기자, KBS, 2022.04.04.
이와 더불어 온라인의 변화에 좇아가지 못해 사회적 고립감이 증가하고 있다. 이런 고립감이 많은 노년층에게도 취미활동에 관한 변화도 생겼다. 사회적 고립감이 증가한 노년층에서는 취미활동의 감소 및 시설 이용에 관한 욕구가 더욱 증가하였다. 또한, 사회적 고립감을 해소하기 위해 TV 시청 및 야외공간 활용을 통해 사회적 고립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이런 사회적 고립감이 심했던 노년층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시설 이용에 욕구를 가지고 활동을 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런 노년층이 많아짐에 따라 지자체별로 다양한 노인 교육프로그램도 많아지고 있다. 수도권이나 대도시 중심으로 이뤄진 유튜브 영상 제작, SNS, 메타버스 등 컴퓨터 활용 및 스마트폰 교육 프로그램이 노인복지관 중심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으로 진행되고 있다. 노인복지관의 수요는 다양해지고 있으나, 노인복지관의 설치 및 운영이 서울, 경기 지역에 36.4%로 밀집되고 있다. 농촌 비중이 높은 경남, 강원, 경북 등 시군엔 1곳도 설치되지 않은 사례도 있다. 노인복지관의 편중은 노년층 간의 간극을 높이는 모습도 보인다. 서울, 경기, 대도시 중심의 복지관에서 평생학습을 통해 취미활동을 진행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지역에서 경로당, 노인 교실에서 진행되는 평생학습은 한정될 수밖에 없다. 이런 평생학습을 통해 노년층의 취미활동 다양성도 제한될 수밖에 없다. ‘제2의 삶’ 노년의 여가활동… 복지 프로그램 도시편중·농촌소외, 김재민 기자, 스카이 데일리, 2023.03.20
단순히, 코로나 팬데믹의 변화가 아닌, 지역과 과거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에 따라 취미활동 변화의 양상이 결정될 수 있다. 문화적인 요소를 보기 위해 사회 전반적인 기반도 같이 봐야 한다는 사실이다.
4. 참고문헌
1) 코로나19 장기화, 노년기 우울증 발병위험 2배 ↑, 홍성익 기자, 한스경제, 2022.03.30.
http://www.hans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4302
2) 2022년 서울시 노인실태조사, 서울시복지재단, 2023.02.10.
https://blog.naver.com/swf1004/223011559364
3) BTS 꺾은 임영웅, 그 뒤엔 중·노년 팬덤 있었다, 이수진, 국방일보, 2022.07.06.
https://kookbang.dema.mil.kr/newsWeb/20220707/1/BBSMSTR_000000100178/view.do?nav=0&nav2=0
4) “사는 낙 없어”…코로나19 이후 노년기 우울증 발병 위험 2배↑,김세정 기자, KBS, 2022.04.04.
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1241507?sid=102
5) ‘제2의 삶’ 노년의 여가활동… 복지 프로그램 도시편중·농촌소외, 김재민 기자, 스카이 데일리, 2023.03.20.
https://www.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185144
이와 더불어 온라인의 변화에 좇아가지 못해 사회적 고립감이 증가하고 있다. 이런 고립감이 많은 노년층에게도 취미활동에 관한 변화도 생겼다. 사회적 고립감이 증가한 노년층에서는 취미활동의 감소 및 시설 이용에 관한 욕구가 더욱 증가하였다. 또한, 사회적 고립감을 해소하기 위해 TV 시청 및 야외공간 활용을 통해 사회적 고립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이런 사회적 고립감이 심했던 노년층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시설 이용에 욕구를 가지고 활동을 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런 노년층이 많아짐에 따라 지자체별로 다양한 노인 교육프로그램도 많아지고 있다. 수도권이나 대도시 중심으로 이뤄진 유튜브 영상 제작, SNS, 메타버스 등 컴퓨터 활용 및 스마트폰 교육 프로그램이 노인복지관 중심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으로 진행되고 있다. 노인복지관의 수요는 다양해지고 있으나, 노인복지관의 설치 및 운영이 서울, 경기 지역에 36.4%로 밀집되고 있다. 농촌 비중이 높은 경남, 강원, 경북 등 시군엔 1곳도 설치되지 않은 사례도 있다. 노인복지관의 편중은 노년층 간의 간극을 높이는 모습도 보인다. 서울, 경기, 대도시 중심의 복지관에서 평생학습을 통해 취미활동을 진행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지역에서 경로당, 노인 교실에서 진행되는 평생학습은 한정될 수밖에 없다. 이런 평생학습을 통해 노년층의 취미활동 다양성도 제한될 수밖에 없다. ‘제2의 삶’ 노년의 여가활동… 복지 프로그램 도시편중·농촌소외, 김재민 기자, 스카이 데일리, 2023.03.20
단순히, 코로나 팬데믹의 변화가 아닌, 지역과 과거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에 따라 취미활동 변화의 양상이 결정될 수 있다. 문화적인 요소를 보기 위해 사회 전반적인 기반도 같이 봐야 한다는 사실이다.
4. 참고문헌
1) 코로나19 장기화, 노년기 우울증 발병위험 2배 ↑, 홍성익 기자, 한스경제, 2022.03.30.
http://www.hans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4302
2) 2022년 서울시 노인실태조사, 서울시복지재단, 2023.02.10.
https://blog.naver.com/swf1004/223011559364
3) BTS 꺾은 임영웅, 그 뒤엔 중·노년 팬덤 있었다, 이수진, 국방일보, 2022.07.06.
https://kookbang.dema.mil.kr/newsWeb/20220707/1/BBSMSTR_000000100178/view.do?nav=0&nav2=0
4) “사는 낙 없어”…코로나19 이후 노년기 우울증 발병 위험 2배↑,김세정 기자, KBS, 2022.04.04.
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1241507?sid=102
5) ‘제2의 삶’ 노년의 여가활동… 복지 프로그램 도시편중·농촌소외, 김재민 기자, 스카이 데일리, 2023.03.20.
https://www.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185144
추천자료
취미와예술] 코로나 19(COVID 19)로 중단되었던 일상이 서서히 회복되면서 우리 사회 구성원...
[취미와예술 2학년] 코로나 19로 중단되었던 일상이 회복되면서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취미 ...
[취미와예술 2학년] 코로나 19로 중단되었던 일상이 회복되면서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취미 ...
(취미와예술) 코로나 19로 중단되었던 일상이 회복되면서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취미 생활에 ...
(취미와예술) 코로나 19로 중단되었던 일상이 회복되면서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취미 생활에 ...
[취미와예술] 2023년 중간과제물, 코로나 19(COVID 19)로 중단되었던 일상이 회복되면서 우리...
취미와예술) COVID 19로 중단되었던 일상이 회복되면서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취미 생활에 나...
취미와 예술 코로나 19 COVID 19 중단되었던 일상이 회복되면서 우리 사회 구성원 (1)
취미와예술) 코로나 19로 중단되었던 일상이 회복되면서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취미 생활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