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일자리에 관한 긍정적인 전망
(2) 일자리에 관한 부정적인 전망
(3) 4차 산업혁명 시대 직무역량의 변화
3. 결론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일자리에 관한 긍정적인 전망
(2) 일자리에 관한 부정적인 전망
(3) 4차 산업혁명 시대 직무역량의 변화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니스. 박영사
3. 결론
누구도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일자리의 미래를 예측하기는 어렵다. 각국 정부는 일자리 변화에 더욱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일자리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각종 기술을 융합, 활용해 새로운 일자리를 설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일이다. 그리고 새롭게 만들어진 일자리에 적합한 근로자를 육성하기 위한 교육, 훈련 방안에도 노력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미래 혁신기술에 대한 대응 및 활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교육이 필수적이므로 초·중등 소프트웨어 교육을 의무화, 수준별 프로그래밍 및 코딩 중심의 소프트웨어 교육 체계를 구축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여전히 입시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육과정과 내용을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역량을 갖춘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시스템으로 획기적인 전환을 실행해야 한다. 온라인 수업을 기반의 토론 및 세미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창의성, 융합성, 문제해결력 등의 역량을 길러야 한다. 인공지능 전문가, 빅데이터 분석가 등 고도의 전문성을 갖춘 인력은 대학 및 전문교육기관의 역할이 크기 때문에 고등교육기관에서 미래사회의 산업 수요에 맞는 일자리를 예측해 연구개발, 교육 투자를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 또한, 일자리와 소득 양극화, 정보 격차 등을 대비해 기초지식이 없는 취약계층을 위하여 기초지식을 포함한 재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한다.
참고문헌
박영숙, 제롬 글렌 지음. 이영래 옮김.(2017). 세계미래보고서 2055. 비즈니스북스
배재권(2020).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비즈니스. 박영사
안성원(2017).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이슈와 사례 그리고 우리의 대응.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https://spri.kr/posts/view/21926?code=data_all&study_type=column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7). 10년 후 대한민국, 미래 일자리의 길을 찾다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TRKO201700017389
S&T GPS(2016). 글로벌 기업,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 모색에 분주
https://now.k2base.re.kr/portal/trend/mainTrend/view.do?poliTrndId=TRND0000000000029348&menuNo=200004&pageUnit=10&pageIndex=236
3. 결론
누구도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일자리의 미래를 예측하기는 어렵다. 각국 정부는 일자리 변화에 더욱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일자리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각종 기술을 융합, 활용해 새로운 일자리를 설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일이다. 그리고 새롭게 만들어진 일자리에 적합한 근로자를 육성하기 위한 교육, 훈련 방안에도 노력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미래 혁신기술에 대한 대응 및 활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교육이 필수적이므로 초·중등 소프트웨어 교육을 의무화, 수준별 프로그래밍 및 코딩 중심의 소프트웨어 교육 체계를 구축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여전히 입시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육과정과 내용을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역량을 갖춘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시스템으로 획기적인 전환을 실행해야 한다. 온라인 수업을 기반의 토론 및 세미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창의성, 융합성, 문제해결력 등의 역량을 길러야 한다. 인공지능 전문가, 빅데이터 분석가 등 고도의 전문성을 갖춘 인력은 대학 및 전문교육기관의 역할이 크기 때문에 고등교육기관에서 미래사회의 산업 수요에 맞는 일자리를 예측해 연구개발, 교육 투자를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 또한, 일자리와 소득 양극화, 정보 격차 등을 대비해 기초지식이 없는 취약계층을 위하여 기초지식을 포함한 재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한다.
참고문헌
박영숙, 제롬 글렌 지음. 이영래 옮김.(2017). 세계미래보고서 2055. 비즈니스북스
배재권(2020).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비즈니스. 박영사
안성원(2017).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이슈와 사례 그리고 우리의 대응.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https://spri.kr/posts/view/21926?code=data_all&study_type=column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7). 10년 후 대한민국, 미래 일자리의 길을 찾다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TRKO201700017389
S&T GPS(2016). 글로벌 기업,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 모색에 분주
https://now.k2base.re.kr/portal/trend/mainTrend/view.do?poliTrndId=TRND0000000000029348&menuNo=200004&pageUnit=10&pageIndex=236
추천자료
[다국적기업론] 4차 산업혁명의 의미를 밝히고 4차 산업혁명이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어떠한...
급식경영학 최근 4차 산업혁명의 기술변화가 외식(급식포함)산업에 주는 영향을 기술하시오 ...
4차산업혁명으로 인한 사회변화 연구및 향후방향제시및 4차산업혁명 특징과 장단점 연구 -4차...
4차산업혁명 으로 인한 미래변화와 대처방안연구 및 4차산업혁명 정의와 특징및 주요기술과 ...
4차산업혁명 활용사례와 4차산업혁명 기술분석 및 4차산업혁명으로 인해 예상되는 사회변화 연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산업 및 직업의 변화
4차산업혁명 기술사례와 순기능과 역기능 연구 및 4차산업혁명이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 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