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의 역사와 문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베트남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베트남 개관

1. 국호와 국기
2. 지리
3. 기후
4. 베트남 기본정보
5. 민족
Ⅱ. 베트남 역사
1. 베트남 연표
2. 철기시대 : 반랑국, 어우랑국
3. 남비엣
4. 중국의 지배
5. 안남 응오 왕조
6. 다이비엣
7. 응우엔 왕조
8. 현대 베트남사

Ⅲ. 베트남 문화 : 음식문화, 주거문화, 의복문화

본문내용

제1편 베트남의 지리, 역사와 문화
Ⅰ. 베트남 개관
1. 국호와 국기
가. 국호
정식 국호는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이다.국립국어원의베트남어 표기법에 따르면 \'꽁호아 싸호이쭈응이어 비엣남\'. 베트남 한자 독음법에 따라 한자로 옮기면 공화사회주의월남(共和社會主義越南)이 되는데 베트남어는 피수식어가 수식어 앞에 놓이기에 \'공화(꽁호아)\', \'사회주의(싸호이쭈응이어)\'가 \'비엣남\'보다 앞에 온다. 즉 \"피수식어(수식받는 단어) + 수식어(수식하는 단어)\"의 구조다.베트남에서 역사적으로 오래 사용한 이름은대월(大越)이었다. 왕조가 바뀌면 나라 이름도 바뀐 한국사나 중국사와 다르게 베트남에선 왕조가 바뀌어도 대월이란 이름을 계속 사용했다. 그러다완조가 \'남월\'(Nam Vit)로 이름을 고치려 했고,청나라는 중국 남부 지역을 점령한 과거 기원전의남월왕조와 연결지어 생각될 것을 우려해 \'남월\'을 뒤집은 월남(越南)이라는 호칭을 제안했다. 응우옌 왕조가 이에 찬성하면서 1806년 대월은 비엣남(越南, 월남)이 되었다.베트남의 베트 또는 남월의 월에 해당하는 비엣(Vit / 越)은 중국 남부에 살던 민족 집단인 백월(百越)을 가리키는데 이들이 베트남 북부로 이동해 세운 나라가 남월이었다. 정완분쟁(鄭阮紛爭)과 서산조(西山朝) 시대 이후 베트남을 통일한 완복영은 국호를 남월로 정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한나라 때 중국 남부까지 진출했던 과거의 남월 왕조가 연상된다고 꺼림칙해했던 청나라에서 남월의 앞뒤를 뒤집은 국호인 월남을 제안하였고, 완복영이 이를 받아들여 월남이 정식 국호로 채택됐다. 이 표현의 베트남어 한자 독음이 \'비엣남(Vit Nam / 越南)\'이다.영어로는 붙여서 Vietnam(비엣트남)이라고 표기하지만, 베트남전 이전에는 영어에서도 베트남어 정서법에 가까운 Viet Nam이나 Viet-Nam으로 쓰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베트남 정부에서는 영어로 쓰더라도 Viet Nam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UN에서도 베트남은 Viet Nam이라 써준다. 영어에서는 1970년대까지만 해도 첫 음절과 둘째 음절에 모두 동일한 강세를 붙여 읽는 아나운서들이 많았다. 현재는 둘째 음절에만 강세를 붙여서 읽는 추세이다.주월미군들은 둘째 음절만 잘라서 Nam이라고만 하는 경우도 많았다.인근 국가의 언어인태국어로는 \'위앗남( / wiat-nam)\',버마어로는 비예난( / biyaknam), 라오어로는 위앗남( / wat nm),크메르어로는 위엇남( / vit naam)이라 한다.중국어에서는 \'베트남\'의 한자 표기를 자신들의 방식대로 읽어 \'웨난(越南 / Yuenan)\'이라 지칭한다.한국에서는 \'베트남\'이란 표기가표준어로 널리 쓰인다. 식민지 시기에는 베트남을 안남(Annam), 인도지나(Indochina) 등으로 표기했고 이 중에 제일 많이 표기 된 것은 \'안남\'이다. \'베트남\'이라는 표기를 사용한 것은 1940년대 후반부터이다. 이는일본어전사 표기인 베토나무(ベトナ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국립국어원에 대한 질의 및 답변에 따르면 베트남이라는 표기가 표준으로 채택된 것은 널리 쓰이던 관용을 존중하려는 의도인 것으로 보이며, 2004년 제정된베트남어 표기법을 따라 표기하면 \'비엣남\'이 된다. 한편북한문화어에서는 \'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74페이지
  • 등록일2024.02.24
  • 저작시기202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19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