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저자 소개
2. 중요 내용 정리
1) 주식시장에 중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
2) 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3) 투자자의 10가지 금기사항
3. 느낀 점
2. 중요 내용 정리
1) 주식시장에 중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
2) 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3) 투자자의 10가지 금기사항
3. 느낀 점
본문내용
초과한다면 이자를 올려야 한다. 반대로 국가나 기업이 신규 자본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 장기 금리는 내려간다.-147pg.
돈에 영향을 끼치는 또 다른 요소는 두 나라 통화 사이의 이자 차익거래이다. 한 국가의 이자가 특히 낮고 다른 나라의 이자가 높다면, 한쪽 화폐로 돈을 빌려서 다른 나라에 예금하거나 투자함으로써 손쉽게 돈을 벌 수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이런 현상은 엔화와 달러화 사이에서 빈번하게 일어났다. 대형 투자자와 거의 모든 헤지펀드가 싼 엔화를 빌려서 수십억 대의 달러 채권을 샀던 것이다.-150pg.
투자자가 대중심리로부터 벗어나 하강운동의 과장국면에서 매수했다고 하면, 그는 그 이후에 주가가 떨어져도 주식을 계속 소유할 수 있는 강한 주관을 가져야 한다. 여기서 손실이 과중하게 되면 스스로 너무 당황해 정신을 못 차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고비를 넘고 시장이 다시 상승운동을 시작하더라도 강세장이 진행되는 사이사이에 하락을 경험하게 된다. 만약 이 전개 과정을 이해하지 못하면 상황을 새로 검토해야 한다. 진단 결과 이것이 잠깐 지나가는 흐름이라는 결론이 나오면
투자자는 귀를 쫑긋 세우고 확실하게 그 자리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
아무리 중차대한 사건이라도 일단 터지고 나면 과거지사가 되며, 증권시장에는 더 이상 의미 없는 일이 되고 만다. 그러나 미래에 영향을 미치는 소식도 있다. 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예견했든 아니든 모두 중요하다. 물론,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린 후에 전형적인 페따 꼼쁠리 반응이 나타날 수도 있다. 실제로 그런 일이 종종 일어나기도 한다. 만약 경제지수를 보고
금리가 상승랄 것이라고 모두들 생각한다면 주가도 우선 상승할 것이다. 대중이 더 이상 금리 상승이 없을 거라고 생각할 때는 특히 더 그렇다. 금리 상승은 장래의 통화량, 즉 그토록 중요한 요소인 돈에 영향을 준다. 많은 주식투자자들은 금리상승이 곧 주가 하락을 뜻하는 것이라는 잘못된 생각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높은 금리와 그에 따른 자금 부족 현상은 증권시장이 그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든 부정적으로 반응하든 상관없이 나타나는 냉엄한 현실이다.-243pg.
투자자는 성장 산업을 대중보다 먼저 알아내야 한다. 그래야만 적정한 가격에 탑승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자신이 선택한 종목이 거래소에서 일단 성장 계열군으로 인정받게 되면, 투자자는 10배, 때로는 100배의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
과거의 역사가 이것을 증명하지 않았는가?-264pg.
투자 컨설턴트들은 실적을 올려야만 돈을 벌 수 있는데, 이것이 결국 고객에게 부담이 된다. 그들의 입장에서는 가능하면 고객들이 더 많이 사고팔기를 원한다. 모든 사고파는 행위에 붙는 수수료가 바로 그들의 수입이기 때문이다. 만약 이런 사고파는 행위가 없으면 그들의 수입도 없다. 독일에서는 이에 대한 문제가 불거지는 것을 막기 위해 투자 컨설턴트들이 일정한 월급을 받고 있다. 그래도 승진하려면 실적을 늘려야 하기 때문에 간접적으로는 미국 투자 컨설턴트들과 같은 갈등을 느낀다.-283pg.
돈에 영향을 끼치는 또 다른 요소는 두 나라 통화 사이의 이자 차익거래이다. 한 국가의 이자가 특히 낮고 다른 나라의 이자가 높다면, 한쪽 화폐로 돈을 빌려서 다른 나라에 예금하거나 투자함으로써 손쉽게 돈을 벌 수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이런 현상은 엔화와 달러화 사이에서 빈번하게 일어났다. 대형 투자자와 거의 모든 헤지펀드가 싼 엔화를 빌려서 수십억 대의 달러 채권을 샀던 것이다.-150pg.
투자자가 대중심리로부터 벗어나 하강운동의 과장국면에서 매수했다고 하면, 그는 그 이후에 주가가 떨어져도 주식을 계속 소유할 수 있는 강한 주관을 가져야 한다. 여기서 손실이 과중하게 되면 스스로 너무 당황해 정신을 못 차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고비를 넘고 시장이 다시 상승운동을 시작하더라도 강세장이 진행되는 사이사이에 하락을 경험하게 된다. 만약 이 전개 과정을 이해하지 못하면 상황을 새로 검토해야 한다. 진단 결과 이것이 잠깐 지나가는 흐름이라는 결론이 나오면
투자자는 귀를 쫑긋 세우고 확실하게 그 자리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
아무리 중차대한 사건이라도 일단 터지고 나면 과거지사가 되며, 증권시장에는 더 이상 의미 없는 일이 되고 만다. 그러나 미래에 영향을 미치는 소식도 있다. 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예견했든 아니든 모두 중요하다. 물론,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린 후에 전형적인 페따 꼼쁠리 반응이 나타날 수도 있다. 실제로 그런 일이 종종 일어나기도 한다. 만약 경제지수를 보고
금리가 상승랄 것이라고 모두들 생각한다면 주가도 우선 상승할 것이다. 대중이 더 이상 금리 상승이 없을 거라고 생각할 때는 특히 더 그렇다. 금리 상승은 장래의 통화량, 즉 그토록 중요한 요소인 돈에 영향을 준다. 많은 주식투자자들은 금리상승이 곧 주가 하락을 뜻하는 것이라는 잘못된 생각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높은 금리와 그에 따른 자금 부족 현상은 증권시장이 그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든 부정적으로 반응하든 상관없이 나타나는 냉엄한 현실이다.-243pg.
투자자는 성장 산업을 대중보다 먼저 알아내야 한다. 그래야만 적정한 가격에 탑승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자신이 선택한 종목이 거래소에서 일단 성장 계열군으로 인정받게 되면, 투자자는 10배, 때로는 100배의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
과거의 역사가 이것을 증명하지 않았는가?-264pg.
투자 컨설턴트들은 실적을 올려야만 돈을 벌 수 있는데, 이것이 결국 고객에게 부담이 된다. 그들의 입장에서는 가능하면 고객들이 더 많이 사고팔기를 원한다. 모든 사고파는 행위에 붙는 수수료가 바로 그들의 수입이기 때문이다. 만약 이런 사고파는 행위가 없으면 그들의 수입도 없다. 독일에서는 이에 대한 문제가 불거지는 것을 막기 위해 투자 컨설턴트들이 일정한 월급을 받고 있다. 그래도 승진하려면 실적을 늘려야 하기 때문에 간접적으로는 미국 투자 컨설턴트들과 같은 갈등을 느낀다.-283pg.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