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서대학교A+] 만점받은 우리 문화재의 이해 중간고사&기말고사 족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서대학교A+] 만점받은 우리 문화재의 이해 중간고사&기말고사 족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중간
2. 기말

본문내용

표면을 긁어 도톰하게 만드는 기법
보 기4 음각 - 도자기 표면에 흙을 덧붙여 만드는 기법
보 기5 청화 - 회회청 안료를 사용하여 푸른색으로 그리는 기법
정 답 5
(객) 다음 중 고려시대의 도자기와 조선시대의 도자기가 맞게 연결된 것을 고르시오.(1문항)
보 기1 고려 - 청자 / 조선 - 백자
보 기2 고려 - 백자 / 조선 - 청자
보 기3 고려 - 분청사기 / 조선 - 상감청자
보 기4 고려 - 청화백자 / 조선 - 백자
보 기5 고려 - 토기 / 조선 - 자기
정 답 1
(객) 분청사기를 제작하는 기법과 그 기법의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1문항)
보 기1 조화 - 표면에 음각으로 꽃무늬를 그리는 기법
보 기2 인화 - 유약에 덤벙 담가서 희게 보이는 기법
보 기3 박지 - 문양이 아닌 바탕 부분을 긁어 무늬를 나타내는 기법
보 기4 귀얄 - 귀얄이라는 넓은 붓으로 휙휙 그리는 기법
보 기5 철화 - 철사로 그림으로 그려 푸른 색을 나타내는 기법
정 답 2
(객) 우리의 전통 공예는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생활과 공예품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문항)
보 기1 식생활 - 방짜유기, 도자그릇, 양은냄비
보 기2 남성용 의생활 - 갓, 망건, 탕건
보 기3 여성용 의생활 - 댕기, 비녀, 노리개
보 기4 주생활 - 장롱, 문갑, 사방탁자
보 기5 취미생활 - 민화, 병풍, 자수
정 답 1
(객) 다음 중 도자기에 그려진 문양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1문항)
보 기1 공룡무늬
보 기2 운학무늬
보 기3 십장생무늬
보 기4 연꽃무늬
보 기5 모란무늬
정 답 1
(단) 10. (????)는 고려 말 퇴화된 청자의 거친 바탕흙을 가리고자 백토로 분장을 하여 조선 전기까지 유행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한국적 도자기 제작기법이다. 이 도자기를 미술사학자 고유섭이 “분장회청사기”라고 불렀는데, 현재 우리는 줄여서 \'????\'라고 부르며, 북한에서는 조금 다르게 \'****\'라고 부른다. (????)와 \'****\'에 들어갈 글자를 띄어쓰지 말고 붙여 쓰시오?(8글자)
정 답 분청사기분장사기
(객) 조선시대 공예와 무형문화재 공예 기술 보유자 간의 공통점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문항)
보 기1 제작장인은 모두 남자들이다.
보 기2 공예품의 형태가 거의 같다.
보 기3 공예품의 문양이 많이 비슷하다.
보 기4 사용하는 재료가 상당히 흡사하다.
보 기5 사용하는 도구가 거의 그대로이다.
정 답 1
(단) 나는 조선전기를 대표하는 화가이다. 나는 중국 북송대 이곽파 화풍을 본 받아서 기암절벽으로 가득찬 대관산수를 주로 그렸다. 특히 나는 안평대군의 꿈 얘기를 듣고 유명한 그림을 그렸다. 나는 누구이고 내가 그린 그림은 무엇인가?(화가이름 2글자와 작품이름 5글자, 총7글자를 띄어쓰지 말고 붙여서 쓸것)(7글자
정 답 안견몽유도원도
(객) 다음 중 화가와 그들이 활동한 시기와 잘 그린 그림의 주제가 옳지 않게 연결된 것을 고르시오. (1문항)
보 기1 신윤복 - 조선 중기 - 호랑이
보 기2 신사임당 - 조선 전기 - 가지와 수박
보 기3 변상벽 - 조선 후기 - 고양이
보 기4 이암 - 조선 전기 - 강아지
보 기5 남계우 - 조선 후기 - 나비
정 답 1
(객) 조선 말기 풍속화가 중에서 한국의 전통문화와 공예품을 제작하는 장인의 모습을 잘 그려 해외에 널리 알려져 있는 화가는 누구인가?(1문항)
보 기1 기산 김준근
보 기2 단원 김홍도
보 기3 혜원 신윤복
보 기4 오원 장승업
보 기5 추사 김정희
정 답 1
(객) 조선왕조 500년간 가장 발달한 문화재의 장르는 회화이다. 회화는 시기에 따라 활약한 화가나 양식적 특징이 각각 달라 시기를 구분하고 있다. 다음 중 조선 회화의 시기와 시기별 특징이 틀린 것을 고르시오? (1문항)
보 기1 조선전기 ; 이곽파 화풍이 발달하고 안견의 몽유도원도가 유명하다.
보 기2 조선말기 ; 남종화풍에 의한 복고풍이 유행하고 추사 김정희가 유명하다.
보 기3 조선말기 ; 절파화풍이 유행하고 강희안의 소경인물산수화가 유명하다.
보 기4 조선후기 ; 한국의 풍광을 그린 진경산수화가 발달하고 겸재 정선이 유명하다.
보 기5 조선후기 ; 한국인의 모습을 그린 풍속화가 유행하여 김홍도와 신윤복이 유명하다.
정 답 3
(단) 우리나라에서는 눈에 보이는 유물 이외에도 눈에 보이지 않는 문화재로서, 춤을 추거나 노래를 부르거나 공예품을 만드는 장인들을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이들을 부르는 명칭은 무엇인가? (5글자)
정 답 무형문화재
제출답안 무형문화재
(단) 회화의 한 종류로서 한국적인 강아지나 고양이처럼 털 있는 동물이나 꽃과 새 등을 그리는 그림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5글자)
정 답 영모화조화
제출답안 화조영모도
(객) 무형문화재 중 전통공예품은 여러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작품이나 제작하는 사람들이 지니고 있는 특징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 (1문항)
보 기1 전통공예품은 할아버지나 할머니만 만들어야 하고 그들이 없으면 만들 수도 없고 계승되지 않는다.
보 기2 전통공예품 중 우리 나라 것에는 전통성이 있으나, 북한의 전통공예품에는 주체사상 등이 들어있어 우리보다 현대적이다.
보 기3 우리의 전통공예품은 특정한 몇명만 만들기 때문에 값이 비싸고 보관이 어려워 잘 사지 않는다,
보 기4 전통공예품에는 한민족의 역사적 정통성과 한 민족의 삶이 담긴 문화의 정체성이 포함되어 있다.
정 답 4
(객) 다음 중 분청사기의 기법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1문항)
보 기1 투각
보 기2 덤벙
보 기3 박지
보 기4 인화
보 기5 조화
정 답 1
(단) 조선시대의 백자는 선비들의 미감이 반영되어 있다고 한다. 특히 백자는 백의민족을 좋아하는 한국인의 성향을 닮았는데, 그중 크고 둥글어 마치 하늘에 떠 있는 달과 같이 생긴 둥근 항아리는 “????”라 불린다.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여 가장 한국적인 도자기로도 유명한 “????”는 무엇일까? (네글자)
정 답 달항아리
  • 가격7,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24.01.29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94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