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원리
3. 기구 및 장치
4. 실험방법
5. 참고문헌
2. 실험원리
3. 기구 및 장치
4. 실험방법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려 떨어진 장소와 수직기 끝점이 지시하는 지점과 수평거리 를 5회 측정하여 기록하고 평균값을 구한다.
(5) 입사구가 낙하한 수직거리 H를 측정한다.
(6) 과정 (4), (5)의 측정값으로 입사구의 속력 를 구한다.
그림 4-1 2차원 충돌 장치
그림 4-2 충돌 전후 그림
(7) 표적구를 입사구와 약 40도를 유지하도록 올려놓고 과정 (4)에서 설정해놓은 기준점에서 입사구를 굴려내려 표적구와 충돌시킨 후 두 공이 떨어진 지점의 수평거리 , 입사방향과 이루는 각 , 를 측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5회 반복하여 평균값을 구한다. 이 때 벡터의 시작점은 그림 4-2를 참고로 하여 정해야 한다.
(8) 표적구와 입사구의 각을 약 55도, 70도로 놓고 과정 (7)을 반복한다.
(9) , , 및 로부터 충돌 후 입사구와 표적구의 속도 과 을 계산한다. 여기서, 입사구의 속도는 , 표적구의 속도는 이다.
5. 참고문헌
〔1〕일반물리학실험, 김연중 외 2인, 북스힐, 93p (2022)
〔2〕네이버 지식백과, 완전비탄성 충돌 정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37158&cid=60217&categoryId=60217
〔3〕네이버 지식백과, 비탄성충돌 정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37078&cid=60217&categoryId=60217
〔4〕네이버 지식백과, 탄성충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61856&cid=40942&categoryId=32229
(5) 입사구가 낙하한 수직거리 H를 측정한다.
(6) 과정 (4), (5)의 측정값으로 입사구의 속력 를 구한다.
그림 4-1 2차원 충돌 장치
그림 4-2 충돌 전후 그림
(7) 표적구를 입사구와 약 40도를 유지하도록 올려놓고 과정 (4)에서 설정해놓은 기준점에서 입사구를 굴려내려 표적구와 충돌시킨 후 두 공이 떨어진 지점의 수평거리 , 입사방향과 이루는 각 , 를 측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5회 반복하여 평균값을 구한다. 이 때 벡터의 시작점은 그림 4-2를 참고로 하여 정해야 한다.
(8) 표적구와 입사구의 각을 약 55도, 70도로 놓고 과정 (7)을 반복한다.
(9) , , 및 로부터 충돌 후 입사구와 표적구의 속도 과 을 계산한다. 여기서, 입사구의 속도는 , 표적구의 속도는 이다.
5. 참고문헌
〔1〕일반물리학실험, 김연중 외 2인, 북스힐, 93p (2022)
〔2〕네이버 지식백과, 완전비탄성 충돌 정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37158&cid=60217&categoryId=60217
〔3〕네이버 지식백과, 비탄성충돌 정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37078&cid=60217&categoryId=60217
〔4〕네이버 지식백과, 탄성충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61856&cid=40942&categoryId=3222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