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이여서 비현실적이라고 생각했다. 과거의 나와 지금의 나는 극도로 평범하게 살아왔고 살고 있는데 그들에겐 얼마나 이러한 평범함이 간절하게 필요했을까. 하루아침에 평범함을 앗아가고 무슨 부귀영화를 누리겠다고 그렇게 뻔뻔하게 살아가는 것일까. 이 영화는 일반적인 다큐멘터리 영화와 다르게 몰입과 긴장감을 갖는 다큐멘터리 영화였다. 내가 알고 있던 다큐멘터리는 지루한 것이라는 생각을 완전히 바꿔 놓았다. 영화를 보며 인도네시아보다 먼 나라인 여러 나라들은 매체에서 많이 접해 알고 있었지만 정작 같은 대륙, 아시아에 있는 인도네시아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났었는지 잘 몰랐다는 것이 부끄러웠던 시간이었다. 단지 인도네시아만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나라와 또 다른 나라에서의 비슷한 과거가 있었기에 더 몰입이 됐었던 것 같다. 과거가 있었기에 현재가 있고 미래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는 이러한 역사에 대해 더 관심을 기울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관심을 가져야 가해자들도 깨닫는 게 있을 것이고 처벌도 받을 것이기 때문이다. ‘침묵의 시선’은 피해자의 시선에서 만들어졌다는데 나중에 시간이 되면 이 작품의 전작인 가해자들의 시선에서 만들어졌다는 ‘엑트 오브 킬링’도 꼭 봐야겠다.
추천자료
여성주의 문화
한국과 일본의 속담 비교-일본 언어 문화의 이해(A+레포트)★★★★★
중소기업의 국제 (해외) 마케팅 성공 사례 - 시선(seesun) 안경
[언어의 이해] (A+) 기호의 특성과 종류를 간략하게 서술하시오
[한국문화자원의이해2] A+레포트. 한국문화자원의 이해2 교재에 나온 문화자원 중 국악, 놀이...
[성의과학] 성문화에 대하여(우리나라,일본,미국 등)
2022년 1학기 중국문화산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한복이 중국문화라는 주장과 견해)
2023년 1학기 중국문화산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한복이 중국 문화라는 주장에 대한 견해)
2023년 1학기 여성의삶과문화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교과목의 성격과 바람직한 학습 방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