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측정값 및 분석
[2] 결과 및 토의
[2] 결과 및 토의
본문내용
다. 실험 1의 값을 대입하면 =이고 최대변화율을 구하기 위해 을 대입하면 -5.3(°C/s) 이다. 실험 1에서의 최대변화율은 -4.3(°C/s)로 -1 (°C/s)의 차이를 보인다. 실험 2의 값을 대입하면 =. 위의 방식처럼 을 대입 후 최대변화율을 구하면 0.0799130435 (°C/s)이다. 실험 2에서의 최대변화율은 -0.1(°C/s)이므로 0.66344008698(°C/s)만큼의 차이를 보인다.실험 3의 값을 대입하면 이고 마찬가지로 을 대입하면 -0.2811428571(°C/s)이다. 실험 3에서의 최대변화율은 -0.3(°C/s) 이므로 0.0188571429(°C/s) 만큼의 차이를 보인다.
2. 실험과정 및 결과에 대한 토의 (고찰)
실험 1은 컴퓨터와 연결된 온도센서를 체온으로 30이상 상승시킨 뒤 물 속에 넣고 저어 평형상태로 도달할 때까지 냉각시키는 실험이었다. 질문에 대한 답을 쓰는 과정에서 실험 1에서의 시간상수 2.1(s) 을 구하고 5% 이내로 들어오는 값 6.5(s)도 구해보면서 책에 있는 식에서 얻은 값, 즉 t = 3r일때는 6.3(s) 우리 조에서의 측정값 6.5(s)을 비교해보면서 0.2(s)의 차이를 발견했다. 책에 있는 식 이 반감기 식에서 유도된 식이라 실험값과 차이가 0.2(s)보다는 크게 나올 거라 생각했지만 생각과는 다른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 2은 실험 1처럼 컴퓨터와 연결된 온도센서를 체온으로 30이상 상승시키고 공공기를 이용해 평형상태로 도달할 때까지 냉각시키는 실험이었다. 실험 2에서 환산시간을 측정할 때 물과 부채질이 아닌 내부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시키기 때문에 거의 2분에 가까운 시간상수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 3은 실험 1, 2처럼 컴퓨터와 연결된 온도센서를 체온으로 30이상 상승시키고 평형상태로 도달할 때까지 부채질을 이용해 강제로 냉각시키는 실험이었다. 실험 3은 실험 2와는 다르게 부채질을 해서 강제 냉각시켰기 때문에 실험 2보다는 시간상수가 작게 나올 거라 예상했다. 조원끼리 번갈아 가면서 부채질을 했는데 약 80(s)라는 1분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조원끼리 차례를 바꾸는 사이에는 부채질이 없었기 때문에 1분이 넘는 차이를 보였지만 바꾸지 않고 혼자서 끝까지 부채질을 한다면 바꾸면서 생긴 틈을 채우면서 실험 3의 시간상수도 작아지고 2분에 가깝거나 넘는 차이를 얻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실험 4는 알코올 온도계를 체온으로 30이상이나 상승시킨 뒤 공기를 이용해 평형상태로 도달할 때까지 냉각시키고 평형상태로 도달할 때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하는 실험이었다. 실험 2에서 시간상수 115(s)를 얻어냈는데 실험 4에서는 실험 2처럼 자연냉각이라서 그런지 103.77(s)라는 비슷한 수치를 구했다.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 컴퓨터 온도계가 알코올 온도계보다 낮은 온도를 보였고 두 온도계의 차이가 1도 넘게 차이 났는데 기계가 아닌 사람이 직접 눈으로 눈금을 읽고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 측정값이 다르게 나올 수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온 것 같다.
2. 실험과정 및 결과에 대한 토의 (고찰)
실험 1은 컴퓨터와 연결된 온도센서를 체온으로 30이상 상승시킨 뒤 물 속에 넣고 저어 평형상태로 도달할 때까지 냉각시키는 실험이었다. 질문에 대한 답을 쓰는 과정에서 실험 1에서의 시간상수 2.1(s) 을 구하고 5% 이내로 들어오는 값 6.5(s)도 구해보면서 책에 있는 식에서 얻은 값, 즉 t = 3r일때는 6.3(s) 우리 조에서의 측정값 6.5(s)을 비교해보면서 0.2(s)의 차이를 발견했다. 책에 있는 식 이 반감기 식에서 유도된 식이라 실험값과 차이가 0.2(s)보다는 크게 나올 거라 생각했지만 생각과는 다른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 2은 실험 1처럼 컴퓨터와 연결된 온도센서를 체온으로 30이상 상승시키고 공공기를 이용해 평형상태로 도달할 때까지 냉각시키는 실험이었다. 실험 2에서 환산시간을 측정할 때 물과 부채질이 아닌 내부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시키기 때문에 거의 2분에 가까운 시간상수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 3은 실험 1, 2처럼 컴퓨터와 연결된 온도센서를 체온으로 30이상 상승시키고 평형상태로 도달할 때까지 부채질을 이용해 강제로 냉각시키는 실험이었다. 실험 3은 실험 2와는 다르게 부채질을 해서 강제 냉각시켰기 때문에 실험 2보다는 시간상수가 작게 나올 거라 예상했다. 조원끼리 번갈아 가면서 부채질을 했는데 약 80(s)라는 1분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조원끼리 차례를 바꾸는 사이에는 부채질이 없었기 때문에 1분이 넘는 차이를 보였지만 바꾸지 않고 혼자서 끝까지 부채질을 한다면 바꾸면서 생긴 틈을 채우면서 실험 3의 시간상수도 작아지고 2분에 가깝거나 넘는 차이를 얻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실험 4는 알코올 온도계를 체온으로 30이상이나 상승시킨 뒤 공기를 이용해 평형상태로 도달할 때까지 냉각시키고 평형상태로 도달할 때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하는 실험이었다. 실험 2에서 시간상수 115(s)를 얻어냈는데 실험 4에서는 실험 2처럼 자연냉각이라서 그런지 103.77(s)라는 비슷한 수치를 구했다.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 컴퓨터 온도계가 알코올 온도계보다 낮은 온도를 보였고 두 온도계의 차이가 1도 넘게 차이 났는데 기계가 아닌 사람이 직접 눈으로 눈금을 읽고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 측정값이 다르게 나올 수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온 것 같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