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 A+] 현대인의체력관리 중간고사 레포트 유산소 운동이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산대학교 A+] 현대인의체력관리 중간고사 레포트 유산소 운동이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였다.
림프구: 운동전2,069.5개/ml a 운동후 2,438.4개/ml (유의한 증가)
호중구: 4,125.6개 a 4,198개 (유의한 차이 없음)
T림프구: 1,235.3개/ml a 7,025개/ml (유의한(p<0.1) 증가)
B림프구: 346.8개/ml a 276.3개/ml (유의한 감소)
NK cell: 308.5개/ml a 389.4개/ml (유의성 없음)
40대
신체적으로 질병이 없는 40대 여성
주별 3회, 1일 운동 시간은 준비운동 5분, 본 운동 50분, 정리운동 5분 총 60분
작각적 운동강도(RPE)가 13~15의 수준인 60%~80% HRmax로 설정(댄스스포츠-유산소운동)
호중구(neutrophil)의 경우는 운동 전-후 집단내 평균치의 변화는 실험군에서 56.80+-6.77 a 49.80+-4.73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01)
통제군은 감소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임파구(lymphocyte)의 경우는 운동 전-후 집단내 평균치의 변화는 실험군이 36.50+-5.66 a 42.50+-8.77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통제군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단핵구(monocyte)의 경우는 운동 전-후 집단내 평균치의 변화는 실험군이 4.90+-2.42 a 5.30+-1.76으로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통제군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호산구(eosinophil)의 경우는 운동 전-후 집단내 평균치의 변화는 실험군이 1.30+-1.25 a 2.10+-1.19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통제군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호염구(basophil)의 경우는 운동 전-후 집단내 평균치의 변화는 실험군이 0.50+-0.52 a 0.30+-0.48로 감소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통제군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10대, 20대, 40대 다양한 연령대의 남녀를 대상으로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이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자료를 통해 알아보았다. 10대의 자료는 중학교 남학생 14명을 대상으로 중간수준 (65% HR max)의 운동강도, 주3회의 운동빈도, 운동기간 8주간의 유산소 운동을 수행하였다. 20대의 자료는 20대 여성 6명을 대상으로 60% 운동강도로 자전거로 주별 3회씩, 30분씩 10주간 실시하였다. 40대의 자료는 40대 중년여성 20명을 대상으로 댄스스포츠 동작을 이용한 운동 프로그램(60%~80% HR max)을 주별 3회, 1일 1시간 12주간 실시하여 실험군과 통제군의 면역기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령대 마다 수행한 운동의 강도는 60%~80% HR max 정도로 비슷하게 진행한 연구를 토대로 분석하여 더 유의미한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통제하였다. 비록 몇몇 예상되었던 백혈구와 그 하위변수 및 보세에서의 수치들의 예상되었던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하지만 면역기능은 실험군에서 임파구, 호산구의 경우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중구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역기능의 지표는 어떤 폭을 가진 기준치 내의 값을 의미하며, 면역기능 지표의 낮은 수치는 면역기능의 저하를 높은 수치는 면역기능의 항진을 각각 나타내는 것으로 이것은 모두 면역기능의 이상상태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결과값의 증감은 면역기능 지표의 정상범위내에서 나타난 현상이므로 면역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야기한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자료들을 종합하면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은 면역기능을 강화함으로써 병원체에 대한 숙주의 저항력을 높이며, 혈청지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효과도 가진다.
따라서, 10대-남, 20대-여, 40대-여를 대상으로 한 규칙적인 유산소성 운동이 면역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질병, 세균 바이러스 등 외부자극에 대한 방어 및 적의의 개념으로 면역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운동의 긍정적 효과를 입증할 수 있다.
참고문헌
전광표, 노병의, “유산소 운동이 남자 중학생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2:2, 2001년, 1-22.
박상규, “규칙적인 운동이 면역반응 및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지, 5:5, 2001년, 15-22.
한상섭,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유산소성 운동이 중년여성의 면역기능과 체력 및 체지방률에 미치는 영향” Vol. 12. No. 5, 2002년, 622 631.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4.02.01
  • 저작시기202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98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