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벤트성이 아닌 실질적으로 주민들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모바일 플랫폼을 활용하여 성공사례를 전파하거나 복지사각지대에 대한 관심도를 높여 젊은층을 포함한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높여 나가야할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읍면동 복지센터의 맞춤형 복지서비스의 등장배경 및 추진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의 함의 및 발전과제에 대해 서술해보았다. 맞춤형 복지서비스의 강점은 가장 먼저 국민이 원하는 복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국민복지체감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며 두 번째는 민간조직을 활용하기 때문에 복지자원의 다양화를 이룰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위험 가능성이 있는 가구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문제 예방의 효과가 있다.
이와 반대로 장애요인으로는 복지서비스 대상을 노인 및 장애인 등으로만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그 외 수요자에게는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맞춤형 서비스 대상자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서병수 <복지사각지대>, 한국빈곤문제연구소, 2014
보건복지부 <읍면동 복지허브화 운영 우수 사례집>, 2017
보건복지부 <읍면동 맞춤형복지 업무매뉴얼>, 2017
Ⅲ. 결론
지금까지 읍면동 복지센터의 맞춤형 복지서비스의 등장배경 및 추진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의 함의 및 발전과제에 대해 서술해보았다. 맞춤형 복지서비스의 강점은 가장 먼저 국민이 원하는 복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국민복지체감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며 두 번째는 민간조직을 활용하기 때문에 복지자원의 다양화를 이룰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위험 가능성이 있는 가구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문제 예방의 효과가 있다.
이와 반대로 장애요인으로는 복지서비스 대상을 노인 및 장애인 등으로만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그 외 수요자에게는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맞춤형 서비스 대상자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서병수 <복지사각지대>, 한국빈곤문제연구소, 2014
보건복지부 <읍면동 복지허브화 운영 우수 사례집>, 2017
보건복지부 <읍면동 맞춤형복지 업무매뉴얼>, 2017
추천자료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의 개념 및 유형을 정리하고 지역사회분석의 이론을 구분하여 우리...
지역사회 복지론(사회복지 공동모금회에 대한 발전방향)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갈등이론의 장단점에 대하여 논하시오
예비사회복지사로서 우리가 반드시 지역사회복지론을 공부해야 할 필요가 있는가 그렇다면 그...
예비사회복지사로서 우리가 반드시 지역사회복지론을 공부해야 할 필요가 있는지 그렇다면 그...
지역사회복지론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 잔여주의 지역사회복지와 제도주의 지역사회...
지역사회복지론]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 잔여주의 지역사회복지와 제도주의 지역사...
지역사회복지론-지역사회복지 실천 관련 가치
지역사회복지론 - 지역사회상실이론과 지역사회보조이론, 지역사회개방이론과 지역사회복지발...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지역사회 주민들이 중심이 되어 지방자치에 직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