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과 사회변화) 4차 사업혁명과 일자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4차 산업혁명과 사회변화) 4차 사업혁명과 일자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일자리에 관한 긍정적인 전망
(2) 일자리에 관한 부정적인 전망
(3) 4차 산업혁명 시대 직무역량의 변화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니스. 박영사
3. 결론
누구도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일자리의 미래를 예측하기는 어렵다. 각국 정부는 일자리 변화에 더욱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일자리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각종 기술을 융합, 활용해 새로운 일자리를 설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일이다. 그리고 새롭게 만들어진 일자리에 적합한 근로자를 육성하기 위한 교육, 훈련 방안에도 노력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미래 혁신기술에 대한 대응 및 활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교육이 필수적이므로 초·중등 소프트웨어 교육을 의무화, 수준별 프로그래밍 및 코딩 중심의 소프트웨어 교육 체계를 구축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여전히 입시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육과정과 내용을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역량을 갖춘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시스템으로 획기적인 전환을 실행해야 한다. 온라인 수업을 기반의 토론 및 세미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창의성, 융합성, 문제해결력 등의 역량을 길러야 한다. 인공지능 전문가, 빅데이터 분석가 등 고도의 전문성을 갖춘 인력은 대학 및 전문교육기관의 역할이 크기 때문에 고등교육기관에서 미래사회의 산업 수요에 맞는 일자리를 예측해 연구개발, 교육 투자를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 또한, 일자리와 소득 양극화, 정보 격차 등을 대비해 기초지식이 없는 취약계층을 위하여 기초지식을 포함한 재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한다.
참고문헌
박영숙, 제롬 글렌 지음. 이영래 옮김.(2017). 세계미래보고서 2055. 비즈니스북스
배재권(2020).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비즈니스. 박영사
안성원(2017).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이슈와 사례 그리고 우리의 대응.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https://spri.kr/posts/view/21926?code=data_all&study_type=column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7). 10년 후 대한민국, 미래 일자리의 길을 찾다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TRKO201700017389
S&T GPS(2016). 글로벌 기업,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 모색에 분주
https://now.k2base.re.kr/portal/trend/mainTrend/view.do?poliTrndId=TRND0000000000029348&menuNo=200004&pageUnit=10&pageIndex=236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01.30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94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