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지역 유적답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여지역 유적답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백제의 역사와 부여 3

백제의 건국신화와 백제의 형성 · 백제의 역사 · 부여지역 개관

Ⅱ. 능산리 고분군 9
고구려와 백제고분의 변천 · 백제시대 고분 · 능산리 고분 · 능산리 고분군 출토품 : 백제대향로를 중심으로

Ⅲ. 부소산성(扶蘇山城) 21

1. 백제시대 도성(都城)의 변천
2~10. 부소산성 유적지
삼충사(三忠祠) · 영일루(迎日樓) · 군창지(軍倉址) · 수혈주거지 · 반월 루(半月樓) · 사자루(泗泚樓) · 낙화암과 백화정(百花亭) · 고란사(皐蘭寺) · 백마강 · 구드레 나루

Ⅳ. 정림사터 35
개관 · 정림사터 가람배치· 정림사터 5층석탑·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 ·
소조 부처머리(보살 또는 백제인)

Ⅴ. 궁남지 39
궁남지 원형 당나라 태액지 · 궁남지

Ⅵ. 군수리절터[軍守里 寺址] 41

개관 · 납석제여래좌상 ·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

Ⅶ. 대조사(大鳥寺) 44
창건연기 · 미륵보살입상
Ⅷ. 부여박물관 47
제1전시실 · 제2전시실 · 제3전시실

* 칠지도의 특성과 의의 52
* 백제 기와

본문내용

정신세계를 대단히 훌륭하게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백제미술의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3-3. 금동광배
광배는 원형으로 둥근 동판에 연꽃과 인동무늬가 투각된 금동판을 붙여 만들었는데 불상 머리 뒤를 장식하던 두광(頭光)이다. 광배 중앙에 있는 연꽃은 금동판을 오려내 사실성을 부각시키려고 하였다. 인동당초무늬는 활짝 핀 인동꽃을 중심으로 섬세하고도 수려한 인동당초 줄기가 물결치듯 돌아가고 있다. 광배의 중앙부에는 불상 머리와 연결할 수 있는 직사각형 구멍이 뚫려 있다. 글씨는 예리한 도구로 세로로 새겼는데 광배가 결합되었을 경우는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새겨진 글씨는 불상 조상자(造像者)로 추정되는데, 그 마지막에 법사(法師)라고 표기한 것으로 보아 승려로 파악된다.
3-4. 치미
부여 부소산절터에서 출토된 유명한 치미이며, 파손된 것을 복원하였다. 치미는 대형 건물의 용마루 끝에 올려 건물의 위엄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특수기와로 황룡사나 미륵사 같은 대형 사찰의 큰 건물에만 사용되었으므로 출토예가 극히 드문 편이다. 그러므로 복원된 이 치미는 학술적으로 매우 중요한 유물인 것이다. 치미는 그 용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새의 깃털을 모티브로 하여 디자인된 것으로 건물의 최상부인 지붕에 하늘을 나는 듯 날개 짓하는 치미를 둠으로써 힘찬 기상을 표현한다고 할 수 있다. 치미의 구조는 크게 동체부와 꼬리부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사이에 두 줄의 유려한 곡선을 두어 미관을 돋보이게 하면서 두 부분을 구획한다. 동체부는 연속되는 직선을 날개깃 모양으로 배치하였는데, 곡선의 형태 위에 직선만을 사용하면서도 자연스럽고 생동감 있는 모습을 만들어낼 줄 알았던 백제인의 치밀하면서도 뛰어난 미적 감각을 느낄 수 있다. 꼬리부는 이러한 날개깃의 연장선상에서 위로 치켜 올려진 깃털 끝이 표현되어 동체부의 생동감을 잃지 않고 마무리되었다. 동체부에는 용마루 위에 얹어 지붕과 연결하기 위해 수키와 3매를 엎어놓은 기왓골의 모양에 맞도록 마련된 홈이 있으며, 동체부 후면에는 8엽 단판의 연화문이 시문되어 아름다움을 더한다.
3-5. 청동소탑
부여 금성산 서남쪽에 위치한 전 천왕사지(傳 天王寺址) 부근에서 발견된 청동소탑편은 실제 건축물이 남아있지 않은 백제건축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탑신부(塔身部)와 옥개(屋蓋)가 남아 있는데, 당시 건축양식을 살펴 볼 수 있을 정도로 건축부재의 표현이 잘 되어 있다. 탑신에는 양쪽 우주(隅柱)와 각 면에 탱주 2주씩이 각출되었고, 옥개는 상면에 기와골을 정연하게 나타내고 전각에는 반전을 표시하였다. 정상에는 난간을 돌렸는데, 네 귀퉁이에 기둥을 하나씩 세우고 중간에는 두 개씩을 세웠다. 특히 주목되는 부분이 바로 일본 건축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하앙(下昻)이다. 공포가 충분히 발달하지 않았던 초기 건축에서 처마와 지붕 사이의 균형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였던 하앙을 여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하앙과 헛첨차의 모양이나 45도 방향으로만 귀공포를 짜는 방식은 일본 호류지 금당과 공통된다. 이는 일본 아스카시대[飛鳥時代]에 유행했던 기법으로 백제의 건축양식이 일본에 많은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청동소탑편은 백제시대 건축물이 별로 남아있지 않은 현실에서 백제 목탑 양식을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3-6. 도깨비무늬서까래기와
방형(方形)의 도깨비무늬서까래기와이다. 부연(附椽)은 처마서까래[椽木]의 끝에 덧얹어 걸친 짤막한 서까래의 일종으로 처마를 위로 올리어 지붕을 더욱 멋스럽게 하는 한편 지붕 면적을 넓혀 빗물로부터 건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전통건축에서 대개 서까래[椽木]는 단면이 둥글고, 부연은 단면이 네모난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 기와가 서까래 중에서도 부연 끝에 못으로 고정시킨 부연기와임을 알 수 있다. 부연기와는 어느 건물에서나 흔하게 사용되지 않는 건축부재로서 출토 예도 많지 않다. 그러므로 이 기와는 희소성 자체만으로도 이미 중요성을 가지며, 기와에 시문된 도깨비무늬 또한 그 뛰어난 조형성을 인정받고 있다. 막새기와나 사래기와 혹은 마루기와 중에는 도깨비무늬가 시문된 뛰어난 작품들이 많이 있는데, 이 서까래기와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임에도 불구하고, 얼굴 외곽 부분을 적절히 생략하면서도 툭 튀어나온 눈, 힘찬 기운을 뿜는 콧구멍, 날카로운 송곳니와 풍성한 수염 등 도깨비무늬 특유의 요소들을 생동감 있게 잘 표현한 걸작이다.
백제 기와
(1) 기와의 종류
기와는 건물의 지붕을 덮기 위하여 흙으로 만들어 구워낸 것으로 한자로는 와(瓦), 또는 개와(蓋瓦)라고 한다. 한국에 기와가 유입된 시기는 중국 한나라 무제가 위만 조선을 멸망시키고(B.C. 108년) 한사군을 설치한 B.C. 2∼1세기경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본격적으로 기와가 제작된 것은 삼국시대부터라고 할 수 있다.
기와는 쓰임새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누어지는데 지붕의 낙수면 전면에 덮는 평기와와 지붕의 각 부위 끝에 막음하는 막새나 망새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2) 삼국의 기와
현존하는 기와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는 고구려의 기와가 있다. 고구려의 기와는 초기에는 한나라 영향을 받고 북방적인 기질이 반영되어 있으나 점차 세련되고 우아한 모양으로 변하게 된다.
백제는 초기에는 고구려적인 특징이 많이 보이지만 차차 세련되어 우아하며 부드러운 특징을 보이고 있다. 백제의 양식이 신라와 일본으로 전파되어 발전하기도 했다.
신라는 처음에는 고구려적인 양식과 백제적인 양식을 함께 채택하여 두 가지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이후 탄력 있고 세련된 양식으로 변모되어 통일신라시대의 양식으로 발전되었다. 삼국시대에는 연꽃과 귀면(도깨비 얼굴)이 주된 무늬를 이루었다.
통일신라의 기와는 깔끔하고 세련되고 탄력적인 면모를 보여주고 무늬가 다양해지며 복잡, 화려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후기가 되면 섬세하고 화려해지는 경향이 짙어진다.
(3) 기와의 유형
(가) 중국의 기와
(나) 고구려 기와
(다) 백제기와
* 백제의 시기별 기와
- 풍납토성의 수막새
* 한성시기의 기와
- 한성시기의 수막새
- 웅진의 수막새
- 사비도성의 기와
(라) 신라 기와
(마) 일본 기와
  • 가격2,500
  • 페이지수66페이지
  • 등록일2024.02.25
  • 저작시기202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20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