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오실로스코프 활용 보고서 레포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오실로스코프 활용 보고서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용준비
2. 오실로스코프 측정 케이블
3. 함수발생기 케이블
4. 함수발생기를 이용한 테스트 파형 준비
5. 전면 버튼 및 다이얼 기본 사용법
6. 수직축 Volt/Div 해상도 조정
7. 수평방향 Time/Div 해상도 조정

본문내용

가변전압, 가변주파수가 설정해야 하는데 실수로 위의 TRIG. OUTP. 포트에 출력 케이블을 연결하여 회로에 전압을 공급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함수발생기 진폭 다이얼을 아무리 조정해도 회로에 인가되는 신호의 진폭이 가변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 함수발생기의 TRIG. OUTP 채널에 연결했는지 확인하도록 하자.
전면 버튼 및 다이얼 기본 사용법
함수발생기로부터 생성된 사각파를 오실로스코프로 관찰해보고, 오실로스코프 제어버튼을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파형의 형태를 조절해본다. 아래 그림에 오실로스코프의 전면 패널을 도식화하였다. 숫자로 표시된 것 위주로 항상 주의하면서 오실로스코프를 조심스럽게 설정해보자.
1.그림과 같이 표시된 화살표 아이콘은 현재 측정 프로브의 접지 (GND, 0V) 전압 위치를 표시한다. 이 지점을 기준으로 현재 측정되는 전압의 +/- 크기를 해석할 수 있다.
2.화면 상단에 현재 설정된 Volt/Div, 즉 수직방향으로 한칸 당 전압 크기를 표시한다. 그림에서는 한칸에 1V를 의미한다.
3.현재 설정된 Time/Div, 즉 수평방향 한칸당 시간을 표시한다. 현재 그림에 표시된 수치는 한칸에 1ms를 의미한다.
4.표시의 다이얼을 돌려서 현재 관찰되는 신호의 시간축 위치를 좌우로 조절할 수 있다.
5.다이얼을 돌려서 현재 관찰되는 신호의 수직방향 위치를 위,아래로 조절할 수 있다. 1번에서 표시되는 GND위치도 같이 이동하기 때문에 화면에 표시되는 전압 파형의 위치만 바뀔 뿐이다.
수직축 Volt/Div 해상도 조정
아래 그림은 측정되는 신호를 화면에 파형으로 표시할 때 수직축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순서대로 표시한 것이다. 관찰하고자하는 전압 파형이 너무 작다면 수직축 해상도를 높여서 전압이 더 크게 보이도록 조절한다. 주의할 점은 이렇게 해상도를 높였을 때 실제로 측정된 전압이 커지는 것이 아니라 화면에 표시되는 한칸 당 전압이 작아지므로 실제로 측정되는 전압은 동일한 크기로 측정됨에 주의하자.
1.다이얼을 왼쪽으로 회전 하면 Volt/Div값이 커진다. 이때 현재 입력으로 관찰되는 파형은 수직방향으로 좀 더 축소되어 표시된다. 한칸당 전압이 크므로 화면에 표시되는 파형의 크기가 작아졌지만 실제 파형의 전압이 줄어든 것이 아니므로 주의하자.
2.다이얼을 돌리면 Volt/Div값이 실시간 업데이트 되어서 화면에 표시된다. 왼쪽으로 돌리면 Volt/Div값이 커진다. 그림에서는 2V/Div로 설정되었다. 그림의 파형을 해석해보면 수직방향으로 2.5칸을 차지하므로 2.5칸 x 2V/Div = 5V (진폭)로 해석될 수 있다. 실제로는 입력 파형의 진폭이 작아진 게 아니라 화면상에 표시된 크기만 달라졌을 뿐임에 유의하자.
3.Volt/Div을 조절하다보면 신호가 화면에 표시되는 위치가 아래나 위쪽으로 치우쳐질 수 있다. 이때 수직축 위치 조정 다이얼을 돌려서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GND위치도 같이 움직이므로 신호의 진폭이 바뀐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4.현재 관찰되는 신호의 GND의 위치를 표시한다. 이 지점을 기준으로 Volt/Div 값을 이용하여 신호의 전압 크기를 해석할 수 있다.
3번의 수직축 GND위치 조절 버튼을 이용하여 전압의 GND 지점을 LCD 하면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조절하여 전압 측정치의 마이너스 값도 올바르게 표시되도록 하자. 특히 P1, P2각각의 GND 위치가 같도록 하여 두 개의 입력 신호의 상대적인 전압차를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하자.
수평방향 Time/Div 해상도 조정
위 그림은 신호 파형의 수평축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다. 관찰 하고자 하는 전압 파형이 시간 축으로 너무 촘촘하게 표시될 경우, 즉 관찰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너무 빠를 경우 전압변화를 좀 더 세밀하게 볼 수 있도록 수평축 해상도를 높여보자. 주의할 점은 이렇게 시간 축 해상도를 높였을 때 화면에 표시되는 파형이 가로로 확대되어 표시되며 이때 관찰되는 입력 파형의 주파수가 실제로 느려지는 것이 아니라 한칸당 표시되는 시간이 작아지므로 실제로 측정되는 신호 파형의 주기는 동일하다.
1.표시의 다이얼을 오른쪽으로 회전하면 Time/Div이 작아진다. 현재 그림은 1ms에서 500us로 작아졌다. 한 칸에 더 작은 시간 영역을 표시한다. 따라서 파형의 좁은 시간 영역을 화면에 크게 표시하므로 파형의 Zoom in 효과를 얻게 된다.
2.LCD화면 상단에 현재 선택된 Time/Div값을 보여준다. 1번의 다이얼을 돌릴 때마다 실시간 Time/Div값이 변경되어 표시된다.
3.표시된 다이얼을 조절하여 파형의 수평축 위치를 적절히 이동시킬 수 있다.
1.표시의 다이얼을 왼쪽으로 회전하면 Time/Div 값이 커진다. 현재 그림은 500us에서 1ms로 커진 상태이다. 화면의 Grid 한 칸에 더 긴 시간 영역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파형의 넓은 구간을 작은 영역에 표시하므로 파형의 Zoom out 효과를 얻게 된다.
2.현재 선택된 Time/Div값을 보여준다. 1번의 다이얼을 돌릴 때마다 현재 선택된 Time/Div값이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수직축 해상도의 경우 P1, P2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반면 수평축 해상도는 P1, P2에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시간축 scale은 항상 같이 움직인다. 반면 수직축 해상도는 P1, P2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측정하고자 하는 입력 신호의 진폭 범위를 고려하여 scale에 맞추어 전압을 해석해야 하므로 주의하도록 한다.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전압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고가의 장비이므로 고전압/정전기 등이 장비에 인가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측정되는 예상 값을 먼저 생각해보고 원하는 값이 나오지 않을 경우 계측기가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지 먼저 확인한다. 이후에 회로의 구성이 올바르게 되어 있는지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오동작 원인을 찾도록 주의하자.
원하는 전압이 나오기는 하는데 고정된 전압파형이 아니라 수평방향으로 신호가 흐르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 상단 중간에 Auto Scale 버튼을 한번 눌러준 뒤 원하는 수평, 수직축 scale을 다시 설정하도록 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4.01.31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96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