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 험 목 적
2. 실 험 배 경
3. 실 험 방 법 및 장 비
4. 시 험 결 과
5. 결 론 및 고 찰
6. 참 고 문 헌
2. 실 험 배 경
3. 실 험 방 법 및 장 비
4. 시 험 결 과
5. 결 론 및 고 찰
6.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번 비중병 164.2g)
5) 이때 내부 관쪽과 외부에 이물질이 없게 깨끗이 닦아낸 후 무게를 측정한다.
6) 입도가 균질한 건조상태의 모래(15g)를 내부 관에 묻지않도록 깔데기를 사용하여 부어 비 중병에 넣는다. 그 후 증류수를 비중병 2/3 정도 채운다.
7) 알코올 램프로 비중병을 가열하는데 이때 공기가 잘 빠지도록 중간 중간 비중병을 흔들어 준다. 끓기 시작한 후 5분동안 가열한다.
(그림 2)
8) 가열한 비중병을 얼음물을 이용하여 실온이 될 때까지 식힌다.
(그림 3)
9) 각각 비중병에 눈금을 맞춰 증류수를 정확히 채운 후 무게를 측정한다
(1번 비중병 165.46g, 2번 비중병 173.67g)
(그림 3)
10) 증류수의 온도를 측정한 후 비중병에 있던 내용물 전량을 각각 트레이에 담은 후,
(내용물 담기 전 1번 트레이 274.18g , 2번 트레이 271.76g)
(그림 4)
11) 건조로에서 110±5℃로 하루정도 건조 시킨다. (건조 시킨 후 트레이의 중량 1번 트레이 289.6g, 2번 트레이 287.2g)
(그림 5) (그림 6) (그림 7)
4. 실험 결과
(1) 실험을 통해 측정한 체에 남아 있는 흙의 무게, 통과율
단위: mm
단위 : %
체 번호
직경
실험 전
실험 후
체에 남아 있는 흙 무게
체에 남아 있는 흙 무게비
통과율
4
4.75
505.59
505.59
0
0
100
10
2
463.71
463.71
0
0
100
20
0.85
390.31
392.09
1.78
0.591
99.41
40
0.425
385.29
455.88
70.59
23.421
75.99
60
0.25
365.2
402.05
36.85
12.227
63.76
100
0.15
365.96
409.93
43.97
14.589
49.17
200
0.074
365.96
444.18
78.22
25.953
23.22
Pan
228.56
298.54
69.98
23.219
0.00
총 시료 중량
301.39
301.39
100
(2) 입도 분포 곡선
- 엑셀을 활용하여 입도 분포 곡선을 나타냈으며 이때 실험에서 D10의 값은 0.05mm로 임의 설정했으며 , 위 그래프에서 D30의 값은 0.9mm D60의 값은 0.24mm로 측정되었다.
Cu = D60 / D10 이므로 Cu는 4.8 , Cc = (D30)^2 / D60*D10 이므로 67.5 가 나왔다
통일 분류법에 의해 200번채 통과율이 23.22%이고, 4번채의 통과율이 100%이므로
모래 S이며 이때 200번채 통과율이 12% < 23.22% < 50% 이므로 뒷글자는 실트 M이 된다
분류 결과 SM 으로 나온다
5. 결론 및 고찰
비중병+증류수의 무게에서 비중병+증류수+흙 입자의 무게를 뺀 것에 흙 입자의 무게를 더한 것을 물의 단위중량으로 나누어 흙 입자의 부피를 구하고 이것을 통해 흙 입자의 무게를 흙 입자의 부피로 나눈 흙의 단위중량을 구한다. 그렇게 얻은 흙 입자의 단위중량을 물의 단위중량으로 나누어 흙 입자의 비중을 구하였는데, 흙 입자의 비중 은 실험 순서대로 2.48, 2.71이다. 문헌값은 평균적으로 2.6~2.7이므로 첫 번째 실험으로 얻은 비중 2.48은 문헌값보다 작고, 두 번째 실험으로 얻은 비중 2.71은 문헌값보다 미세하게 크다.
비중과 문헌값의 오차의 원인으로는 비중병+증류수+흙 입자의 무게 측정 시, 비중병 외부에 묻어있는 증류수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 것과 가열한 비중병을 식히고 무게를 재는 과정에서 비중병 내의, 입구와 가까운 부분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무게를 잰 것이 있다. 또한 비중병에 증류수를 채우는 과정에서 메니스커스 현상을 고려하여 눈높이에서 기준선에 맞춰 증류수를 채웠지만, 약간의 오차가 있었기 때문에, 증류수를 기준선까지 채우고 무게를 재는 과정 모두에서 무게에 오차가 있었다.
첫 번째 실험에서의 비중이 문헌값보다 눈에 띄게 작은 이유는 흙과 증류수가 들어있는 비중병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두 번째 실험과 다르게 완전히 끓이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렸는데, 이때 물이 두 번째 실험보다 비교적 많이 증발하여 증류수의 무게가 줄어 의 크기가 커졌기 때문이다.
비중을 구하기 전, 흙 입자의 부피는 비중병+증류수의 무게에서 비중병+증류수+흙 입자의 무게를 뺀 것에 흙 입자의 무게를 더한 것을 물의 단위중량으로 나누어 구하는데 무게를 구하는 것과 달리 비중병을 이용하여 흙 입자의 부피를 구하는 과정이 매우 까다로웠다.
6. 참고 문헌
- 자체 강의록
5) 이때 내부 관쪽과 외부에 이물질이 없게 깨끗이 닦아낸 후 무게를 측정한다.
6) 입도가 균질한 건조상태의 모래(15g)를 내부 관에 묻지않도록 깔데기를 사용하여 부어 비 중병에 넣는다. 그 후 증류수를 비중병 2/3 정도 채운다.
7) 알코올 램프로 비중병을 가열하는데 이때 공기가 잘 빠지도록 중간 중간 비중병을 흔들어 준다. 끓기 시작한 후 5분동안 가열한다.
(그림 2)
8) 가열한 비중병을 얼음물을 이용하여 실온이 될 때까지 식힌다.
(그림 3)
9) 각각 비중병에 눈금을 맞춰 증류수를 정확히 채운 후 무게를 측정한다
(1번 비중병 165.46g, 2번 비중병 173.67g)
(그림 3)
10) 증류수의 온도를 측정한 후 비중병에 있던 내용물 전량을 각각 트레이에 담은 후,
(내용물 담기 전 1번 트레이 274.18g , 2번 트레이 271.76g)
(그림 4)
11) 건조로에서 110±5℃로 하루정도 건조 시킨다. (건조 시킨 후 트레이의 중량 1번 트레이 289.6g, 2번 트레이 287.2g)
(그림 5) (그림 6) (그림 7)
4. 실험 결과
(1) 실험을 통해 측정한 체에 남아 있는 흙의 무게, 통과율
단위: mm
단위 : %
체 번호
직경
실험 전
실험 후
체에 남아 있는 흙 무게
체에 남아 있는 흙 무게비
통과율
4
4.75
505.59
505.59
0
0
100
10
2
463.71
463.71
0
0
100
20
0.85
390.31
392.09
1.78
0.591
99.41
40
0.425
385.29
455.88
70.59
23.421
75.99
60
0.25
365.2
402.05
36.85
12.227
63.76
100
0.15
365.96
409.93
43.97
14.589
49.17
200
0.074
365.96
444.18
78.22
25.953
23.22
Pan
228.56
298.54
69.98
23.219
0.00
총 시료 중량
301.39
301.39
100
(2) 입도 분포 곡선
- 엑셀을 활용하여 입도 분포 곡선을 나타냈으며 이때 실험에서 D10의 값은 0.05mm로 임의 설정했으며 , 위 그래프에서 D30의 값은 0.9mm D60의 값은 0.24mm로 측정되었다.
Cu = D60 / D10 이므로 Cu는 4.8 , Cc = (D30)^2 / D60*D10 이므로 67.5 가 나왔다
통일 분류법에 의해 200번채 통과율이 23.22%이고, 4번채의 통과율이 100%이므로
모래 S이며 이때 200번채 통과율이 12% < 23.22% < 50% 이므로 뒷글자는 실트 M이 된다
분류 결과 SM 으로 나온다
5. 결론 및 고찰
비중병+증류수의 무게에서 비중병+증류수+흙 입자의 무게를 뺀 것에 흙 입자의 무게를 더한 것을 물의 단위중량으로 나누어 흙 입자의 부피를 구하고 이것을 통해 흙 입자의 무게를 흙 입자의 부피로 나눈 흙의 단위중량을 구한다. 그렇게 얻은 흙 입자의 단위중량을 물의 단위중량으로 나누어 흙 입자의 비중을 구하였는데, 흙 입자의 비중 은 실험 순서대로 2.48, 2.71이다. 문헌값은 평균적으로 2.6~2.7이므로 첫 번째 실험으로 얻은 비중 2.48은 문헌값보다 작고, 두 번째 실험으로 얻은 비중 2.71은 문헌값보다 미세하게 크다.
비중과 문헌값의 오차의 원인으로는 비중병+증류수+흙 입자의 무게 측정 시, 비중병 외부에 묻어있는 증류수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 것과 가열한 비중병을 식히고 무게를 재는 과정에서 비중병 내의, 입구와 가까운 부분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무게를 잰 것이 있다. 또한 비중병에 증류수를 채우는 과정에서 메니스커스 현상을 고려하여 눈높이에서 기준선에 맞춰 증류수를 채웠지만, 약간의 오차가 있었기 때문에, 증류수를 기준선까지 채우고 무게를 재는 과정 모두에서 무게에 오차가 있었다.
첫 번째 실험에서의 비중이 문헌값보다 눈에 띄게 작은 이유는 흙과 증류수가 들어있는 비중병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두 번째 실험과 다르게 완전히 끓이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렸는데, 이때 물이 두 번째 실험보다 비교적 많이 증발하여 증류수의 무게가 줄어 의 크기가 커졌기 때문이다.
비중을 구하기 전, 흙 입자의 부피는 비중병+증류수의 무게에서 비중병+증류수+흙 입자의 무게를 뺀 것에 흙 입자의 무게를 더한 것을 물의 단위중량으로 나누어 구하는데 무게를 구하는 것과 달리 비중병을 이용하여 흙 입자의 부피를 구하는 과정이 매우 까다로웠다.
6. 참고 문헌
- 자체 강의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