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고전의이해(기말)) 교육고전의 이해 강의를 듣고 교육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나의 답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쓰세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고전의이해(기말)) 교육고전의 이해 강의를 듣고 교육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나의 답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쓰세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이전의 교육의 개념
2) 이후의 교육 개념_공자의 논어
3) 이후의 교육 개념_루소의 에밀
4) 교육이란 무엇인가의 전반적인 생각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니다. 어떤 경험을 하면서 얻은 교훈도 교육이며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것도 교육이다. 한 분야의 전문가가 타인에게 없는 노하우를 지닌 것은 학교에서 가르친 것이 아니다. 경험에서 얻은 중요한 교훈이자 교육의 여정인 것이다.
인간은 태어난 순간부터 인격을 수양하는 것이 아니다. 배움을 통하여 알아가는 것이다. 교육은 사람이 사람답게 살게 하는 하나의 과정이다. 교육은 더 이상 학교 안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가정에서 사회에서 전반적으로 사람을 통해 경험하면서 배워 가는 것이다.
교과과정에서, 없는 것은 직접 혹은 간 적 체험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사회생활은 사람마다 겪는 양상이 다르기에 참고하면서 내 것으로 만드는 과정도 교육이다.
교육은 학교이며 학교 안에서 배우는 거라는 고정관념으로 박혀 있는 개념은 고전교육의 이해 강의를 통해 새로운 개념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
이전의 교육 개념은 예스럽고 발전이 없이 제자리에 머물고 있었다면, 이후의 교육 개념은 더 폭 넓은 개념으로 달라졌다. 부모로서 교육자로서 사회구성원으로서 교육에 대한 의미를 다양한 경험과 상황을 통해 새롭게 구성하고 만들어 가는 것이 본인이 생각하는 교육의 본질이라 생각한다.
3. 결론
고전교육에 관련된 첫 느낌은 전통성은 있으나 지루하고 꽉 막혀 있는 틀이었다. 현대사회에 적용하기에는 예스럽고 오래된 것이기에 시대적으로 맞지 않으나 참고는 될 수 있다고 여겼던 부분이다. 하지만 진행되는 강의를 듣고 연구하고 공부할수록 이런 본인의 생각은 잘못되었음을 깊이 반성하고 있다. 고전교육에 나온 철학자들은 교육은 무엇인가에 끊임없이 반문하고 논쟁하며 연구하고 깊이 탐구하였다.
탐구의 과정에서 인간에게 가장 적합한 교육 과정을 연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현대 교육의 시점과 학교가 개설되면서 누구나 교육받을 수 있는 권리를 지닐 수 있다. 물론, 철학자의 생애와 어린 시절의 영향이 미치는 것은 있겠으나, 그러한 삶을 통해 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할 수 있었다.
현재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성학십도의 “부지런히 힘써 나의 재능을 다하면 인자의 인을 어기지 않는 마음과” 이 부분이다. 부지런히 나의 재능을 키우고 인을 지킨다면 “덕행이 일상의 윤리를 벗어나지 않는 가운데 천인합일의 오묘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라는 이이의 주장이다. 교육은 부지런한 게 재능을 수련하고 익히며 인을 공부하여 제 것으로 만드는 과정임을 다시 한번 더 새기는 계기가 되었으며, 교육에 대한 새로운 개념과 함께 고정된 것이 아닌 지식을 탐구하는 여정으로 본인도 배움의 여정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교육고전의이해. 조화태, 권영민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발행일 : 2020년 01월 25일
교육과정으로서 고전교육의 재음미, 엄인주/유재봉, 교육철학연구, 2017
특성화고에 미래가 있다 남해정보산업고등학교, 김성찬기자, 경남일보, 2023, 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8349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4.01.30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95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