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모아간호학) 1중환아에게 적절한 양의 수액을 주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위험모아간호학) 1중환아에게 적절한 양의 수액을 주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기형아검사, 양수검사, 정밀초음파 검사, 임신성 당뇨검사 등의 산전 검사를 통해 태아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혈액검사에는 일반혈액검사와 간염, 매독, HIV, 풍진항체 검사, 소변검사 등이 포함되며, 태아 목덜미투명대 검사는 태아의 목 뒷부분, 피부 아래 투명대의 두께를 측정한다. 태아 목덜미투명대는 태아의 목덜미 뒤쪽에 체액 성분이 고여있는 공간으로, 정상 범위 이상으로 증가된 태아 목덜미 투명대는 다운증후군 등의 염색체 이상 질환이나 선천성 기형 빈도와 관련이 있다. Niocolaides 의 연구에 따르자면, 이 두께가 3mm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 태아 홀배수체 위험이 높다고 한다. (1992) 태아 목덜미 투명대 검사는 단독으로 5% 선별검사 양성률 (screen positive rate)에서 다운 증후군의 진단율이 약 50~75%에 달한다. 임신 제1삼분기 모체 혈청 표지자와 함께 복합선별검사 (combined screening test)로 사용하면 다운 증후군의 진단율을 약 80~90% (5% 위양성률)로 높일 수 있다.
태아목덜미투명대의 검사자는 정확한 측정 방법을 숙지하여야 한다. 만일 태아목덜미 측정 방법이 올바르지 않으면 태아 이상을 놓치거나 (위음성) 불필요한 침습검사를 해야 하는 경우 (위양성)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측정 밀림자 (Caliper)의 위치는 0.1mm 간격으로 측정되기 때문에 작은 오차에도 매우 민감하게 결과가 바뀔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 혈당 측정 : 임신성 당뇨병 임산부는 매 식후 2시간 후, 취침 전 혈당을 측정한다. 간호사는 임산부의 공복혈당, 식후혈당, 기저혈당 등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혈당 수치가 높을 경우, 식사 조절, 운동, 인슐린 치료 등을 통해 조절한다. 또한 임산부를 대상으로 혈당 측정 방법, 식사 기록 방법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
- 운동 : 임신성 당뇨병 임산부는 하루 30분 이상 가벼운 운동을 통해 혈당을 낮추고, 태아의 건강을 증진시켜야 한다.
- 약물 치료 : 식이요법과 운동만으로 혈당을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 인슐린 주사 등의 약물 치료도 필요하다.
- 교육 및 상담 : 임신성 당뇨병 임산부는 혈당 관리 방법, 식단, 운동, 태아의 건강 관리 등에 대한 교육을 받을 필요가 있다. 간호사는 임산부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림, 자료 등을 활용하여 교육을 제공해야 하며, 임산부의 궁금증을 해소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상담을 병행한다.
[출처 및 참고문헌]
* 고위험모아간호학. 이상미, 김혜원 지음. 출판문화원. 2015
* 이상봉. (2020). Master KMLE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 바른의학연구소
* 홍성정, 이성희, 김화선. (2011). 간호중재분류 (NIC)에 근거한 부인과 간호단위의 간호중재 분석,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7권, 제3호, 275-284
* 최석주, (2010) 태아 목덜미 투명대의 임상적 적용,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Vol. 53 No. 1 J
  • 가격3,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4.02.05
  • 저작시기202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04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