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정신간호학] 주요우울장애 케이스스터디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과/정신간호학] 주요우울장애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 사례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기술
Ⅱ. 문헌고찰 : 질병에 대한 학습
Ⅲ. 본론 : 정신간호과정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단기목표: 부분적 달성
1번은 벡 불안척도 측정했으나 점수가 20점(중등도불안)으로 나와 미달성 되었다. 2번은 치료적 의사소통을 수행했으나 여전히 우울삽화에 빠져 죄책감, 무가치감을 표현해 미달성 되었다. 3번은 대상자가 약물을 숨기지 않고 올바르게 복용하여 달성되었다.
장기목표: 미달성
2주일 동안 대상자는 수면제, 항우울제를 꾸준히 복용했으나 여전히 수면부족, 초조함, 피로를 호소하며 프로그램에 나가지 않았다. 따라서 장기목표는 미달성 되었다.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간호
사정
“자식들 볼 면목이 없어”
“살아갈 이유가 없어요”
“저는 쓸모없는 사람이에요”
-밤에 침대에서 뒤척이며 찌푸리는 모습 관찰됨.
-가슴이 답답해 죽을 것 같다며 우는 모습 관찰됨
-손을 떠는 등 초조한 모습이 보임
-아침에 하품을 하는 모습 관찰됨.
간호
진단
(진술문)
우울성 반추로 나타나는 불안장애와 관련된 수면장애
(수면을 취할 때 수면의 양과 질에 있어 방해를 받아 그 기능이 손상되는 것)
장기
목표
2주일 내로 대상자는 잠자리에서 30분 안에 잠들어 숙면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단기
목표
1. 1주일 내 대상자는 취침시간에 불안감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2. 1주일 내 대상자는 낮잠을 자지 않을 것이다.
3. 1주일 내 대상자가 처방된 약물을 올바르게 복용한다.
간호
중재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수면 방해요인을 사정하고 적절한 환경을 제공한다.
2. 수면장애와 낮잠의 영향을 교육한 뒤, 취하지 않도록 지시한다.
3. 평소에 대상자가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하며, 취침 전에는 자극을 최소화한다.
4. 약물을 올바른 방법으로 복용하는지 확인한다.
.
1. 대상자의 방에 불을 끄고 커튼을 치되, 요구대로 간호사실이 보이도록 문을 열어두었다.
2. 낮잠에 대한 교육을 하였으나, 1주동안 5회 지시를 무시하고 낮잠을 잤다.
3. 반영, 해석 등 치료적 의사소통을 하며 대상자가 감정을 표현하도록 유도하였고, 취침 2시간 전에는 소통을 최소화하여 자극받지 않도록 했다.
4. 취침 30분 전 대상자가 졸민정 0.25mg을 숨기지 않고 제대로 복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1. 수면 방해요인을 사정하고 적절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서 수면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다.
2. 낮잠을 잘 경우 야간에 잠들기 힘들며, 부적절한 생활습관으로 정착될 수 있다.
3. 대상자는 감정을 표현함으로서 억압된 감정, 불안 등을 해소할 수 있다.
4. 약물복용 확인을 통해 대상자의 이해와 복용여부를 확인가능하며, 올바른 약효를 기대할 수 있다.
간호
평가
단기목표 - 부분적 달성
대상자는 1주일 동안 5회 낮잠을 잤으며, 이 5일 동안은 불면증으로 인해 야간에 배회하거나 울먹이는 등 불안감을 호소하였다. 1번,2번의 단기목표는 따라서 미달성 되었다. 3번은 대상자가 제공된 수면진정제를 올바르게 복용하는 것이 확인되어 달성이 되었다.
장기목표 - 미달성
대상자는 2주일 동안 30분 안에 잠들기도 하였으나 계속 도중에 깨고 수면부족, 피로감을 느끼는 등 숙면을 취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장기목표는 미달성되었다.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간호
사정
“복도를 걸으면 무슨 소용이 있어요”
“밥이 돌맹이 같아서 못먹겠어요”
“저는 쓸모없는 사람이에요”
“내버려두세요”
- 밥을 제대로 못먹는 모습 관찰됨.
- 제대로 씻지 못하는 모습 관찰됨
- 하루종일 무기력하게 침대에 누워있으며 활동하지 않는 모습이 관찰됨.
간호
진단
(진술문)
에너지 감소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식사, 목욕, 위생, 의복착용, 몸치장, 용변 등의 활동을 스스로 수행할 수 없는 상태)
장기
목표
2주 내로 대상자는 스스로 위생관리와 식사를 할 수 있다.
단기
목표
1. 1주 내로 대상자는 위생, 목욕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다.
2. 1주 내로 대상자는 음식을 남기지 않고 식사를 한다.
간호
중재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자가간호 능력 수준을 사정한다.
2. 환자 능력에 맞게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격려한다.
3. 음식과 수분 섭취를 교육하고 격려한다.
4. 영양가 높은 스낵과 음료를 제공한다.
1. 대상자는 스스로 목욕하거나 손을씻지 않고 음식도 한숱갈만 먹고 남기는 모습을 보였다.
2. 대상자가 편안한 선에서 일단 식사부터 할 수 있도록 교육 및 격려하였다.
3. 대상자가 하루 1.5리터 물을 마시며 2끼 이상은 먹도록 교육하였고 올바르게 수행했다.
4. 대상자가 기호에 맞는 스낵과 음료를 다 섭취하였다.
1. 대상자의 위생, 식사 등의 상태를 확인함으로서 능력 수준을 점검하고 지도할 수 있다.
2. 환자의 안위 및 안정이 최우선이며 점진적인 자가간호 능력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3. 음식과 수분섭취를 격려함으로서 식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4. 영양 높은 스낵과 음료를 제공해 영양불충분을 방지할 수 있다.
간호
평가
단기목표 - 달성
단기목표 수행결과 대상자는 1주내로 손위생, 목욕을 수행하고 음식도 남기지 않고 다 먹었다. 따라서 단기목표는 달성되었다,
장기목표 - 달성
장기목표 수행결과 대상자는 손위생, 목욕 이외에도 몸치장을 하기 시작했고 식사에도 지속적으로 잘 참여하였다. 따럿 장기목표는 달성되었다.
Ⅳ. 결론 : 사례연구에 대한 종합평가 기술 사례연구를 통하여 본인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함
우울증은 현대에서 다빈도로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빠른 발견과 생활습관 개선, 약물치료 등으로 좋은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현대에서 다빈도 질환으로 주목받고 있는 만큼 우울증을 비롯한 여러 정신질환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공부하며 케이스스터디를 해야할 것이다.
Ⅴ. 참고문헌 : 인터넷에서 찾은 것은 지양하며 교과서, 참고도서, 논문등을 활용하도록 함.
<참고문헌>
>서적
1. 유숙자 외 저, 『정신간호총론』(8th ed.), 수문사(2020), P. 255~267
2. Mary C. townsend 외 저, 김성재 외 편, 『정신건강간호학』(9th ed.), 학지사메디컬(2019). P. 557~594
3. 만성길 저, 『최신정신의학』(6th ed.), 일조각(2015), P. 321~343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24.02.05
  • 저작시기2023.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04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