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말고사 시험범위
1) chapter 성격 <객관식 1문제, 주관식>
2) chapter. 10 심리검사와 지능 <객관식 1문제>
3) chapter 11. 이상행동과 적응 - 서술형 2문제
4) chapter 14. 사회심리 - 주관식
2. 기출문제 총 문항수
1) 서술형 2문제
2) 객관식 2문제
3) 주관식 8문제
1) chapter 성격 <객관식 1문제, 주관식>
2) chapter. 10 심리검사와 지능 <객관식 1문제>
3) chapter 11. 이상행동과 적응 - 서술형 2문제
4) chapter 14. 사회심리 - 주관식
2. 기출문제 총 문항수
1) 서술형 2문제
2) 객관식 2문제
3) 주관식 8문제
본문내용
서술1) 이상행동의 판별 기준 4가지
이성행동이란 어떤 객관적인 관찰과 측정 가능한 개인의 부적응적인 심리적 특성 의미
1) 적응적 기능의 저하 및 손상
개인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신체생리적 기능이 저하되거나 손상되어 원활한 적응에 지장을 초래할 때 부적응적 이상행동으로 간주
문제점
- 적응과 부적응의 경계가 모호함
- 적응 여부는 평가자의 관점과 평가 기준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부적응이 어떤 심리적 기능이 손상에 의해 초래되었느지 판단 어려움
2) 통계적 평균으로부터의 일탈
통계적 속성에 따라 평균에서 멀리 일탈된 특성을 나타낼 경우 비정상적으로 간주
일반적으로 평균에서 2배의 표준편차 이상 일탈되면 이상행동 규정
문제점
- 바람직한 방향으로 일탈한 경우
- 인간의 모든 행동을 측정하여 통계적 기준을 적용하는 것 불가능
- 통계적 기준은 전문가들이 세운 편의적 경계일 뿐 이론적이거나 경험적인 타당한 근거에 기초하지 않았음
3) 주관적 불편감과 개인적 고통
개인으로 하여금 현저한 고통과 불편을 느끼게 하는 행동이 이상행동
문제점
- 고통의 적절성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움
- 사람마다 고통을 느끼고 표현하는 정도가 달라 일관된 적용 어려움
- 부적응적인 행동을 나타내면서도 주관적 고통과 불편을 느끼지 않는 경우 있음
4) 문화적 규범으로 부터의 일탈
문화적 규범에 어긋나거나 일탈된 행동을 나타낼 경우에 이상행동으로 규정
예)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라.
문제점
- 문화적 상대성의 문제 : 문화적 규범은 시대에 따라 변하고 문화에 따라 다름
- 문화적 규범 자체가 바람직하지 못할 경우에 이를 적용해야 하느냐 하는 문제
서술 2)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충격적인 사건을 경험하고 난 후에 불안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외상이라함은 죽음이나 심각한 신체적 손상을 초래하는 매우 충격적인 사건을 의미
ex) 교통사고, 강간, 폭행, 유괴, 살인, 화재, 전쟁, 자연재해(지진, 홍수, 화산폭발)등
외상 후 장애를 직접경험 및 목격한 후 세가지 유형의 심리적 증상
- 외상적 사건을 지속적으로 재경험
사건에 대한 고통스러운 기억이 자꾸 떠오르거나 꿈에서 나타남
사건과 관련된 단서를 접하면 그 사건이 재발하는 것 같은 착각을 경험, 강렬한 심리적, 신체적 고통 경험
- 외상과 관련된 자극을 회피하거나 정서적으로 무감각해짐
외상과 관련된 생각과 대화를 피함, 관련된 장소와 사람을 회피
감정 무뎌지고 타인과의 관계 소원해짐, 중요한 활동에 대한 흥미 저하
- 예민한 각성 상태가 지속됨
평소 늘 과민하여 쉽게 놀라거나 화를 냄, 주의 집중을 못함, 잠을 이룰 수 없음
세 가지 유형의 증상 중 한 가지 이상이 1개월 이상 지속되어 일상생활에 심각한 지장을 줄 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
DSM-5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부적응 문제를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라는 범주에 포함
- 해당 범주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단기 스트레스 장애, 반응성 애착장애, 탈억제 사회관여장애, 적응장애가 속함
이성행동이란 어떤 객관적인 관찰과 측정 가능한 개인의 부적응적인 심리적 특성 의미
1) 적응적 기능의 저하 및 손상
개인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신체생리적 기능이 저하되거나 손상되어 원활한 적응에 지장을 초래할 때 부적응적 이상행동으로 간주
문제점
- 적응과 부적응의 경계가 모호함
- 적응 여부는 평가자의 관점과 평가 기준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부적응이 어떤 심리적 기능이 손상에 의해 초래되었느지 판단 어려움
2) 통계적 평균으로부터의 일탈
통계적 속성에 따라 평균에서 멀리 일탈된 특성을 나타낼 경우 비정상적으로 간주
일반적으로 평균에서 2배의 표준편차 이상 일탈되면 이상행동 규정
문제점
- 바람직한 방향으로 일탈한 경우
- 인간의 모든 행동을 측정하여 통계적 기준을 적용하는 것 불가능
- 통계적 기준은 전문가들이 세운 편의적 경계일 뿐 이론적이거나 경험적인 타당한 근거에 기초하지 않았음
3) 주관적 불편감과 개인적 고통
개인으로 하여금 현저한 고통과 불편을 느끼게 하는 행동이 이상행동
문제점
- 고통의 적절성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움
- 사람마다 고통을 느끼고 표현하는 정도가 달라 일관된 적용 어려움
- 부적응적인 행동을 나타내면서도 주관적 고통과 불편을 느끼지 않는 경우 있음
4) 문화적 규범으로 부터의 일탈
문화적 규범에 어긋나거나 일탈된 행동을 나타낼 경우에 이상행동으로 규정
예)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라.
문제점
- 문화적 상대성의 문제 : 문화적 규범은 시대에 따라 변하고 문화에 따라 다름
- 문화적 규범 자체가 바람직하지 못할 경우에 이를 적용해야 하느냐 하는 문제
서술 2)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충격적인 사건을 경험하고 난 후에 불안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외상이라함은 죽음이나 심각한 신체적 손상을 초래하는 매우 충격적인 사건을 의미
ex) 교통사고, 강간, 폭행, 유괴, 살인, 화재, 전쟁, 자연재해(지진, 홍수, 화산폭발)등
외상 후 장애를 직접경험 및 목격한 후 세가지 유형의 심리적 증상
- 외상적 사건을 지속적으로 재경험
사건에 대한 고통스러운 기억이 자꾸 떠오르거나 꿈에서 나타남
사건과 관련된 단서를 접하면 그 사건이 재발하는 것 같은 착각을 경험, 강렬한 심리적, 신체적 고통 경험
- 외상과 관련된 자극을 회피하거나 정서적으로 무감각해짐
외상과 관련된 생각과 대화를 피함, 관련된 장소와 사람을 회피
감정 무뎌지고 타인과의 관계 소원해짐, 중요한 활동에 대한 흥미 저하
- 예민한 각성 상태가 지속됨
평소 늘 과민하여 쉽게 놀라거나 화를 냄, 주의 집중을 못함, 잠을 이룰 수 없음
세 가지 유형의 증상 중 한 가지 이상이 1개월 이상 지속되어 일상생활에 심각한 지장을 줄 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
DSM-5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부적응 문제를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라는 범주에 포함
- 해당 범주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단기 스트레스 장애, 반응성 애착장애, 탈억제 사회관여장애, 적응장애가 속함
키워드
추천자료
해외탐방 기획 보고서-일본 수발보험
현진건의 『술 권하는 사회』를 통한 근대소설 교육의 실제
KCU술문화의 이해 기말고사 범위 족보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정리
[교육심리학]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2. 계속...
지구에서만나살아가는남자와여자,중간고사,기말고사,족보
[홍익대학교 A+] 사회학의 이해 기말고사 족보
[부산대학교 A+] 청년기건강 족보 정리 기말고사 출제 방향
[부산대학교 A+] 생명과학 기말고사 족보
[창원대학교 A+] 생활속심리학 요약 및 정리 기말고사 범위 족보(7~13주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