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Ⅰ. 서 론
Ⅱ. 본 론
1, 바이러스의 정의와 특성
1)바이러스의 발견
2)바이러스의 특징
3)바이러스 복제의 순환 과정
2, 코로나 바이러스의 (Cov)정의
1) 코로나 바이러스의 명명
2) 코로나 바이러스의 크기
3) 분 류
4) 발견 연도별 인간 코로나 바이러스와 명명
3, 코로나 바이러스의 특징
1)사스코로나 바이러스
2) 메르스의 발현
3) 사스와 메르스의 차이점
4,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 – 19)
5, 사스, 메르스, 코로나 – 19 비교표
6, 사망자 및 위 중증 환자의 현황(2020.10.7.)
7, 사스, 메르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형태
Ⅲ, 결 론
Ⅳ, 의견 및 고찰
Ⅴ. 참고 문헌
Ⅰ. 서 론
Ⅱ. 본 론
1, 바이러스의 정의와 특성
1)바이러스의 발견
2)바이러스의 특징
3)바이러스 복제의 순환 과정
2, 코로나 바이러스의 (Cov)정의
1) 코로나 바이러스의 명명
2) 코로나 바이러스의 크기
3) 분 류
4) 발견 연도별 인간 코로나 바이러스와 명명
3, 코로나 바이러스의 특징
1)사스코로나 바이러스
2) 메르스의 발현
3) 사스와 메르스의 차이점
4,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 – 19)
5, 사스, 메르스, 코로나 – 19 비교표
6, 사망자 및 위 중증 환자의 현황(2020.10.7.)
7, 사스, 메르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형태
Ⅲ, 결 론
Ⅳ, 의견 및 고찰
Ⅴ.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인류는 끊임없는 전쟁과 자연재해 그리고 보이지 않는 세균과 바이러스 등 여러 가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질병과 싸워왔다. 과학과 산업이 발전하고 인류의 과학적 기반을 둔 기술의 진보로 인하여 의학과 생물,화학,물리,우주,통신,사회전반에 걸쳐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어 현재에 이른 것은 우리가 누리는 혜택이며 우리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고 수명과 많은 편리함으로 긍정적인 부분이 있는 반면 그로 인한 여러 가지 부작용과 이러한 것들의 과용으로 인하여 강력한 자연재해와 새로운 종류의 다양한 질병의 원인과 질병이 나타나고 있다,
14세기 인류역사상 가장 사상자를 많이 발생시키고 유럽의 인구를 3/1이상이 줄게 만들었던 흑사병은 17세기가 되어서야 14세기 이전의 인구를 회복할 수 있었을 정도로 엄청난 전염병이었다. 이후 1918년 스페인독감이라는 인플루엔자 로 인하여 전세계인구중 2500만 명 에서 5000만 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이후 1976년에 수단 서부에서 대거 발병한 에볼라 바이러스는 최고 90%의 치사율을 나타내며 AIDS보다 무서운 병으로 사람들을 공포에 떨게 하였다. 그러나 에볼라 바이러스는 아직까지 추측만 할 뿐 정확한 발병원인인 자연 숙주를 찾지 못했으며 아프리카에 서식하고 있는 고릴라, 박쥐에 기원설이 있다는 말도 나오지만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증명이 되지 않았다.
그 후 후천성 면역결핍증인 AIDS와 고병원성 조류독감,21세기에 중동지역에서 발현된 중증급성 호흡기 질환인 메르스는 중동지역에서만 4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근대의 발현된 바이러스 질환이다 이밖에도 아직까지도 숙주인 모기로 인한 말라리아나 일본 뇌염 등 인류를 끝없이 위협한 질병에 과학의 발전과 의학의 진보는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류가 우주를 여행하고 AI의 발달로 사람의 두뇌보다 발달한 기계인간인 로봇의 개발과 인간의 장기를 복제하고 동물복제까지 성공한 시대이지만 아직까지도 암의 원인을 정확하게 찾지 못하고, 감기바이러스에 대한 정확한 원인 해명을 못하고 백신개발이나 치료제가 나와 사람들에게 투여 하지만 계속해서 감기와 원인모를 강력한 질환들은 계속 증가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과제에서는 불과 1년도 안된 사이에 수백만 명 이상이 감염되고 세계 각국이 아직까지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팬데믹 시대의 원인을 제공한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여러 가지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 론
1, 바이러스의 정의와 특성
1) 바이러스의 발견 : 1879년 독일의 화학자 아돌프 마이어(Adolf E. Mayer, 1843~1942)는 담배 잎에 흰 점들이 생기는 병증을 알아내기 위해 연구하던 중 이 병명을 '담배모자이크 병이 수액에서 시작 되었다는 것을 알아냈지만 구체적으로 수액 중에 어떤 성분이 병을 일으키는지 찾아내지는 못했다.
그 후 1892년, 러시아의 식물학자 드미트리 이바노프스키(Dmitri I. Ivanovsky, 1864~1920) 는 담배모자이크병의 원인은 세균이 아니라 액체 형태의 독성 물질일 것이라 추측하고 이에 바이러스(virus)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고대 라틴어로 바이러스란 '독'이라는 뜻이다. 1898년 네덜란드의 미생물학자 마르티누스 베이예린크(Martinus W. Beijerinck, 1851~1931)담배모자이크병을 일으키는 수액에서 균이 살아 있는 세포에서만 증식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2) 바이러스의 특징 : 바이러스는 생물과 무생물의 특징을 모두 갖춘 개체로, 기본적으로 단백질로 구성된 외피 안에 유전물질인 핵산(DNA 혹은 RNA)이 든 단순한 구조다. 단독으로 는 생명 활동을 수행하지 못하나, 숙주가 되는 세포에 유입하면 숙주세포의 생명 활동 과 정에 기생해 유전물질과 단백질 외피를 복제해 개체수를 증식시킨다. 바이러스의 생활사를 간단히 정리해 보면, 그림과 같다.
3)바이러스 복제의 순환 과정
단백질 결정 형태로 존재하던 바이러스들이 숙주세포를 만나면 숙주세포의 세포막과 결합한 뒤, 내부로 유입된다. 숙주세포 안으로 들어간 바이러스는 단백질 외피를 벗어버리고 숙 주세포의 유전물질 복제 기능과 단백질 생성 기능을 이용해 자신의 유전물질과 단백질 외 피를 잔뜩 만들어낸 뒤, 이들을 다시 조립해 자신과 닮은 바이러스 세포들을 증식시킨다.
2,코로나 바이러스의 (Cov)정의
1) 코로나 바이러스의 명명 : Coronavirus(코로나바이러스)는 외막이 둘러쌓여 있는 RNA 게놈 을 가진 바이러스로서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 조류사이에서 발견되는 바이러스이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발견된 것은 1930년대 초기 전염성 기관지염이 걸린 닭등의 조류나 전염성이 있는 돼지의 위에서 발견되었다고 보고된 바가 있다.(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미생물학) 전자현미경을 통해 바이러
인류는 끊임없는 전쟁과 자연재해 그리고 보이지 않는 세균과 바이러스 등 여러 가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질병과 싸워왔다. 과학과 산업이 발전하고 인류의 과학적 기반을 둔 기술의 진보로 인하여 의학과 생물,화학,물리,우주,통신,사회전반에 걸쳐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어 현재에 이른 것은 우리가 누리는 혜택이며 우리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고 수명과 많은 편리함으로 긍정적인 부분이 있는 반면 그로 인한 여러 가지 부작용과 이러한 것들의 과용으로 인하여 강력한 자연재해와 새로운 종류의 다양한 질병의 원인과 질병이 나타나고 있다,
14세기 인류역사상 가장 사상자를 많이 발생시키고 유럽의 인구를 3/1이상이 줄게 만들었던 흑사병은 17세기가 되어서야 14세기 이전의 인구를 회복할 수 있었을 정도로 엄청난 전염병이었다. 이후 1918년 스페인독감이라는 인플루엔자 로 인하여 전세계인구중 2500만 명 에서 5000만 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이후 1976년에 수단 서부에서 대거 발병한 에볼라 바이러스는 최고 90%의 치사율을 나타내며 AIDS보다 무서운 병으로 사람들을 공포에 떨게 하였다. 그러나 에볼라 바이러스는 아직까지 추측만 할 뿐 정확한 발병원인인 자연 숙주를 찾지 못했으며 아프리카에 서식하고 있는 고릴라, 박쥐에 기원설이 있다는 말도 나오지만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증명이 되지 않았다.
그 후 후천성 면역결핍증인 AIDS와 고병원성 조류독감,21세기에 중동지역에서 발현된 중증급성 호흡기 질환인 메르스는 중동지역에서만 4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근대의 발현된 바이러스 질환이다 이밖에도 아직까지도 숙주인 모기로 인한 말라리아나 일본 뇌염 등 인류를 끝없이 위협한 질병에 과학의 발전과 의학의 진보는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류가 우주를 여행하고 AI의 발달로 사람의 두뇌보다 발달한 기계인간인 로봇의 개발과 인간의 장기를 복제하고 동물복제까지 성공한 시대이지만 아직까지도 암의 원인을 정확하게 찾지 못하고, 감기바이러스에 대한 정확한 원인 해명을 못하고 백신개발이나 치료제가 나와 사람들에게 투여 하지만 계속해서 감기와 원인모를 강력한 질환들은 계속 증가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과제에서는 불과 1년도 안된 사이에 수백만 명 이상이 감염되고 세계 각국이 아직까지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팬데믹 시대의 원인을 제공한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여러 가지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 론
1, 바이러스의 정의와 특성
1) 바이러스의 발견 : 1879년 독일의 화학자 아돌프 마이어(Adolf E. Mayer, 1843~1942)는 담배 잎에 흰 점들이 생기는 병증을 알아내기 위해 연구하던 중 이 병명을 '담배모자이크 병이 수액에서 시작 되었다는 것을 알아냈지만 구체적으로 수액 중에 어떤 성분이 병을 일으키는지 찾아내지는 못했다.
그 후 1892년, 러시아의 식물학자 드미트리 이바노프스키(Dmitri I. Ivanovsky, 1864~1920) 는 담배모자이크병의 원인은 세균이 아니라 액체 형태의 독성 물질일 것이라 추측하고 이에 바이러스(virus)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고대 라틴어로 바이러스란 '독'이라는 뜻이다. 1898년 네덜란드의 미생물학자 마르티누스 베이예린크(Martinus W. Beijerinck, 1851~1931)담배모자이크병을 일으키는 수액에서 균이 살아 있는 세포에서만 증식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2) 바이러스의 특징 : 바이러스는 생물과 무생물의 특징을 모두 갖춘 개체로, 기본적으로 단백질로 구성된 외피 안에 유전물질인 핵산(DNA 혹은 RNA)이 든 단순한 구조다. 단독으로 는 생명 활동을 수행하지 못하나, 숙주가 되는 세포에 유입하면 숙주세포의 생명 활동 과 정에 기생해 유전물질과 단백질 외피를 복제해 개체수를 증식시킨다. 바이러스의 생활사를 간단히 정리해 보면, 그림과 같다.
3)바이러스 복제의 순환 과정
단백질 결정 형태로 존재하던 바이러스들이 숙주세포를 만나면 숙주세포의 세포막과 결합한 뒤, 내부로 유입된다. 숙주세포 안으로 들어간 바이러스는 단백질 외피를 벗어버리고 숙 주세포의 유전물질 복제 기능과 단백질 생성 기능을 이용해 자신의 유전물질과 단백질 외 피를 잔뜩 만들어낸 뒤, 이들을 다시 조립해 자신과 닮은 바이러스 세포들을 증식시킨다.
2,코로나 바이러스의 (Cov)정의
1) 코로나 바이러스의 명명 : Coronavirus(코로나바이러스)는 외막이 둘러쌓여 있는 RNA 게놈 을 가진 바이러스로서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 조류사이에서 발견되는 바이러스이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발견된 것은 1930년대 초기 전염성 기관지염이 걸린 닭등의 조류나 전염성이 있는 돼지의 위에서 발견되었다고 보고된 바가 있다.(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미생물학) 전자현미경을 통해 바이러
추천자료
한국방송통신대학(방통대) 평생교육원의 설립취지, 한국방송통신대학(방통대) 평생교육원의 ...
(2016 인간과과학) 인공지능의 발달이 인류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을지 생각해 보시오,...
교육심리학 2020년 방송대 기말] 행동주의학습이론 인지주의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인본주의...
세계의정치와경제 기말] 코로나19와 같은 범유행병 (pandemic)은 확산뿐만 아니라 방역 역시 ...
사회복지개론 기말] 1. 기준이와 아름이 가족처럼 어떤 문제에 대해 상반된 견해를 갖고 있는...
[방송통신대학교 2020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 인간과과학(공통)(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에도 ...
[방송통신대학교 2021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인간과과학(공통)(기후변화를 완화할 수 있는...
2022년 1학기 세계의역사 기말시험과제물(중국의 쇠퇴과정 및 원인, 백년전쟁 과정, 일본 에...
2023 영양과건강 기말시험과제) 인체 내에서 만들어지지 않으며 섭취 부족으로 인한 결핍증을...
2023 영화로생각하기 기말시험과제물) 교재와 강의에서 소개된 15편의 영화 중 두 편을 자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